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승우

덤프버전 :

형오(亨五)
족보명구태우(具台祐)
본관능성 구씨
출생1863년 5월 18일
전라남도 화순
사망1917년 12월 30일
전라남도 해남군
묘소전라남도 화순군
상훈건국포장

1. 개요
2. 생애
3. 주요 활동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 생애[편집]


전라남도 화순(和順) 출신의 의병이자 독립운동가인 구승우(具丞祐)는 아버지 구교심(具敎潯)과 광주 노씨인 어머니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3. 주요 활동[편집]


유림 대표였던 구승우는 일제의 을사조약 강제 체결에 항의, 봉기한 끝에 1907년 양회일을 주축으로 화순군(和順郡) 이양면(梨陽面) 일대에 설치되었던 쌍산의소(雙山義所)에 참여하였다. 그는 창의(倡義) 때 군량미 여러 석을 의진에 제공하였으며 병서에 지식이 깊어 의진의 전략 구축과 군사들의 전술 훈련에도 관여하였다.

구승우는 또한 스스로 화약을 제조하기도 했으며 2백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각 지역의 일본군 분견소를 공격해 전깃줄을 끊거나 총기와 총탄을 빼앗는 등 일본군과 교전을 벌이며 의병활동을 주도했다. 쌍산의소와 그의 행적은 '행사실기(杏史實記)', '습재실기(習齋實記)', '임전일록(臨戰日錄)' 등에 기록으로 남았다.

그러나 의병 부대가 도마치(刀摩峙)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체포된 의병장 양회일이 1908년에 장흥형무소에서 순국하자 의병은 해산을 맞이했다. 그 후 구승우는 해남의 산중으로 은신하여 수년간 서당 훈장으로서 학동들을 교육했다.

1917년 작고한 구승우에게는 2004년에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참고출처1:공훈전자사료관
참고출처2:동아일보
항일의병기념공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21:16:13에 나무위키 구승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