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교통카드)] [include(틀:서일본 철도 계열사)] ||<-2> {{{#white {{{+1 ニモカ}}}[br]nimoca / 니모카}}} || ||<-2> [[파일:nimoca.jpg|width=250]] || || '''통칭''' ||니모카 || || '''사용 구역''' ||[[후쿠오카현]], [[오이타현]], [[구마모토현]], [[사가현]], [[미야자키현]], [[나가사키현]], [[하코다테시]], [[시모노세키시]][br]외 상호호환지역 || || '''도입''' ||[[2008년]] || || '''규격''' ||[[FeliCa]], [[NFC]] || || '''개발 및 유통''' ||[[서일본 철도|[[파일:서일본 철도 로고.svg|width=100]]]] || || '''충전''' ||일본 ¥(최대 20000¥) || || '''선불 여부''' ||가능 || || '''사용기한''' ||마지막 사용일로부터 10년[* 신용카드, 직불카드에 탑재된 nimoca는 마지막 사용일로부터 10년이 아닌 그 카드의 사용기한을 적용한다.] || || '''운용자''' ||[[서일본 철도]], [[치쿠호 전기철도]][br][[니시테츠 고속버스]], [[구마모토시 교통국]][br][[하코다테시 기업국 교통부]], [[쇼와 자동차]][br][[오이타버스]], [[오이타교통]][br][[카메노이버스]], [[히타버스]][br][[미야자키교통]], [[사가시 교통국]], [br][[하코다테 버스]], JR 큐슈 버스(노가타선, 우레시노선)[br]유토쿠 버스, [[마츠우라 철도]], [br][[큐슈 급행 버스]], [[나가사키 전기궤도]],[br][[나가사키현 교통국]], 나가사키 주오버스, [br] 사이히 버스, 사세보 버스, [[산덴교통]][br][[키타큐슈시 교통국]], 니시테츠 택시 || || '''판매소''' ||자동 매표기, nimoca 종합 카운터, 니시테츠 스토어, 역 창구, 각 버스 영업소[* 전차나 버스 차내에서도 구입할 수 있으며, 각 지역 버스센터나 키타큐슈시 교통국 창구, 구마모토 교통국 창구, 사가시 교통국 창구, [[하코다테역]] 앞 버스 안내소 등에서도 살 수 있다.] || || '''추가기능''' ||스타 nimoca 카드, 신용카드 탑재[br]직불카드 탑재, 디자인 nimoca[br]회원증, 학생증 || || '''외부링크''' ||[[http://www.nimoca.jp/|공식 홈페이지]] || [youtube(ESPsdPhZCOw)] [목차] == 개요 == 일본 [[규슈]] 지역 최대 [[사철(철도)|사철]]이자 일본 최대의 [[버스]] 회사(자회사 포함)인 [[서일본 철도]]가 만든 [[FeliCa]] 기반 [[교통카드]]. 서일본 철도가 100%의 지분을 보유한 '주식회사 니모카'에서 발행 중이다. 규슈와 혼슈는 물론, 홋카이도(!)의 여러 철도/버스 회사에서도 판매하고 있고, 규슈 일부 지역의 노후 시스템[* 미야코 버스카, 나가사키 스마트 카드(시마바라 철도 버스는 재정 문제로 인한 IC카드 전면 폐지, [[나가사키 자동차]] 및 사이카이 교통은 자체 IC카드 '에누타스 T카드' 도입), [[키타큐슈시 교통국]] 히마와리 버스카드 등]도 이걸로 대체되고 있다. 명칭의 유래는 '''Ni'''ce[* 참고로 Ni는 'Ni'shitetsu의 Ni를 겸한다고 한다.] '''Mo'''ney '''Ca'''rd의 약자이며, バス'にも'、電車'にも'、買物'にも'、いろいろ使えるオールラウンドな'カード'[* 번역하자면 버스'도'(니모), 전철'도', 쇼핑'도', 여러가지에 쓸 수 있는 만능(올라운드) '카'드.]의 의미를 겸한다. == 상세 == [[2008년]]에 출시되었으며, [[2010년]] [[3월]] 부터 [[SUGOCA]], [[하야카켄]], [[Suica]]등과 상호 호환이 가능해졌다. [[2013년]]부터는 전국 상호 이용 교통카드가 되면서 니모카를 포함한 10개 교통카드 사용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스이카나 스고카, 이코카같이 교통카드 뿐 아니라 전자화폐로서의 역할도 하며, 니모카 대응 자판기, 편의점, 가게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기명식 카드로 등록을 한 뒤 니모카 가맹점에서 충전금액을 사용하면 포인트가 적립된다. 크레지트 니모카를 발급받으면 정식 지역[* 당연히 하코다테, 시모노세키 포함]에서 자동 충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서일본 철도 자회사인 [[치쿠호 전기철도]] 전 노선에서도 니모카를 사용하고, 정기권도 니모카를 이용하고 있다. 시스템이 오다와라기기에서 제작한 요금함[* 특히 현금인식 기능 및 정리권 인식 기능이 있는 경우]과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경우 [[하코다테 버스]]나 [[하코다테 시영 전차]]같이 요금함 모니터를 2개 붙이고 다니는 경우가 많다. 쿠마몬의 IC카드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도 같은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2021년 3월 31일부로 포인트 제도가 종료된다.[[https://this.kiji.is/735023796911620096?c=648454265403114593|#]] == 요금 할인 == [[서일본 철도]] [[텐진오무타선]]과 [[카이즈카선]]의 일부 역[* [[카스가바루역]], [[니시테츠쿠루메역]], [[시켄조마에역]], [[다이젠지역]], [[니시테츠야나가와역]], [[카이즈카역(후쿠오카)|카이즈카역]]]에서는 니모카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요금 할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역 주변의 지정 주차장 이용일에 니시 테츠 전철을 이용했을 경우에 200엔을 할인해준다. 또한 규슈의 여러 버스 회사와 하코다테 버스에서 제공하는 [[http://www.nishitetsu.jp/bus/norikata/noriwari/|시내버스 환승할인]] 역시 니모카를 이용할 때에만 가능. == 자체적인 니모카를 발행하는 곳 == [[구마모토시]]에서는 IC카드를 이 카드를 기반으로 도입하여 [[https://www.kotsu-kumamoto.jp/kiji/pub/default.aspx?c_id=18|덴덴 니모카]](でんでんnimoca)라는 명칭으로 도입했다. 기존 구마모토 버스회사에서 도입한 '[[쿠마몬]]의 IC카드'[* 전국 상호 이용 교통카드가 아니라서 구마모토 이외 지역에서는 사용 불가.]와 공존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구마모토 시영 전차]] 20엔 환승할인은 니모카 계열 카드를 쓸 때에만 받을 수 있다.[* 쿠마몬의 IC카드를 써도 이 할인을 받지 못한다.] 전차내 차장으로부터 구매할 수 있다. [[사가현]]에서는 사가현 버전 니모카인 '[[https://www.poitan.jp/archives/30312/amp|츠츠 니모카]]'를 도입했다. 버스터미널이나 버스 차내에서 구입할 수 있다. 규슈가 아닌 저 멀리 홋카이도에 있는 [[하코다테시]]에서도 [[Kitaca]][* [[JR 홋카이도]]가 발매하는 카드로, 홋카이도에서는 삿포로(JR은 정식 사용, 지하철 및 버스는 호환 사용 가능) 및 하코다테(시덴 및 버스에 한해 호환 사용 가능하며 JR 및 도난 이사리비 철도는 현금 승차만 가능.)에서만 이용 가능하다. 비표준 규격 자체 카드 및 이온 WAON 사용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현금(정리권)이나 1회용 티켓 발권에 머물러있으니 논외.]가 아닌 니모카를 기반으로 [[http://www.city.hakodate.hokkaido.jp/docs/2016121500051|이카스 니모카]](ICAS nimoca)를 도입했다. [[하코다테 시영 전차]]와 [[하코다테 버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 JR 홋카이도 노선은 하코다테 근교에서는 교통카드 시스템을 도입하지 않아 이용 불가.][* 사실 타 지역 카드 도입은 그 이전에도 있었다. 시즈오카 철도가 2006년에 간사이권 카드인 PiTaPa를 도입한 적 있는데, ICOCA 및 PiTaPa 외의 카드는 2013년이 되어서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승차 포인트제[* 하코다테 카드로 큐슈 지역에서 적립 및 사용할 수도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환승할인 혜택 제도도 도입해서 60분 내에 전차나 버스를 갈아탔을 때 할인이 된다. 이외에 오이타·벳푸 일대 버스회사에서는 [[http://www.mejiron-nimoca.jp/kinds.html|메지론 니모카]]를, 미야자키교통에서는 [[http://miyazaki.daa.jp/news/log/eid128.html|미야코 니모카]]를 발행했으나 카드 자재가 다 떨어진 뒤로는 기본 디자인 니모카만 발행하고 있다. [[파일:86B983F4-D7E5-4C99-84A7-2CE6326BDC9D.png]] 다른 교통카드와는 달리 고객이 원하는 디자인으로 대량 인쇄해주는 '디자인 니모카'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했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해서 타 지역의 대중교통 회사에서 교통카드를 만들기도 했다. 위의 카드는 신케이세이버스 노조에서 설립 15주년을 맞아 노조원에게 기념품으로 나눠준 카드. [[나가사키현]]에서 2020년 3월[* 마츠우라 철도 → 나가사키 전기궤도]~6월[* 시마바라 철도, 나가사키 자동차, 사이카이 교통, 나가사키 전기궤도, 마츠우라 철도를 제외한 회사들. JR동일본메카트로닉스 공장이 자연재해로 손상되어 단말기 생산이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에 '''나가사키 니모카'''라는 이름으로 도입한다. [[http://www.naga-den.com/publics/index/715/|#]] 기존 '나가사키 스마트카드'를 사용하던 10개 사업자 중 [[나가사키 전기궤도]], [[마츠우라 철도]] 등 7개 사업자가 nimoca로 대체하며, '에누타스 T카드'라는 자체 카드를 도입한 [[나가사키 자동차]], 사이카이 교통도 2020년 2월부터 일방 호환(카타 이용) 형식으로 nimoca 등 전국 호환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레싯프 규격[* IC이~카드, DESUCA, NORUCA, ecomyca, 구 passca, ayuca, KURURU, 나이스패스, ICa가 이 규격을 사용한다.]이나 오다와라기기 규격[* Rapica, 나가사키 스마트카드, 이와사키 IC카드(단말기는 레싯프), 히마와리 버스카드, Asaca, Do카드, 키타미 버스카드, 이밧피가 이 규격을 사용한다.], 독자 개발 규격[* 덴테츠 하이카드(MIFARE 기반), ICOUSA(Felica 기반)가 버스 회사 독자 개발 규격 카드이다.]같은 비표준 규격이 아니기 때문. [[시마바라 철도]] 버스는 비용 문제로 인해 IC카드 시스템을 폐지하는 시대역행적 결정을 단행했다. [[이요 철도|자동개찰기를 없애버리는 회사]]보다 더한 셈. == 철도 이외에서 사용처 == 모든 니시테츠 시내버스와 단거리 고속버스 노선, 일부 마을버스[* 일본에서는 '커뮤니티 버스'라고 부른다. [[다자이후시]], [[나카가와시]], [[카스가시]], [[무나카타시]], [[오노조시]], [[오고리시]] 등 지역에서 탈 수 있다.]와 [[쇼와 자동차]]의 후쿠오카, [[이토시마시]]의 시내버스와 고속버스(가라쓰호, 이토시마호, 이마리호)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JR큐슈]] 버스(노가타선, 우레시노선), [[미야자키교통]] 전노선, [[사가시 교통국]], 유토쿠 버스 전노선, [[큐슈 급행 버스]] 전노선, [[키타큐슈시 교통국]] 전노선, [[하코다테 버스]]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시]]의 산덴 교통에서도 2021년 3월 6일부터 nimoca를 도입하기로 하였다. 니모카 가맹점은 [[https://www.nimoca.jp/shop/navi/index|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분류:일본의 대중교통]][[분류:교통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