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건 톰

덤프버전 :

로건 톰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rowbgcolor=#ffd700> 대회 || 선수명 || 전체 득점 || 경기당 평균 ||
|| 2000 시드니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바바라 옐리치 || 204점 ||<#fff3b2> 29.1점 ||
|| 2004 아테네 ||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카테리나 가모바 || 204점 || 25.5점 ||
|| 2008 베이징 || 파일:미국 국기.svg 로건 톰 || 124점 || 15.5점 ||
|| 2012 런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경 ||<#fff3b2> 207점 || 25.9점 ||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파일:중국 국기.svg 주팅 || 179점 || 22.4점 ||
|| 2020 도쿄 ||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티아나 보스코비치 || 192점 || 24.0점 ||
||<-5> 2000 시드니 대회에서 도입한 랠리 포인트 제도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상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colbgcolor=#ffce01><rowbgcolor=#ffce01><:>대회||<width=13%><:>득점상||<width=13%><:>공격상||<width=13%><:>서브상||<width=13%><:>블로킹상||<width=13%><:>세터상||<width=13%><:>리시브상||<width=13%><:>디그상||
|| 2000 || 옐리치 || 토레스 || 고디나 || 스콧-아루다 || 포팡 || 구기란 || 리마 ||
|| 2004 || 가모바 || 장핑 || 바로스 || 가모바 || 펑쿤 || 장나 || 시코라 ||
|| 2008 || 로건 톰 || 칼데론 || 산투스 || 아라키 || 포팡 || 저우쑤홍 || 장나 ||
|| 2012 || 김연경 || 후커 || 카스트로 || 파비아나 || 스타르체바 || 가라이 || 까스티요 ||
||<-8><:><bgcolor=#ffce01><color=#000>아래 연도부터 기록상 수상을 폐지하고 베스트팀 수상으로 변경되었다. ||
|| 2016 || 주팅 || 주팅 || 라시치 || 라시치 || 글래스 || 포포비치 || 데비 스탬 ||
|| 2020 || 보스코비치 || 가라이 || 보스코비치 || 가타즈 || 오그네노비치 || 웡-오란테스 || 오지영 ||
||<-8><bgcolor=#ffce01> MVP · 기록상 · 베스트팀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191919> 1993년 ||<width=20%> 1994년 ||<width=20%> 1995년 ||<width=20%> 1996년 ||<width=20%> 1997년 ||
|| 미레야 루이스
파일:쿠바 국기.svg || 페르난다 벤트리니
파일:브라질 국기.svg || 타라 크로스-배틀
파일:미국 국기.svg || 레일라 바로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예브게니야 아르타마노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1998년 || 1999년 || 2000년 || 2001년 || 2002년 ||
|| 레일라 바로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비르나 디아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 다니엘 스콧-아루다
파일:미국 국기.svg || 예브게니야 아르타마노바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파울라 카둘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로건 톰
파일:미국 국기.svg || 파울라 페케누
파일:브라질 국기.svg || 셰일라 카스트로
파일:브라질 국기.svg || 마농 플리에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마리 스테인브레혀
파일:브라질 국기.svg || 셰일라 카스트로
파일:브라질 국기.svg || 폴루케 아킨라데우
파일:미국 국기.svg || 데스티니 후커
파일:미국 국기.svg || 메건 하지
파일:미국 국기.svg ||
||<rowbgcolor=#fff,#191919>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 타이사 메네지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노 유코
파일:일본 국기.svg || 카스타 로우
파일:미국 국기.svg || 나탈리아 페레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 나탈리아 페레이라
파일:브라질 국기.svg ||
||<-5><bgcolor=#ddd,#212121> 2017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되고 네이션스리그로 개편되었다. ||
||<-5><bgcolor=#fff,#191919> 메이저대회 MVP | 올림픽 · 세계선수권 · 월드컵 · 월드그랑프리 · 네이션스리그 · 그랜드챔피언스컵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5%><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03-2004 ||<width=25%> 2004-2005 ||<width=25%> 2005-2006 ||<width=25%> 2006-2007 ||
|| 네슬리한 데미르
바키프방크 / OPP
파일:터키 국기.svg || 로건 톰
치에리 / OS
파일:미국 국기.svg || 타이스마리 아궤로
노바라 / OS
파일:쿠바 국기.svg || 류보프 소콜로바
무르시아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07-2008 || 2008-2009 || 2009-2010 || 2010-2011 ||
|| 베스나 조바노비치
페자로 / MB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크리스티나 바르첼리니
노바라 / 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카르멘 툴레
부스토 아르시치오 / OP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키아라 디 울리오
우르비노 / O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11-2012 || 2012-2013 || 2013-2014 || 2014-2015 ||
|| 아네타 하블리치코바
부스토 아르시치오 / OP
파일:체코 국기.svg || 산야 포포비치
무시나 / OP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김연경
페네르바흐체 / O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타티아나 코셸레바
크라스노다르 / OS
파일:러시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15-2016 || 2016-2017 || 2017-2018 || 2018-2019 ||
|| 나탈리아 말리흐
크라스노다르 / OP
파일:러시아 국기.svg || 발렌티나 디우프
부스토 아르시치오 / OP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티아나 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 OP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브리트 헤르보츠
부스토 아르시치오 / OS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rowcolor=#fff><rowbgcolor=#00012D> 2019-2020 || 2020-2021 || 2021-2022 || 2022-2023 ||
|| 공석[a] || 알레시아 오로
사우젤라 몬자 / S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4><bgcolor=#fff,#191919>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대회 중단 ||



파일:로건 톰.jpg
로건 톰
Logan Tom
본명로건 마일리 레이 톰
Logan Maile Lei Tom
출생1981년 5월 25일 (43세)
캘리포니아 주 내파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포지션윙스파이커
신체 조건신장 186cm, 체중 80kg
점프 높이스파이크 높이 306cm, 블로킹 높이 297cm
학력스탠퍼드 대학교
국가대표미국 국가대표팀 (2001~2012)
소속팀
[ 펼치기 · 접기 ]
미나스 테니스 (브라질, 2002~2003)
Monte Schiavo Jesi (이탈리아, 2003~2004)
Bigmat Kerakoll Chieri (이탈리아, 2004~2005)
볼레로 취리히 (스위스, 2005~2006)
CV Tenerife (스페인, 2006~2007)
디나모 모스크바 (러시아, 2007~2008)
히사미츠 스프링스 (일본, 2008~2009)
아시스텔 노바라 (이탈리아, 2009~2010)
광둥 에버그란데 (중국, 2010~2011)
페네르바체 유니버셜 (2011~2012)
Rio de Janeiro Vôlei (브라질, 2012~2013)
Openjobmetis Ornavasso (이탈리아, 2014)
RC 칸 (프랑스, 2014~2015)
할크방크 (터키, 2015)
Jakarta Pertamina Energi (인도네시아, 2015~2016)
Harbour Raiders (뉴질랜드, 2016~2017)
Maccabi XT Haifa (이스라엘, 2017~2019)
Hapoel Kfar Saba (2019~2020)

1. 개요
2. 상세
3. 선수 경력
3.1. 개인 수상
3.2. 국가대표 경력
3.3. 클럽 경력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의 배구선수이자, 2008 베이징 올림픽, 2012 런던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이다.


2. 상세[편집]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대회 득점 1위를 하며 미국이 은메달을 따내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곧이어 이적한 V.리그히사미츠 스프링스에선 아쉬운 모습을 보여주며 아시아 배구와는 안 맞는다는 평을 받았다.[1] 2라운드까진 득점 1위를 하며 괜찮았으나 3라운드에 들면서 페이스가 점점 떨어졌고, 플레이오프를 거치며 플레이가 안 풀리는 듯 했다. 특히 광주에서 열린 2009년 한·일 V리그 TOP매치에서 부진하며 로건 톰의 플레이를 한국에서 처음 봤던 한국팬들에겐 아쉬움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2011-12시즌 페네르바체 유니버셜에서 김연경과 함께 뛰며 최고의 올라운더라는 평가가 무색하지 않은 플레이를 보여주며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뤄내 한국팬들에겐 톰여사라는 애칭을 얻게 되었다.

소속팀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전세계 배구리그를 옮겨 다니는 저니우먼으로, 아주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이다. 한국의 V-리그에 한번도 오지 않은게 미스터리한 정도.

미국의 레전드 올라운드 플레이어이며, 미국 국가대표에선 조던 라슨[2]이 로건 톰의 후계자라 볼 수 있다.


3. 선수 경력[편집]



3.1. 개인 수상[편집]


  • 2001-02 NCAA 대학리그 MVP
  • 2002-03 NCAA 대학리그 베스트 스파이커
  • 2003 몽트뢰 볼리마스터스 리시브상
  • 2003 옐친컵 서브상
  • 2003 팬아메리칸컵 리시브상
  • 2004 FIVB 월드그랑프리 MVP
  • 2004 FIVB 월드그랑프리 득점상
  • 2004 FIVB 월드그랑프리 서브상
  • 2004-05 CEV컵 MVP
  • 2005-06 스위스 리그 MVP
  • 2008 베이징 올림픽 득점상
  • 2010 FIVB 세계선수권 리시브상
  • 2011 NORCECA 대륙선수권 서브상


3.2. 국가대표 경력[편집]


  • 올림픽 은메달 (2) : 2008, 2012
  • FIVB 세계선수권 준우승 (1) : 2002
  • FIVB 월드컵 준우승 (1) : 2011
  • FIVB 월드컵 3위 (2) : 2003, 2007
  • FIVB 월드그랑프리 우승 (3) : 2001, 2010, 2011, 2012
  • FIVB 월드그랑프리 3위 (2) : 2003, 2004
  • NORCECA 대륙선수권 우승 (3) : 2001, 2003, 2011
  • 팬아메리칸컵 우승 (1) : 2003


3.3. 클럽 경력[편집]


  • 2002-03 브라질 슈퍼리가 준우승
  • 2003-04 이탈리아 세리에 A1 3위
  • 2004-05 이탈리아 세리에 A1 5위
  • 2005-06 스위스 리그 우승
  • 2006-07 스페인 슈퍼리가 준우승
  • 2006-07 CEV 챔피언스리그 3위
  • 2007-08 러시아 슈퍼리그 준우승
  • 2008-09 일본 V.리그 준우승
  • 2010-11 중국 슈퍼리그 준우승
  • 2011-12 터키 아로마리그 3위
  • 2011-12 CEV 챔피언스리그 우승
  • 2012-13 브라질 슈퍼리가 우승
  • 2014-15 프랑스 리그 A 우승
  • 2015-16 인도네시아 프로리가 준우승
  • 2016-17 뉴질랜드 챔피언십 우승
  • 2017-18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 우승
  • 2018-19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 우승
  • 2019-20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 우승


4. 여담[편집]


  • 비시즌에 비치발리볼 선수로도 뛰었다.

김연경이 누군지 알고싶다면 미국의 레전드 올라운드 플레이어 로건 톰을 떠올리면 된다. 그녀는 로건톰과 같이 올라운드 플레이어지만 공격력은 훨씬 뛰어난 선수다. 그녀가 세계 최고의 올라운드 플레이어라는데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 김연경과 나이차이가 상당히 나는지라 같이 뛰며 김연경을 꽤나 귀여워했다. 평소에는 차가운 얼굴과 냉정한 포스로 같은 미국 국가대표 후배들도 어려워하는 선수라는 걸 생각하면 신기할 따름.

  • 2012 챔피언스 리그 우승 이후 시상식에서 카메라를 악착같이 피하는 모습이 팬들에게 웃음을 안겨주었다.


5. 관련 문서[편집]



[1] 로건 톰은 워낙 공격과 수비 밸런스가 뛰어난 선수라서 서양 팀에서는 눈에 띄는 선수이지만, 수비가 뛰어난 일본(내지 아시아)에선 한방이 되는 용병이 더 필요한 경우가 많다. 2020-21 시즌 현대건설 용병 헬렌 루소가 기대만큼 못해주는것도 같은 맥락.[2] 2018-19시즌 엑자시바시, 2021-22시즌 상하이에서 김연경과 함께 뛰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7:36:03에 나무위키 로건 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