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include(틀:스포일러)] || [youtube(5Zq8FxpkieU)] || [youtube(3Zperr6_OQQ)] || || [[DEEMO]]에 수록된 영어 가사 버전 (보컬: [[YOHIOloid]]) || 일본어 가사 버전 (보컬: [[GUMI]])[* DEEMO 버전이 더 유명하지만 일본어 버전이 2013년에 먼저 공개되었다. 보컬은 물론이고 조성 역시 다른데 DEEMO 버전은 사장조(G major)인 반면 일본어 버전은 라올림장조(D# major)이다.] || The Hoshizora Project에서 작곡한 곡. 동일한 작곡가의 곡 "Aurorae"의 후속곡이며, [[DEEMO]]의 수록곡으로 유명하다. == 가사 == ||
<#fff>
'''post-script (YOHIOloid ver.)'''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 '''It's been so long, a year since then''' ## 심각한 오역일 수 있다. It's been so long은 오랜만이야란 뜻임. 정말 오랜만이야, 마지막으로 만난지 1년이 지났구나. '''Do you still remember our past?''' 아직 우리의 과거를 기억하니? '''We dashed ahead, I didn't know''' 우리는 앞으로 달려왔지만 나는 알지 못했어 '''I see that it went really fast''' 정말 빠르게 흘러갔구나 '''Here deep in my memories''' 이곳, 나의 기억 깊이 '''I'm searching the unchanging you''' 변치 않는 너를 찾고 있어 '''And until this point, here and now''' 지금껏, 이곳에서 이 순간에도 '''I'm waiting for you to break through''' 네가 이겨내기를 기다리고 있어 '''I really badly want to see you once more''' 너를 다시 한 번, 너무나 보고 싶어 '''Just for a moment, that is all I ask for''' 한순간이어도 좋으니 나의 바람은 그것뿐이야 '''I am not reaching you somewhere, oh so far''' 나는 너에게 닿을 수 없어, 너무 멀어 '''You are my distant star''' 너는 나에게 까마득한 별이니까 '''I really badly want to see you right now''' 지금 당장 너를 너무나 보고 싶어 '''And all the times we shared but I wonder how''' 그리고 우리가 나눈 시간들을 보고 싶어, 어떡해야 할까 '''Maybe it's just too late?''' 너무 늦어버렸을까? '''Still I have a wish to send you''' 너에게 보낼 소원을 여전히 품고 있어 '''Oh please come true''' 제발 이루어지기를}}} || ||
<#fff>
'''post-script (GUMI ver.)'''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 あれからは一年、 ^^아레카라와 이치넨,^^ 그로부터 1년, 覚えているかな? ^^오보에테 이루카나?^^ 기억하고 있을까? そんなに早くて、 ^^손나니 하야쿠테,^^ 그렇게나 빨라서, きずかないなんて ^^키즈카나이 난테^^ 모르고 있었다니 말야 思い出の中に、 ^^오모이데노 나카니,^^ 추억 속에서 変わらない君を探してる ^^카와라나이 키미오 사가시테루^^ 변하지 않는 너를 찾고 있어 僕は今でも待ってる ^^보쿠와 이마데모 맛테루^^ 나는 지금도 기다리고 있어 もう一度君に会いたい ^^모오 이치도 키미니 아이타이^^ 다시 한번 너를 만나고 싶어 一秒でもいいから ^^이치뵤오데모 이이카라^^ 1초라도 좋으니까 届かないの? ^^토도카나이노?^^ 닿을 수 없는 거야? あの遠い星みたいに… ^^아노 토오이 호시 미타이니...^^ 저 멀리에 있는 별처럼... 今すぐ君に会いたい ^^이마 스구 키미니 아이타이^^ 지금 바로 너를 만나고 싶어 戻してほしいあの時間を ^^모도시테 호시이 아노 지칸오^^ 돌려줬으면 좋겠어 그 시간을 もう遅いの? ^^모오 오소이노?^^ 이제 늦은 걸까? この願いだけを叶えて… ^^코노 네가이다케오 카나에테...^^ 이 소원만큼은 이루어줘...}}} || == [[DEEMO]] == [include(틀:DEEMO/Shattered Memories)] === 채보 === [include(틀:DEEMO/채보/보컬, 곡명=Post-Script, 작곡=The Hoshizora Project,보컬=YOHIOloid, BPM=164, 이지레벨=3, 노말레벨=4, 하드레벨=5, 이지노트=213, 노말노트=290, 하드노트=385, 확장자=png)] ==== Easy ==== ==== Normal ==== ==== Hard ==== [youtube(4m5qvBBzkIY)] AC 영상. 플레이어는 くりす. == [[DEEMO II]] (piano ver.) == [youtube(uL-n_c7Qm9Y)] [[DEEMO II]]의 수록곡으로 The Hoshizora Project가 작곡한 곡이며 Keikaku Tsuukou가 편곡한 피아노 버전. [include(틀:DEEMO II/온디맨드01 - 유광의 변주곡)] === 채보 === ||<-4>
'''Post-Script (piano ver.)''' || ||<-4> [[파일:DEEMO II Post-Script.png|width=240]] || || 작곡 ||<-3> The hoshizora project, arranged by Keikaku Tsuukou || || BPM ||<-3> - || || 난이도 || '''{{{#fff,#333 Easy}}}''' || '''{{{#fff,#333 Normal}}}''' || '''{{{#fff,#333 Hard}}}''' || || 레벨 || 2 || 5 || 7 || || 노트 수 || 151 || 321 || 485 || ||<-2>
'''해금 조건''' || || '''Easy''' ||<|3> [[DEEMO II/티켓#에코의 티켓|에코의 티켓]] 무료 티켓 보상 99레벨 달성 || || '''Normal''' || || '''Hard''' || ==== Easy ==== ==== Normal ==== ==== Hard ==== [youtube(Sm20VWHPUsI)] AC 영상. 플레이어는 백랑. 디모1의 Post-Script 채보에서 무려 두 단계나 올라간 7레벨 채보이다. 후반의 16비트 연타 구간이 매우 악랄한데, 구간 난이도로만 따지면 8~9레벨에 속하는 수준이다. 하지만 그 외의 다른 구간이 심심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7레벨 상위권 채보이나 7레벨치곤 적은 노트 수를 보유하고 있다. 전형적인 패턴 밀집곡. == 기타 == * 가사가 딱히 없는 [[Forbidden Codex|이 곡]]을 제외하면 Deemo에서 유일하게 보컬로이드가 기용된 곡이었지만 3.2 패치로 [[10 -ichizero-]]가 추가되며 유일한 곡은 아니게 되었다. * 이 곡의 가사가 스토리와 연관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 적이 있다. * __교통사고로 죽은 오빠 [[Hans(Deemo)|한스]]가 여동생 [[소녀(DEEMO)|앨리스]]에게 보내는 노래이며 Deemo의 스토리가 시작되기 전 여동생과 재회하기를 소원한다__라는 해석이 가능'''하나''', 이 곡은 '''2014년 3월에 [[니코동]]에 최초 공개된 곡'''이라 딱히 [[DEEMO/스토리|Deemo의 스토리]]를 고려하여 만든 곡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 곡이 수록된 Shattered Memories 셀렉션은 한참 뒤인 2016년 1월에 공개되었다. 또한 일본어 버전은 유튜브에 2013년 6월에 공개되었는데, 이는 DEEMO의 출시일보다도 더 일찍 나온 것이다.]. 아마 이 곡의 일러스트에 [[Hans(Deemo)|한스]]가 나오고 가사도 얼추 들어맞아서 생긴 오해인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굳이 한스를 그린 일러스트를 넣은 것을 보아 어느 정도는 노린 것으로 보인다. [[분류:DEEMO/수록곡]][[분류:DEEMO II/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