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운스볼/월드 (r4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바운스볼



1. 월드 목록
1.1. 전반적인 월드의 흐름
2. 참고
3. 여담


1. 월드 목록[편집]


바운스볼의 공식 스테이지 구성은 다음과 같다.[1] 유로파 이후로 오랫동안 새 월드가 추가되지 않았고, 더 이상의 공식 스테이지 업데이트는 없을 것이라고 했지만...(가입 필요) 8년 후 2024년 2월 15일 5.0.0 패치노트에서 중력 반전 아이템은 공식 스테이지와 함께 추가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어 없는 일이 되었다.
2019년 하반기 이후 맵 에디터가 개선되고, Expert 모드가 추가되는 등 다른 업데이트는 공식 맵 추가 공지 이전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 많은 사람들이 타 월드에 비해 특히 어렵다고 느끼는 월드는 볼드체(굵게) 표시

순번이름이름(영문)추가 날짜[2]버전추가되는 오브젝트
1지하Under World(초창기)
2012년 7월경
기본 요소, 소멸 블록, 가시, 상승 블록, 직진 블록, 움직이는 블록, 전환점
2지상Ground대시 아이템
3하늘Sky(없음)[3]
4우주Space2012년 7월
~9월경
깜빡이 블록
5화성Mars감전기, 하강 블록
6목성Jupiter점프 아이템, 소형 별
7토성Saturn낙석
8천왕성Uranus2012-09-15 *투명 별, 별 스위치, 블록 표창
9해왕성Neptune2012-09-22 *일회용 상승 블록
10카이퍼 벨트Kuiper Belt2012-10-03 *전기 스위치, 전동 블록
11오르트 구름Oort Cloud2012-10-15 *단칸 이동기
12알파 센타우리Alpha Centauri2012-10-254방향 직진 블록
13엡실론 에리다니Epsilon Eridani2012-11-09분홍색 레이저 블록
14글리제 581Gliese 5812012-11-292.1.2.0블랙홀/화이트홀
15벨레로폰Bellerophon2012-12-152.1.3.0레이저 상자
16알골Algol2012-12-292.1.4.0파란색 레이저 블록
17베텔게우스Betelgeuse2013-01-092.1.5.0비활성화/활성화 아이템, 공중 표창
18말머리 성운Horsehead Nebula2013-01-272.1.6.0근거리 워프 아이템
19VV 시퍼이 AVV Cephei A2013-02-152.1.7.0산탄 발사기
20게 성운Crab Nebula2013-03-032.1.8.0끈끈이 블록
21초신성Supernova2013-03-303.0.1.0붉은색 깜빡이 블록
22블랙홀Black Hole2013-04-283.0.2.0아이템 흡수기 이동 레이저 상자
23은하수Milky Way2013-05-273.0.3.090°/180°/270°로 회전된 레이저 상자
24마젤란 은하Magellanic Clouds2013-06-263.0.4.0레이저 프리즘
25안드로메다Andromeda2013-07-294.0.1.0일회용 직진 블록
26퀘이사Quasar2013-08-224.0.2.0자동 직진 이동기
27빅뱅Big Bang2013-10-164.0.3.0변색 블록
28공허Nothingness2014-01-164.0.4.0자석 끌개 블록
29갈 시간Time to Go2014-02-234.0.5.0체크포인트 아이템
30플랑크Planck2014-03-244.0.6.08방향 직진 블록
31최초의 은하The First Galaxy2014-05-314.0.7.0자유 대시 아이템
32미확인 행성Unknown Planet2014-07-174.0.8.0투명 추진기
33태양계Solar System2014-09-134.0.9.0블록 포탈
34트리톤Triton2014-12-074.1.0.0무지개 별, 90°/180°/270°로 회전된 가시
35미란다Miranda2015-01-144.1.1.0활성화/비활성화 블록&스위치
36오베론Oberon2015-02-234.1.2.0대각선 직진 블록
37판도라Pandora2015-04-274.1.3.0철사 밀개 블록
38타이탄Titan2015-09-054.1.4.0직진 이동 아이템
39유로파Europa2016-05-024.1.5.0복제 아이템
40이오Io2024-03-135.1.0.0중력 반전 아이템
41미정2024-0?-??일회용 대각선 직진 블록
2024년 3월 13일 기준 최신 버전: 5.1.1
각 월드에 대한 설명은 위 항목 참조.

2024년 3월 기준 이오까지 총 40개의 월드가 존재한다. 땅 속에서 시작해 하늘로 올라가고 지구, 태양계, 우리은하를 거쳐 안드로메다까지 가는 걸로 모자라 온갖 듣도 보도 못한 영역을 지나 끝내 無의 세계를 넘어 우주의 역사와 태양계의 탄생을 보고 태양을 향해 거꾸로 돌아오는 엄청난 스케일을 보여준다. 수성금성은 지구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빠졌다.


1.1. 전반적인 월드의 흐름[편집]


각 월드의 스테이지 수는 21개이다. 각 스테이지마다 EASY와 HARD 버전이 존재하므로 실제 스테이지 수는 월드 당 42개이다. 대부분의 스테이지에선 EASY와 HARD의 서로 다른 부분이 눈에 띄지만, 마젤란 은하 3과 같이 차이가 극히 작은 경우도 존재한다.
4.0.0.0버전에서 소셜 플레이 모드가 추가되며 116개의 스테이지가 추가됐고, 4.0.2.3버전에서 15개 스테이지가 더 추가되었었는데 언젠가부터 소셜 플레이 모드가 제거되고 대신 익스퍼트 스테이지 126개가 추가되었다.

즉 2024년 기준으로 공식 스테이지의 수는 총 21 × 2 × 40 + 익스퍼트 124= 1,804개이다. 하루에 Easy / Hard 난이도 중 한 쪽만 꾸준히 10단계씩 진행한다 해도 80일 이상 소요될 정도로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

2013년 3월 7일 업데이트로 직접 맵을 만들 수 있는 맵에디터와 다른 유저들과 공유가 가능한 맵스토어가 추가되면서 실제로 할 수 있는 스테이지 수가 훨씬 많아졌다. 맵스토어 등장 초기에는 하루 평균 10만 개가 올라왔다. 2015년엔 하루 당 올라오는 스테이지 수가 초기보다 현저히 줄었지만 여전히 자작 맵들이 꾸준히 올라오고 있으며, 500만 개 이상이 존재한다고 한다.

iOS 버전은 안드로이드 버전보다 업데이트가 더디는가 싶더니 2014년 4월 이후로 업데이트 소식이 없다. 그래서 플레이할 수 있는 스테이지가 적다.

월드의 난이도는 해왕성까지 점차 높아지다가, 카이퍼 벨트[4]에서 내려간 이후 평이한 월드들과 어려운 월드 하나가 번갈아 등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중 유달리 난도가 높다고 평가받는 월드로는 해왕성(9), 벨레로폰(15), 게성운(20), 마젤란 성운(24), 미확인 행성(32), 그리고 오베론(36), 판도라(37), 타이탄(38), 유로파(39)가 있다.[5] 트리톤 업데이트 이후로 주기가 다시 5~6주정도로 좁혀졌다가 다시 2달, 4달로 간격이 늘어나고 엄청 어려운 레벨이 등장하였다. 8년만에 나온 이오(40)부터는 공모전을 통해 유저들의 맵도 받으면서 더 어려워진 느낌이 있다.

한편 월드를 이루는 공식 스테이지의 특징에도 변화가 있다. 처음에는 등장하는 아이템이 적기 때문에 튜토리얼 위주로 간단하게 진행되다가 태양계 월드로 들어가면서 단순한 패턴과 인내력 싸움으로 이루어진다. 태양계를 벗어나는 단계부턴 다양한 아이템이 나오면서 퍼즐 요소가 가미된다. 초신성 이후로는 스테이지를 이루는 블록이나 아이템의 수가 적어지고, 정갈한 구성에 까다로운 컨트롤을 요구하는 양상으로 변화한다. 최초의 은하 이후로는 최신 아이템을 주로 사용한 단순한 패턴이 자주 나온다.

각 월드마다 추가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바운스볼/기본 요소, 바운스볼/기능 블록, 바운스볼/도구 블록, 바운스볼/아이템, 바운스볼/장애물 문서 참조.

2. 참고[편집]


노란 아이템(대시, 2단 점프, 근거리 워프, 제자리 이동, 원형 자유 점프) 중 하나 먹은 후 사용하지 않고 다른 것을 먹더라도 먼저 먹었던 것이 무효화되지 않는다. 단, 같은 종류끼리는 몇 개를 먹어도 횟수가 누적되지 않는다. 물론 먹은 아이템을 사용 후 같은 종류를 다시 먹으면 다시 발동한다. 두 종류 이상을 먹은 후 더블터치로 사용하면 공은 원래대로 노랗게 변하지만 남은 아이템은 유효하다.

서로 다른 아이템을 동시에 먹었을 때 어떤 것을 먼저 먹었느냐에 관계없이 다음 우선순위로 발동된다. (맵에디터 테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로파의 '복제'는 유로파 7에서 체크포인트보다 나중에 발동됨을 확인할 수 있다.
  1. 중력 반전
  2. 자유 대시
  3. 대시
  4. 이단 점프
  5. 근거리 워프
  6. 직선 대시
  7. 체크포인트
  8. 복제

참고로 대시를 쓴 후 다시 대시 아이템을 사용할 때, 대시로 인한 관성을 한번 멈추어야 같은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오른쪽으로 대시를 하며 날아가는 도중에 다시 대시를 얻을 경우 어딘가에 부딪히거나 왼쪽을 한 번 눌러서 대시를 살짝 멈추어야 한번 더 오른쪽으로 대시할 수 있다. 대시의 방향이 달라지면 해당사항 없는 일이다. 또한 대시+직선 대시일 때에도 같은 원리니 주의할 것.

3. 여담[편집]


대부분의 월드에서 21스테이지의 맵은 반드시 처음에 수직 하강을 하도록 되어 있다. 최초의 은하의 21스테이지처럼 첫 시작위치가 아래인 경우도 종종 나오지만, 하다 보면 수직 하강을 하게 되는 구조도 있다. 지하 월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일종의 전통인 듯하다. 하지만 안드로메다에서 이 법칙이 최초로 깨지고 말았다. 안드로메다, 퀘이사, 미란다, 오베론은 이 법칙의 예외[6]. 오베론의 경우, 이지에선 완전히 깨졌지만 하드에선 이 법칙이 조금이나마 적용된다.[7]

또한 알파 센타우리(12번째 월드)부터 일종의 홀짝법칙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짝수번째 월드(알파 센타우리, 글리제 581, 알골, 말머리성운, 게성운, 블랙홀[8])의 추가요소는 대체로 공의 이동을 돕는 장치들인 반면, 홀수번째 월드(엡실론 에리다니, 벨레로폰, 베텔게우스, 비비 시퍼이 에이, 초신성, 우리 은하)의 추가요소는 대체로 공을 터뜨리는 장애물들이다. 그러나 24번째 월드부터 이러한 구분이 애매해지면서 홀짝법칙은 깨지고 말았다.


오베론의 직진 장치의 등장을 암시하는 글이 있었다. (링크 존재하지 않음) 참고로 이 글이 올라온 날짜는 2015년 1월 22일. 미란다가 나온 지 여드레 뒤이다. 미란다(4.1.1.0) 업데이트 때 가로 직진 장치의 조작 방식이 바뀌었다. 원래 직진을 타면서 화면을 꾹 누르면 바로 낙하를 하였던 것이 이제는 다시 터치를 해야 직진하는 공을 떨굴 수 있다. 이로 미루어볼 때, 제작자 측에서 직진 장치의 작동 알고리즘 수정과 오베론의 오브젝트 구현을 미란다 업데이트 때부터 일찌감치 계획하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어떤 스테이지를 깨고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기 직전에 스테이지 화면으로 나가고 다른 스테이지로 가면 바운스볼이 두 개이고 맵이 섞여 있는 기상천외한 풍경을 볼 수 있다.

[1] iOS는 초신성까지 업데이트된 상태로, 업데이트 속도가 굉장히 느리다. 자세한 내용은 바운스볼/문제점 항목 참고.[2] 안드로이드 기준. *표는 추정 날짜.[3] 유일하게 추가되는 오브젝트가 없는 월드이다.[4] 하지만 이 월드의 마지막 스테이지는 꽤 어렵다.[5] 플랑크(30)와 최초의 은하(31)도 만만치 않다는 평가도 있다.[6] 미란다의 경우 시작할 때 왼쪽 밑에 있는 이동 발판을 밟아야 한다는 점에서 수직 하강을 해야 한다는 전통은 깨지지 않은 것일지도 모른다.[7] 오베론 20스테이지는 이와는 정반대로 수직 상승을 하여 별을 먹어야 한다.[8] 측면으로 닿을 경우 공을 터트리므로 장애물로 볼 수도 있지만, 아이템 이터를 밟고 더 높이 뛰거나, 아이템을 가져 오는 용도로 활용하는 레벨들도 많으므로 무조건 장애물로 볼 순 없고, 도움을 주는 요소로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바운스볼 문서의 r25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바운스볼 문서의 r25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