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직 더 개더링]]의 블록을 찾아오신 분은 [[Onslaught]] 항목을 참조해주세요. [[파일:attachment/onslaught/on.jpg]] ##자켓이 저화질이니 고화질 자켓을 구하면 수정해주세요. [목차] == 개요 == [youtube(Vel5MfhOqEU)] ||<#eeeeee> {{{#000000 「…………바, 바하무트으으으으!!!!?!!?!」}}} {{{#000000 [[beatnation RHYZE]]인 우리들의 [[DJ TOTTO|리더]]로부터 그 이야기를 들었을 때, 제 리액션은 이런 느낌이었습니다. 분명히.}}} {{{#000000 혼돈과 포학과 장엄과 혼돈과 맹위와 혼돈, 그것들을 키워드로 마음 속으로 오래 오래 검토해서 onslaught는 태어났습니다.}}} {{{#000000 바하무트라고 하는 주제가 없었다면, 절대로 태어나지 않았을 곡,}}} {{{#000000 몇 번이고 반복해서 즐겨주신다면 정말 기쁘겠습니다!!!}}} {{{#000000 - [[PHQUASE]], [[리플렉 비트 그루빈]] OST 코멘트}}} || [include(틀:BEMANI 시리즈/데뷔곡이 보스곡인 곡)]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PHQUASE]]로, [[사운드 볼텍스]] 출신 곡과 리믹스 곡을 제외하면 PHQUASE의 사실상의 비마니 시리즈 데뷔곡. 비마니 시리즈 전체에서 데뷔곡이 보스곡이 된 사례는 이 곡이 다섯 번째 사례를 잇는다. [[리플렉 비트 시리즈]]에서는 [[DJ TOTTO]]의 [[Valanga]]에 이은 두 번째이며, 외주 중에서는 최초이다. [[바하무트]]를 테마로 한 곡이며, 제목의 뜻은 '''맹공격'''.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5>
<:><#000000> '''{{{#ffffff [[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역대 보스곡}}}'''|| ||<#ffffff><:>[[리플렉 비트 콜레트|'''{{{#000000 리플렉 비트 콜레트}}}''']] ||<|2><:> → ||<#F6EC01><:>[[리플렉 비트 그루빈|'''{{{#F80092 리플렉 비트 그루빈}}}''']] ||<|2><:> → ||<#F6EC01><:>[[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F80092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 ||<:>[[CLAMARE]] ||<:>'''onslaught''' ||<:>[[伐折羅-vajra-]] || [include(틀:MYSTICAL STRIKE)] ||||||||||||||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202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7}}} || {{{#orange 10}}} || {{{#red 15}}} || || 스킬 레이트 || {{{#green 27}}} || {{{#orange 45}}} || {{{#red 86}}} || || 오브젝트 || {{{#green 334}}} || {{{#orange 492}}} || {{{#red 1014}}} || || MAX COMBO || {{{#green 547}}} || {{{#orange 795}}} || {{{#red 1400}}} || || JUST REFLEC || {{{#green 13}}} || {{{#orange 14}}} || {{{#red 29}}} || || 수록버전 ||||||||<#f6ec01> [[리플렉 비트 그루빈]] || ||||||||||<#ffffff>{{{#green BASIC}}} : {{{#000000 오브젝트 4 증가 (리플레시아)}}} [br]{{{#red HARD}}} : {{{#000000 난이도 1 증가 (볼짜)}}} || [youtube(BTgp1_Zz_7Y)] HARD 난이도 영상. 2014년 9월 12일 시작한 [[MYSTICAL STRIKE]]의 최종 해금곡. 마지막 환수 바하무트를 격파하면 해금할 수 있다. 하드 보면의 노트수가 무려 1014개로, 당시 [[Bad Maniacs]] 스페셜 보면을 제치고 리플렉 비트의 최다 노트수를 갱신했었다. 하필이면 저 많은 노트수에다가 [[폴리리듬]]을 위시한 개박을 집어넣어버리면서 난이도를 더더욱 상승시켰으며 그 엄청난 노트수+변박 때문에 체력적으로 지치거나 애먼곳을 헛치거나 하기 쉽기 때문에 체력곡 속성이 짙다. 박자가 바뀌는 부분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이를 전부 외우면 한결 스코어링이 편해지기 때문에 대부분 [[CLAMARE]]보다 약간 아래 정도로 평가받으나, '''1014개''' 라는 막대한 양의 오브젝트 때문에 개인차에 따라서는 그 이상으로 느껴질 수 있다. 덕분에 후카세는 사볼에 이어 리플렉에서도 [[PHQUASE#s-2|용서 받지 못 하게 되었다.]] 흉악함을 인정 받았는지 [[리플렉 도장]]의 최고사범 코스의 2스테이지에 들어갔다. 미스는 몰라도 굿이 뜨기는 매우 쉬운 패턴이기 때문에 당연히 난코스로 인정받는다. 물론 최고사범 특성상 쉬운 곳이 한 군데도 없긴 하지만. == [[사운드 볼텍스]] (onslaught -Retaliation of Bahamūt-) == [[사운드 볼텍스 플로어]] 'BEMANI 곡 리믹스 콘테스트 2019'의 onslaught 부문 당선곡으로,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 가동 초기곡으로 수록되었다. 리믹서는 [[かめりあ]]. MXM 19레벨을 배정받으며 FLOOR 리믹스 콘테스트 악곡의 MXM 난이도 중에서는 최초의 19레벨 악곡이 되었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p.eagate.573.jp/2021w_sv_03.jpg|width=150]] || [[파일:p.eagate.573.jp/2021w_sv_03.jpg|width=150]] || [[파일:p.eagate.573.jp/2021w_sv_03.jpg|width=150]] || [[파일:p.eagate.573.jp/2021w_sv_03.jpg|width=150]] || || 레벨 || 07 || 14 || 17 || 19 || || 체인 수 || 959 || 1224 || 1886 || 2430 || || 일러스트 담당 ||<-4> 佐藤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2> [[レッドホットスクリューズ]] || [[レッドホットスクリューズ]][BR](supervised by Bahamūt) || [[レッドホットスクリューズ|クリムゾンホットテンペスト]][BR](supervised by Bahamūt) || || 수록 시기 ||<-4> VI 01(2021.02.17) || || [[BPM]] ||<-4> 238 || * [[스킬 애널라이저]] 수록 * MAXIMUM: Skill Level ∞ A코스 (2021.2.24 ~ ) [youtube(op6wE9lqiXA, width=420, height=680)] EXH PUC 영상 [youtube(KXRoHZkzDEQ, width=420, height=680)] MXM PUC 영상 전반적으로 곡의 박자를 잡기 매우 어려우며, 지속적으로 몰아치는 계단과 트릴, 수많은 직각 노브와 함께 빠르게 떨어지는 광범위한 원핸드 처리력과 노브-노트 전환을 위한 매우 빠른 손 이동을 요구하는 19레벨 중상급 패턴이다. 특히 중반에 잠깐의 휴식 이후 등장하는 양FX+BT 16비트 트릴이 상당히 까다롭다. 통상 손배치는 불가능에 가깝고 FX와 BT를 각각 한손으로 잡고 쳐야 하는데, 속도가 매우 빠르고 BT와 순서와 바뀌는지라 니어와 에러가 나기 매우 쉽다. === 당선자 코멘트 === [[분류:리플렉 비트 그루빈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