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사이사이상

덤프버전 :

분류

Ramon Magsaysay Award

1. 개요
2. 역사
3. 시상
4. 부문
5. 한국인 수상자



1. 개요[편집]


라몬 막사이사이필리핀 대통령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상이다. 아시아 지역에서 사회 공헌 등 업적을 남긴 개인이나 단체에게 수여된다. 정식 명칭은 '라몬 막사이사이상'이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막사이사이상'으로 수록되었다.

아시아의 노벨상이라는 별칭이 존재한다.

2. 역사[편집]


1957년 라몬 막사이사이가 사망하자 록펠러 재단의 출자로 '라몬 막사이사이상 재단(RMAF)'이 창설되고 1958년 첫 수여식이 거행되었다.


3. 시상[편집]


인종, 신앙, 성별, 국적을 불문하고 각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개인 또는 단체에게 메달과 상금이 수여되며 매년 막사이사이의 생일인 8월 31일에 수여식이 진행된다.


4. 부문[편집]


  • 정부 (1958년 ~ 2008년)
  • 공공 봉사 (1958년 ~ 2008년)
  • 사회 지도 (1958년 ~ 2008년)
  • 언론, 문학, 창조성 교류 (1958년 ~ 2008년)
  • 평화, 국제 이해 (1958년 ~ 2008년)
  • 신흥 지도자 (2001년 ~ 계속)
신흥 지도자를 제외한 5개 부문은 1958년부터 2008년까지 수여되다가, 2009년부터는 부문을 나누지 않고 통합하여 수여하고 있다.

신흥 지도자 부문은 1996년에 1회성으로 수여된 후 2000년에 포드재단의 지원으로 상설화되어 계속되고 있다.


5. 한국인 수상자[편집]


파일:Magsaysay_award_medal.png 한국인 막사이사이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62년1963년1966년1969년
장준하김활란김용기김형서
1975년1978년1979년1980년
이태영윤석중장기려엄대섭
1981년1986년1989년1996년
강정렬제정구김임순오웅진
2002년2005년2006년2007년
법륜윤혜란박원순김선태
2019년
김종기



  • 공공 봉사
    • 김활란(1963)
    • 김용기(1966)
    • 김형서(1969)
    • 장기려(1979)
    • 엄대섭(1980)
    • 오웅진(1996)
    • 박원순(2006)
    • 김선태(2007)[1]
  • 사회 지도
  • 언론, 문학, 창조성 교류
  • 평화, 국제이해
  • 신흥 지도자
  • 통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07:07:58에 나무위키 막사이사이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각장애의 한계를 딛고 실로암시각장애인복지회를 설립해 봉사활동을 해온 목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