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블스 플랜/4일차

덤프버전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개요
2. 게임 시작 전
3. 메인 매치: 동물원
3.1. 추가 정보 및 전략
3.2. 게임 진행
3.3. 게임 결과
3.4. 메인 매치 평가
4. 메인 매치 종료 후
5. 상금 매치: 양팔 저울
5.1. 추가 정보 및 전략
5.2. 게임 진행 결과
5.3. 상금 매치 평가
6. 상금 매치 종료 후
7. 4일차 감옥
8. 4일차 피스 변동



1. 개요[편집]


데블스 플랜의 4일차 내용 및 진행 과정을 정리한 문서. 본편 7~8화 분량에 해당한다.

2. 게임 시작 전[편집]



3. 메인 매치: 동물원[편집]


4th Main Match
동물원

Zoo
RULE
{{{-1
{{{-1

1
플레이어들은 딜러룸에서 동물 카드 3장과 개인 규칙 카드 1장을 뽑는다.
2
동물 카드는 뱀, 앵무새, 코끼리, 사자, 원숭이 5종류의 동물 카드가
6장씩 구성된 총 30장의 덱을 사용하며 뒤집어진 카드중 3장을 골라 뽑는다.
3
동물 카드를 뽑은 뒤 3장의 동물 카드를 어떤 순서로 조합할지 정해 딜러에게 제출한다.
4
조건 카드는 동물 카드의 숫자를 비교하는 내용이며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조건 카드의 내용은 모두 다르다.
5
동물 조합과 개인 조건이 정해지면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동물 조합 카드중 1장을 전체 공개해야한다.
나머지 동물 카드, 조합 순서, 개인 조건은 공개되지 않는다.
6
게임판은 5*5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물 타일은 5종류의 동물이
4개씩 총 20개가 들어있는 A,B 두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다.
7
게임이 시작되면 각 그룹에서 경매에 올려질 4개의 타일 총 8개의 타일이 공개된다.
8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동물 조합과 개인 조건을 고려해 타일에 입찰한다.
9
타일은 위에서 아래로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아래부터 배치된다.
10
플레이어들은 30개의 크레딧을 기본 자금으로 가지고 시작한다.
크래딧은 딜러룸에 보관되어 있으며 다른 플레이어의 크레딧 갯수는 알 수 없다.
11
매 경매 마다 플레이어는 1명씩 딜러룸으로 들어가 A,B 중 원하는 그룹에 입찰한다.
최소 1크레딧을 입찰하며, 입찰시 자신이 낙찰받을 경우 해당 타일을 어떻게 배치할지도 정해야 한다.
소비한 크레딧은 낙찰에 실패해도 돌려받지 못한다.
12
두 그룹 중 크레딧이 적게 모인 그룹이 낙찰되며, 낙찰된 그룹에서
크레딧을 가장 많이 쓴 플레이어가 낙찰자가 되어 자신이 정한 배치로 타일이 배치된다.
낙찰되지 않은 타일은 버려진다.
단 두 그룹의 크레딧이 같거나 낙찰 그룹의 최대 입찰 크레딧이 동률일 경우,
해당 경매는 무효가 되어 입찰한 크레딧을 반환한 뒤 재경매를 진행한다.
13
해당 경메에서 사용된 총 크레딧 수와
최종 타일배치가 공개된뒤 라운드가 종료된다.
낙찰자는 공개되지 않는다.
14
게임은 5라운드로 진행되며 타일이 20개 배치된 뒤 종료된다.
게임 종료후 자신이 정한 동물 조합이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순서대로 배치되면 성공한 조합 1개당 1점을 획득한다.
(역방향 조합도 인정) 또한 개인조건 달성시 승점이 2배가된다.
15
승점 결과에 따라 피스가 증감된다.
또한 단독 우승일 경우 우승자는 피스 3개를 추가로 획득한다.
2점 이상1점0점
+1개변동없음-1개
}}} ||

  • 개인 규칙은 '타일 배치에서 A보다 B가 더 많다'의 형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 크레딧 입찰 순서는 동물 & 규칙 카드 선택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 동물 타일 추첨 후 입찰 시간 전까지 30분이 제공된다.

3.1. 추가 정보 및 전략[편집]


'총량이 정해진 자원을 뽑아 원하는 캐릭터가 나오도록 한다'는 점은 호러 레이스를, '타일이 쌓이도록 배치한다'는 점은 중력 빙고를, '정해진 재화로 점수 획득에 입찰하며 낙찰 기준에 딜레마가 적용된다'는 점은 콩의 딜레마를 연상시킨다. 콩의 딜레마가 '자신의 재화를 사용해 팀의 승리를 노리며, 자신의 이득을 위해 재화를 적게 사용해야 한다'는 딜레마가 존재한다면, 동물원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타일을 배치해 개인의 승리를 노리며, 많은 재화를 사용해야 하지만 원하는 그룹이 낙찰되지 않을 수 있다'는 대조적인 성격의 딜레마를 지녔다.

  • 동물 카드 간 순서 설정
어떤 동물 카드가 나올 지 확정할 수 없으나, 카드 선택 이후 다른 플레이어와 대화가 가능하기에 우선 번호 플레이어가 선택한 조합과 가능하다면 곂치게 구성하는게 좋다. 특히 방송에 나온대로, 가운데 동물이 겹치게 구성한다면, 연합 내 구성원들의 공존이 더 용이해진다.

3.2. 게임 진행[편집]


  • 동물 조합 & 개인 조건 선택: 공개 동물은 ★표기
순번플레이어동물 조합개인 규칙
1조연우코끼리뱀★코끼리사자>앵무새
2하석진원숭이사자★원숭이>코끼리
3서동주사자★사자>원숭이
4궤도원숭이★앵무새코끼리코끼리>
5곽준빈앵무새★사자코끼리>원숭이
6박경림원숭이뱀★코끼리원숭이>
7이시원코끼리앵무새★원숭이코끼리>앵무새
8승관앵무새사자★앵무새앵무새>사자
9서유민사자★앵무새원숭이원숭이>사자
  • 뱀: 4개, 사자 5개, 코끼리 6개, 원숭이 6개, 앵무새 6개

승관은 궤도에게 감옥에 무언가 있다는 정보를 알리고, 준빈은 옷을 갈아입는다는 핑계로 승관을 불러내 궤도에게 금고의 존재를 알리지 말라고 한다. 준빈은 금고 보상이 위기를 탈출하는 것이라고 추측하며, 만약 추측이 맞고 궤도라면 보상을 다른 사람을 생존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할테니 자신, 승관, 연우만 정보를 가지고 있자고 주장한다.

시크릿 넘버에서 감정적으로 고생했던 상황에 대한 사과를 겸해 준빈은 유민에게 연합을 제안하고, 유민은 두 사람 중 너를 선택한 것이라며 받아들인다.

  • 1라운드
그룹타일 추첨입찰 내역
A조코끼리사자하석진 8, 서동주 7미확인합계
41개
B조코끼리앵무새코끼리곽준빈 4, 궤도 4, 서유민 4, 승관 4
'자신에게 딱 맞는 뱀-뱀-사가 등장해 A를 노리는 서동주 vs 앵무새를 얻고 싶어 A를 터트리려는 이시원'의 구도가 되었다.
  • 2라운드
그룹타일 추첨입찰 내역
A조앵무새사자원숭이코끼리곽준빈 13, 이시원 10,미확인합계
59개
B조사자원숭이원숭이서유민 10, 서동주 4, 승관 4,

  • 3라운드
그룹타일 추첨입찰 내역
A조코끼리원숭이앵무새박경림 13, 이시원 12미확인총합
60개
B조사자사자원숭이사자승관 4, 서동주 4, 서유민 1

궤도는 최대한 많은 플레이어들이 점수를 획득해 피스 감소가 없는 상황을 만들고자 하고, 조연우는 유일한 피스 1개로 탈락 위기인 자신을 지나칠 수 없을 것이라 판단해 궤도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합류한다.

승관은 준빈이 궤도에게 자신의 조합을 전달해줬다고 생각했으나, 당연히 준빈은 승관이 직접 전달했다고 생각해 따로 궤도에게 알려주지 않았다. 입찰 진행 중에나 소통이 되지 않았단 사실을 뒤늦게 깨닫고 궤도, 곽준빈, 승관은 물론 동주와 경림도 당황한다. 동주 입찰 차례에서 궤도는 '조연우가 코-뱀-코, 승관은 앵-사-앵이기에 A에서 배치해도 둘 중 하나는 득점하지 못한다'며, 피스가 1개인 연우를 살리라고 지시한다. 이어서 궤도는 승관에게 자신 피스 1개를 양도할테니 연우를 살리자고 제안하고, 승관은 수긍한다.

  • 4라운드
그룹타일 추첨입찰 내역
A조앵무새원숭이원숭이코끼리서동주 ?, 궤도 ?, 곽준빈 ?, 박경림 ?, 승관 ?, 서유민 1미확인총합
43개
B조코끼리앵무새코끼리조연우 13

서동주는 '궤도의 최대 다수의 생존이라는 전제를 따르되, 처음 4인 연합(궤도, 준빈, 동주, 승관)의 생존과 안위를 우선시하자'라는 일전의 약속과 어긋나게 된 상황을 두고 궤도에게 불만을 드러내고, 준빈 역시 동의한다. 궤도는 처음으로 스스로의 관점에 회의감을 느끼고, 이를 본 시원은 위로와 함께 '우리는 오래 살아남으려고 온 것이 아니라 우승자를 가리기 위해 왔다'는 말을 건낸다.

  • 5라운드
그룹타일 추첨입찰 내역
A조사자앵무새사자서유민 11, 서동주 6미확인총합
60개
B조앵무새앵무새원숭이곽준빈 ?, 궤도 ?, 하석진 ?, 이시원 ?

타일 추첨에서 사자가 나오자 플레이어들은 당황하는데, 알고 보니 '각각의 추첨 박스마다 20개의 동물 타일이 배정되어 있다'는 규칙을 '두 개의 추첨 박스를 합쳐 20개의 동물 타일이 배정되어 있다'고 잘못 이해했던 것이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승관이 점수를 얻을 수 있는 배치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서동주는 자신의 우승을 위해 다른 플레이어들이 B조에 전부 입찰해달라 요청한다.

그러나 입찰자는 서동주가 아니었다. 사실 곽준빈-서유민 연합이 곽준빈의 단독 우승을 노리고 있었고, 서유민은 3, 4라운드에서 크레딧을 아껴 5라운드에 전부 입찰해 곽준빈에게 유리한 배치를 해 주었다. 하지만 곽준빈은 서동주의 개인 조건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였고, 때문에 두 플레이어 모두 최다 득점을 기록하며 단독 1위 피스 보상은 무산되었다.

빙고판 배치 결과

{{{-1

5R

{{{-1

3R

{{{-1

1R

{{{-1

2R

{{{-1

5R

{{{-1

3R

{{{-1

1R

{{{-1

2R

{{{-1

5R

{{{-1

4R

{{{-1

3R

{{{-1

1R

{{{-1

2R

{{{-1

5R

{{{-1

4R

{{{-1

3R

{{{-1

1R

{{{-1

2R

{{{-1

4R

{{{-1

4R
  • 뱀, 코끼리(5개) > 사자, 앵무새 (4개) > 원숭이 (2개)


  • 게임 결과
최종 획득 승점 발표
순위플레이어승점피스 변동
1위곽준빈63 (▲1)
서동주64 (▲1)
3위조연우32 (▲1)
4위박경림24 (▲1 )
5위서유민13 ( - )
6위궤도02 (▼1)
승관01 (▼1)
이시원01 (▼1)
하석진03 (▼1)


3.3. 게임 결과[편집]


4th Main Match
동물원

Zoo
RESULTS
메인 매치 우승곽준빈, 서동주
메인 매치 통과궤도, 박경림, 서유민, 조연우, 하석진
공동 최하위자승관, 이시원
감옥 수감승관, 이시원


3.4. 메인 매치 평가[편집]


동물 카드, 규칙 카드, 타일 모두 무작위로 결정된다는 점, 크레딧 현황이 공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게임은 기존의 연합관계와 무관하게 새로운 이해관계에 따라 연합을 기회를 제작진이 던져준 것이다. 마침 합숙 기간 중 정확히 중반인 회차에 나온 것을 보아 개인의 득점을 위해 서로를 배신하는 게 일반적인 플레이 결과였을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이해관계를 위해서는 자신의 카드를 공유해야 하는데, 이때 당연히 기존에 신뢰를 쌓은 사람에게 먼저 공유를 할 수 밖에 없다. 기존의 연합 내에서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 다행이지만, 만약 동물 카드가 너무 다르다면 선택지는 두 가지뿐이다. 본인과 이해관계가 맞을 수 있는 연합 외부의 플레이어를 찾든가, 기존의 연합에서 0점만 얻지 않도록 하든가. 우승을 노리는 일부 플레이어를 제외하면 안정성이 더 높은 후자의 선택지를 고를 것이 뻔하다. 고강도의 심리전을 위해 정보를 차단했지만, 너무 많은 정보가 차단되어 오히려 연합을 선택하게 되는 괴이한 상황.

차라리 각자의 동물 카드를 모두 공개하는 식으로 진행하거나, 동물 간의 위계가 정해져 있고 무조건 가운데 카드를 오픈해야 한다는 등의 규칙이 추가됐다면 철저히 카드에 따른 이해 관계가 형성되었을 것이다. 같은 가운데 카드를 가진 사람들 간의 소규모 연맹 싸움으로 이어질 수 있었을 것이다.

실상은 출연진 전반이 이해도가 심각하게 떨어져 그냥 기회 되면 서로를 밀어주고 아님 말고 따위가 나왔다. 방송을 보다시피 크레딧 제출 현황을 대부분 통편집해 입찰은 의미가 없었다. 마지막엔 대놓고 서동주가 자기 점수 먹게 밀어달라는 말을 공공연하게 내뱉을 정도였다. 심지어 A,B 그룹마다 각각 20개의 입찰 타일이 존재한다는 규칙도 숙지하지 못해 진작에 탈락한 마냥 우울해하기도 했다. 요약 그나마 유일하게 곽준빈-서유민 연합만이 곽준빈의 단독 우승을 밀었으나 서동주와 공동 1위를 차지하는 바람에 무산되었다.

4. 메인 매치 종료 후[편집]


  • 박경림은 곽준빈에게 피스 1개를 양도하며 3일차 메인 매치 중 곽준빈이 티켓 구매를 위해 피스 1개를 소모했던 빚을 갚았다.

5. 상금 매치: 양팔 저울[편집]


4th Prize Match
양팔 저울

Scale Game
RULE
{{{-1
{{{-1

1
게임 규칙 설명 전, 참가자들은 지정된 인원 수에 맞게 각자 방으로 이동한다. (7명 기준으로 3명, 2명, 2명)
양팔저울은 무게가 다른 광물들을 양팔저울에 올려 균형을 맞추고, 각 광물의 무게를 모두 알아내야 하는 게임이다.
플레이어들에게는 빨강,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다섯 가지 색깔의 광물이 각각 2개씩, 총 10개가 지급된다. 각 광물의 무게는 1g 이상, 20g 이하이며, 광물의 무게를 Ng이라고 했을 때 N은 자연수이다. 게임 시작 시 하나의 색깔 광물에 대한 무게 정보가 제공된다.
플레이어들에게 지급받은 나무 큐브는 진행을 위한 광물의 상징물로, 각 광물에 지정된 무게와는 관계가 없다. 모든 광물의 교환과 양도는 불가능하다.
플레이어들은 보유한 광물들을 저울에 올려 그 결과를 단서로 저울의 균형을 맞추고 각 광물의 무게도 정확히 유추해 내야 한다.
양팔저울은 메인 저울과 보조 저울이 준비되어 있다. 메인 저울은 플레이어들이 광물을 올려 최종적으로 균형을 맞춰야 하는 저울이다. 보조 저울은 추가적으로 계산에 활용힐 수 있는 저울로 보조 저울의 균형은 맞추지 않아도 된다.
플레이어들은 각 방에 지정된 순서 스티커를 자유롭게 나눠서 부착한다. 순서는 모든 플레이어들에게 공개된다. 해당 순서에 맞춰 각 방의 움직이지 않는 모형 저울 위에 나무 큐브를 올리면, 모니터에 저울의 결과가 전체 공개된다.
자신의 차례에 최소 2개 이상의 광물을 제한 시간 5분 내로 저울에 올려야 한다. 1개의 저울만 사용할 수도, 2개의 저울 모두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광물을 올린 결과 메인 저울의 양쪽 광물 구성이 동일해서는 안 된다. 한번 저울에 올린 광물은 다시 회수할 수 없으며, 저울에 계속 누적된다.
자신의 차례에 메인 저울의 균형이 맞춰지면 자신의 피스 1개를 제출하고 각 광물의 무게를 맞힐 수 있다. 정답을 모두 맞혔다면 상금 매치에 성공하고 정답을 맞힌 플레이어는 보상으로 피스 2개를 획득한다. 물론 균형만 맞추고 정답을 맞히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정답 선언 시 하나라도 오답이 나올 경우 소모한 피스는 돌려받을 수 없으며, 다른 방의 플레이어들에겐 오답 여부만 공개되고 게임이 계속 진행된다.
광물을 전부 소진하거나 1개만 남은 플레이어는 더 이상 광물을 저울에 올릴 수 없고, 정답을 맞힐 기회도 없다.
모든 플레이어가 더 이상 광물을 저울에 올릴 수 없다면 그 즉시 게임이 종료된다.
게임 종료 시 메인 저울의 균형을 맞추고 모든 광물의 무게를 맞히는 데 성공하면 상금 매치에 성공하여 최종 상금 1억 원이 추가된다. 반대로 메인 저울의 균형을 맞추지 못했거나, 각 광물의 무게를 알아내지 못했다면 상금 매치에 실패한다.
규칙 설명 10분 뒤 상금 매치를 시작한다.


5.1. 추가 정보 및 전략[편집]


게임 규칙과 별개로 '5종류의 광물과 저울을 통해 무게가 다르다는 점을 활용한다'는 디자인은 광부 게임에서 모티브를 얻은 듯 하다. 상기한 대로 아쉽게도(?) 광물 소품은 광물의 무게와는 무관하다. 무게가 같아

5.2. 게임 진행 결과[편집]


  • 순서 및 방 배정
순서1234567
플레이어조연우박경림곽준빈서유민서동주궤도하석진
방 배정부엌정비실딜러룸부엌정비실부엌딜러룸

  • 게임 진행: 취소선은 방송에서 편집되어 정확한 광물 배치 확인이 불가능한 턴
메인 저울보조 저울잔여 광물
균형균형
1R조연우노1
빨1초1
파1
박경림노1보1
빨1노1빨1초1
빨1파1
곽준빈노1보1
빨2노1빨1초1
빨2파1
서유민노1보1
빨3노1빨1초1<빨2파2
서동주노1보1<빨4노1빨1초2
빨2파2
궤도편집됨
하석진노1파1보1<빨4노1초1빨2초2보1
빨2파2보1
2R조연우노1파2보1
빨4노1초1빨2초2보1<빨2노1파2보1
박경림노1파2보1
빨4노2초1빨2초2보2
빨2노1파2보1
곽준빈편집됨
서유민편집됨
서동주노1파2보1<빨4노2초1보1빨2노1초2보4<빨2노2파3보2
궤도노1파2보1<빨4노2초1보1빨3노2초2보4
빨2노2파3보2
하석진노1파2보2<빨4노2초1파1보1빨3노2초2보4
빨2노2파3보2
3R조연우노1파2보2<빨4노2초1파1보1빨3노2초2보4<빨3노2파3보3
박경림노1초1파2보2
빨4노2초1파1보1빨3노2초3보4
빨3노2파3보3파2
곽준빈노1초1파2보2
빨4노2초1파1보1빨3노2초3보4<빨3노2파4보4노1초2
서유민노1초1파2보2
빨4노2초1파1보1빨3노2초3파1보5<빨3노2초2파4보4빨1노1
서동주노1초1파2보2<빨4노2초1파2보1빨4노2초3파1보5<빨3노2초2파4보4
궤도노1초1파2보2<빨4노2초1파2보1빨4노2초3파3보5<빨3노2초3파4보4노1초1보1
하석진빨1노1초1파2보2<빨4노2초1파2보1빨4노3초3파3보5
빨3노2초3파4보4빨1노1초1
4R조연우빨1노1초1파2보3<빨4노2초1파2보1빨4노3초3파3보5<빨3노2초4파4보4없음
박경림빨1노1초1파3보3
빨4노2초1파2보1빨4노3초3파4보5=빨3노2초4파4보4없음
곽준빈빨1노1초1파3보3
빨4노2초1파2보1빨4노3초4파4보5=빨3노2초5파4보4노1
서유민빨1노1초1파3보3
빨5노3초1파2보1빨4노3초4파4보5=빨3노2초5파4보4없음
서동주빨1노1초1파4보3<빨5노3초2파2보1빨4노3초4파4보5=빨3노2초5파4보4노2
궤도빨1노1초1파4보3<빨5노3초3파2보2빨4노3초4파4보5=빨3노2초5파4보4노1
하석진빨1노2초2파4보3
빨5노3초3파2보2빨4노3초4파4보5=빨3노2초5파4보4빨1
5R서동주편집됨
하석진편집됨

  • 기본 정보: 노란색 광물은 3번째로 무겁고 10g이다.
  • 1턴:
  • 2턴:
  • 3턴: 궤도 차례에서 광물의 무게 순서가 빨강 < 보라 < 노랑 < 파랑 < 초록으로 확정되었고, 빨강이 2g, 보라가 7g으로 밝혀졌다.
  • 4턴: 박경림 차례에서 균형이 맞춰지며 초록이 19g으로 밝혀졌고, 궤도는 파랑이 16g을 계산하여 모든 광물의 무게를 가장 먼저 찾는 데 성공한다.

5.3. 상금 매치 평가[편집]


게임 시작 전 이공계 3인방과 수포자(...) 3인방과 의사이 골고루 나뉘었고, 규칙 설명 이후 전력 배분이 균등하게 이뤄졌다며 플레이어들은 안심했다. 하지만 서동주는 시작부터 부등호를 잘못 적고 짝인 박경림은 그 잘못된 메모를 참고하며 의미 없는 배치를 해버렸다. 그나마 궤도가 배치된 3명 쪽에서 가장 계산을 빠르게 해냈으나 광물이 모자라 자신 차례에서 균형을 맞출 수 없어 다른 플레이어들이 의도를 알아주기만 기도해야 했다. 나름 분전했으나 끝까지 파랑을 계산하지 못한 곽튜브와 하석진이 정답 선언 기회를 놓치며 상금 매치에 실패한다.

게임의 내용은 궤도의 말마따나 '미지수가 4개인 부등식 문제'로, 중학생 수준의 수학 지식만 있어도 충분히 풀고도 남는 난이도였다. 때문에 피스 보상도 딱 1개만 제공된 듯 하다. '이전 게임들은 난이도가 있었으니 플레이어들이 부진할 만 하다'는 옹호적인 반응도 이번 게임에서 궤도를 제외하고 죄다 죽쑤거나 그저 의존하기만 하는 모습을 보인 탓에 플레이어 대다수의 실력이 극도로 부족하다라는 비판적인 여론이 강화되었다. 사실상 궤도를 제외하면 광물의 숫자를 제대로 유추한 사람이 없다고 보여지는데, 5분이라는 시간 압박을 고려하더라도 초장부터 실수하던 박경림-서동주나 게임 최후반까지도 숫자를 확정하지 못한 곽준빈-하석진의 실력에 대한 의구심이 증폭되었다. 리뷰 방송에서도 하석진이 "궤도를 제외한 우리 모두가 바보가 됐던 (게임)"이라고 발언하며 해당 평가가 확정되었다.

분석글 참고 #1 #2

6. 상금 매치 종료 후[편집]



7. 4일차 감옥[편집]


  • 승관은 이시원에게 감옥에 숨겨진 도어락이 있다는 정보를 공유한다.
  • 4일차 캐스트 퍼즐은 이시원이 풀어 보상을 획득했다.

8. 4일차 피스 변동[편집]


플레이어메인 매치 전메인 매치 후상금 매치 전상금 매치 후소등
곽준빈23
(▲1)
4
(▲1)
4
( - )
4
( - )
궤도32
(▼1)
2
( - )
2
( - )
3
(▲1)
박경림34
(▲1)
3
(▼1)
3
( - )
3
( - )
서동주34
(▲1)
4
( - )
4
( - )
3
(▼1)
서유민33
( - )
3
( - )
3
( - )
3
( - )
승관21
(▼1)
1
( - )
1
( - )
1
( - )
이시원21
(▼1)
1
( - )
1
( - )
2
(▲1)
조연우12
(▲1)
2
( - )
2
( - )
2
( - )
하석진43
(▼1)
3
( - )
3
( - )
3
( - )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23:40:41에 나무위키 데블스 플랜/4일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