사축 씨는 꼬마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7fcace 45%, #7fcace 55%, transparent 55%); width: 90%"

등장인물 파일:사축 씨 영혼 로고.png 발매 현황 파일:사축 씨 영혼 로고.png 애니메이션{{{#!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7fcace 45%, #7fcace 55%, transparent 55%); width: 90%"



'''{{{+1 사축 씨{{{-1 {{{#ffffff
꼬마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 (2022)>
社畜さん幼女幽霊されたい。
The Company Slave Wants to
Be Healed by a Little Ghost Girl
파일:사축씨는유녀유령에게치유받고싶어_애니키비주얼2탄.jp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5. 주제가
5.1. OP
5.2. ED
6. 회차 목록
7. 평가
7.1. 캐릭터 디자인
7.2. 작화 및 연출
7.3. 촬영
7.4. 성우들의 연기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만화 사축 씨는 꼬마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난바라 큐우, 방영 시기는 2022년 4월.


2. 공개 정보[편집]


2021년 6월 11일, TV 애니메이션화가 결정되었다.#

감독으로 기재된 난바라 큐우는 project No.9를 일본어로 발음한 것과 발음이 유사하다. 따라서 본작은 앨런 스미시와 같은 맥락으로 처음부터 감독이 없거나 모종의 이유로 중간에 강판된 것으로 추정된다.


2.1. PV[편집]


PV
PV 제1탄PV 제2탄
PV 제3탄PV 제4탄
애니플러스 PV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사축씨는유녀유령에게치유받고싶어_애니키비주얼.jpg
키 비주얼 1탄


3. 줄거리[편집]


사축인 후시하라 씨가 밤까지 회사에 남아

일하고 있을 때 사무실에 '사라져~'

라는 기분 나쁜 목소리가 울려 퍼진다.

그 목소리의 정체는 작은 유령짱이었다!

건강을 위해 후시하라 씨를 퇴근시키고 싶은 유령짱과

유령짱의 귀여움에 퇴근하고 싶지 않은 후시하라 씨.

그런 두 사람이 만들어 내는 귀여움에

치유받는 하트풀 스토리.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사축 씨는 꼬마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편집]



5.1. OP[편집]


OP
Cherish
TV ver.
Full ver.
노래이시하라 카오리
작사이소가이 요시에(磯谷佳江)
작곡히게드라이버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후루카와 히로유키
연출
작화감독야마다 마사루(山田 勝)
허혜정
호리타 쇼이치(堀田翔一)
모리야마 타케시(森山剛史)
총 작화감독타나카 하루카(田中春香)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5.2. ED[편집]


ED
聴こえる?
들려?
TV ver.
Full ver.
노래우치다 마아야
작사하야시 히데키(林 英樹)
작곡사토 준이치(佐藤純一) (fhána)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히노 타카후미(ひのたかふみ)
연출
작화감독타나카 하루카(田中春香)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6. 회차 목록[편집]


회차시나리오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제1화아카오 데코
(赤尾でこ)
카미타니 토모히로히노 타카후미
(ひのたかふみ)
시미즈 카츠유키
(清水勝祐)
사이토 카즈야
(斉藤和也)
허혜정
나카지마 요시코
(中島美子)
모리야마 타케시
(森山剛史)
야마다 마사루
(山田 勝)
日: 2022.04.07.
LIVE: 2022.04.07.
TV: 2022.04.08.
하이라이트
제2화후지오 이나호
(藤尾いなほ)
요시카와 코지
(吉川浩司)
타케우치 히카루
(竹内 光)
야노 타카노리
(矢野孝典)
허혜정
장영선
허혜정日: 2022.04.14.
LIVE: 2022.04.14.
TV: 2022.04.15.
하이라이트
제3화시노즈카 토모코
(篠塚智子)
우스이 후미아키
(臼井文明)
카토 아키라
(加藤 顕)
카와모리 노보루
(川森 昇)
이마사토 케이코
(今里佳子)
시미즈 카츠유키
나미카제 타츠시
(波風立志)
趙清雲
陳潔瓊
하시구치 하야토
(橋口隼人)
야마다 마사루
日: 2022.04.21.
LIVE: 2022.04.21.
TV: 2022.04.22.
하이라이트
제4화코모리 사지
(小森さじ)
사이토 노리아키
(齋藤徳明)
야마우치 토미오
(山内東生雄)
테지마 유토
(手島勇人)
王敏
姜智慧
劉冬冬
李偉峰
허혜정
하시구치 하야토
日: 2022.04.28.
LIVE: 2022.04.28.
TV: 2022.04.29.
하이라이트
제5화아카오 데코타카모토 요시히로이마이즈미 류타
(今泉竜太)
tofu
카토 요시타카
(加藤義貴)
우에아카 유카리
(上赤由香里)
카와모토 카즈타카
(川本和隆)
시미즈 료타
(清水椋大)
스즈키 리노
(鈴木莉乃)
타카나시 토모미
(高梨友美)
나카가와 미노루
(中川 実)
핫토리 미유
(服部未夢)
하야카와 모토키
(早川元基)
야다 타츠야
(矢田起也)
야마다 마사루
모리야마 타케시
日: 2022.05.05.
LIVE: 2022.05.05.
TV: 2022.05.06.
하이라이트
제6화코모리 사지쿠로세 다이스케
(黒瀬大輔)
장범철
나카지마 요시코
카와모리 노보루
시미즈 카츠유키
히노 타카후미
장범철
사오토메 케이
(早乙女 啓)
日: 2022.05.12.
LIVE: 2022.05.12.
TV: 2022.05.13.
하이라이트
제7화후지오 이나호나카야마 타케히로
(中山岳洋)
카토 아키라우치노 아키오
(内野明雄)
나미카제 타츠시
하시구치 하야토
장범철
사오토메 케이
日: 2022.05.19.
LIVE: 2022.05.19.
TV: 2022.05.20.
하이라이트
제8화시노즈카 토모코사이토 노리아키
요시카와 코지
타케우치 히카루
야노 타카노리허혜정日: 2022.05.26.
LIVE: 2022.05.26.
TV: 2022.05.27.
하이라이트
제9화미야케 카즈오
(三宅和男)
우스이 후미아키
히노 타카후미
야마우치 토미오
히노 타카후미
시미즈 카츠유키
사이토 카즈야
나카지마 요시코
요시오카 타케오
(吉岡丈雄)
호리타 쇼이치
(堀田翔一)
카와모리 노보루
야마다 마사루
모리야마 타케시
日: 2022.06.02.
LIVE: 2022.06.02.
TV: 2022.06.03.
하이라이트
제10화후지오 이나호사이토 노리아키
요시카와 코지
타케우치 히카루
이마이즈미 류타
후지노 요스케
(藤野陽介)
타카나시 토모미
스즈키 리노
紫灯珈
tofu
이마이즈미 류타
나카가와 미노루
핫토리 미유
카와모토 카즈타카
우에아카 유카리
시미즈 료타
야다 타츠야
후쿠다 사츠키
(福田さつき)
하야카와 모토키
하시구치 하야토
사오토메 케이
日: 2022.06.09.
LIVE: 2022.06.09.
TV: 2022.06.10.
하이라이트
제11화코모리 사지사이토 노리아키야노 타카노리허혜정
장범철
日: 2022.06.16.
LIVE: 2022.06.16.
TV: 2022.06.17.
하이라이트
제12화아카오 데코요시카와 코지
타케우치 히카루
카토 아키라허혜정
모리데 츠요시
카와모리 노보루
나카지마 요시코
시미즈 카츠유키
모리야마 타케시
사이토 카즈야
히노 타카후미
야마다 마사루
허혜정
사오토메 케이
日: 2022.06.23.
LIVE: 2022.06.23.
TV: 2022.06.24.
하이라이트


7. 평가[편집]



















원래부터 원작의 인지도가 높은 편이 아니었고 본작도 원작과 마찬가지로 팬들에게 이목을 별로 받지 못했다. 게다가 본작을 맡은 제작사가 제작한 대부분의 작품이 시청자들의 기대에 못 미치는 작품을 뽑는 project No.9이어서 팬들의 기대치는 전보다 낮은 편이었지만 방영이 이루어진 후에는 원작을 읽은 시청자들은 물론 애니로 입문한 시청자들도 캐릭터들이 귀엽고 스토리도 재미있어 이번 분기 최고 힐링물이라는 반응이다. 개그나 긴장감이 적절하게 섞인 다른 힐링물과 다르게 순수 100% 힐링요소만 들어있기 때문에 정말 제목 그대로 사축들을 위한 작품이다.


7.1. 캐릭터 디자인[편집]


캐릭터 디자인은 원작에서의 귀여운 이미지와 각각 캐릭터들의 특징을 잘 살리고 전체적으로 수려하게 그려져 좋은 평을 얻었다.


7.2. 작화 및 연출[편집]


작화도 좋은 평을 받고 있는데, 불안정하거나 크게 보이는 작붕도 없고 부드러운 캐릭터들의 움직임과 원작 못지않은 여러 가지의 표정 묘사를 구사해 호평과 연출 또한 평타 친다는 평이 많이 보인다.


7.3. 촬영[편집]


배경 색감과 광원 처리 등 전체적인 촬영 면에서 촬영 감독인 하야시 켄타의 실력이 발휘되어 평타 이상의 영상미를 선보여 호평이 지배적이다. 몇몇 시청자들은 본작의 그림체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와 비슷해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유령버전'이라고 비유하기도 했다.


7.4. 성우들의 연기[편집]


성우들의 연기력 또한 호평. 유령 짱을 맡은 성우 히다카 리나와 먀코를 맡은 성우 코하라 코노미는 순애보이고 귀엽지만 자주 울기 도하는 캐릭터의 특성을 연기력과 목소리 톤으로 잘 살렸고, 후시하라 씨를 맡은 성우 카네모토 히사코는 유령 짱과 먀코의 귀여움에 흠뻑 빠져하는 연기와 목소리 톤 그리고 가끔씩 보이는 야근 문제 때문에 피곤해하고 짜증 내는 연기도 호평을 받았다. 기타 인물들의 연기력 또한 뒤지지 않는 연기를 선보여 성우 캐스팅에 대해 각 캐릭터들의 이미지와 잘 어울린다는 긍정적인 평을 받았다.


8. 기타[편집]


  • 엔딩 영상 마지막 장면은 1~3화는 후시하라씨와 유령짱이 나란히 손잡고 걸어가는 장면으로 마무리되는데, 4화 이후엔 먀코와도 같이 손잡는 장면으로 바뀌어 마무리된다.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사축 씨는 꼬마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 문서의 r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0:12:53에 나무위키 사축 씨는 꼬마 유령에게 치유받고 싶어./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