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p.eagate.573.jp/201910_dan_01.jpg]] [목차] == 설명 == [include(틀:wac의 별자리 시리즈)]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는 [[wac]], 보컬은 [[토키와 유우]]. 아티스트명은 yu_tokiwa.djw으로, 파일 이름 형식과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앞부분의 [[토키와 유우|yu_tokiwa]]는 보컬이름, 확장자 djw는 wac을 뜻한다.[* 이전 시리즈 수록곡 [[Regulus]]의 아티스트명은 DJ.W, [[Spica(BEMANI 시리즈)|Spica]]의 아티스트명은 D.JW 인 점으로 볼때 이 곡들의 후속곡으로 보여진다. 실제로도 이 두곡과 구성이 비슷하다.] wac 특유의 빠른 피아노 연주가 돋보이는 곡으로 인기를 끌었다. 인기곡답게 팝픈뮤직 10 에선 기타 팝 버전으로 어레인지되어 이식되었고[* 편곡은 [[good-cool]]이 담당.] 이 기타 팝 버젼으로 기타도라 V4에도 이식, 원곡버전으로 DDR 슈퍼노바에도 이식되었다. 드럼매니아 이식 버전은 동일한 BGA 아티스트에 의해 리메이크된 새로운 BGA를 선보였다. BGA도 유명하다. 이 곡의 아티스트명이 컴퓨터 파일을 연상시키는 관계로 BGA도 컴퓨터 화면으로 시작하게 되는데, MAC OS를 패러디한 것으로 보이는 WAC OS 로 많은 화제가 되었다. 또 여기에 나오는 쌍둥이 남매도 유명한데, 나중에 기타 팝 버전으로 이식된 팝픈 뮤직에서 이 쌍둥이 남매가 캐릭터로 등장하였다. BGA 제작은 [[shio|kaeru]]. 참고로 [[BMS]]계 작곡가 [[siromaru]][* [[Absurd Gaff]]의 작곡가로 유명하다.]가 4.6.0. beat mix란 부제를 붙여서 리믹스를 하였고 그 곡을 bms로 냈는데 상당히 인기를 끌었다. 조디악 오라클 시리즈를 재정비한다면 쌍둥이자리가 3번째이므로 조디악 오라클 3에 해당한다. 다만 한참 나중에 나온 [[アルレシャ]]의 코멘트에 따르면 원래는 이 시리즈의 곡으로 의도한 것이 아니었지만 나중에 끼워맞춘 거라고 한다. 후속곡으로 [[rumrum triplets]]가 있다. [[dj TAKA]]에 따르면 개발 단계에서는 '''푸딩 아 라 모드'''(プリンアラモード)라는 제목이었다고 한다.[* 이 때문인지 BGA에서 스치듯이 푸딩 아 라모드 라는 글귀가 지나간다.] > 그 murmur twins, 처음엔 "푸딩 아 라 모드"라는 곡명이었던 걸 기각한 거, 이야기한 적이 있었던가? > {{{-2 そのmurmur twins、最初「プリンアラモード」っていう曲名だったの却下した話、したことあったっけ?}}} > > — dj TAKA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iam_nota_djtaka/status/1281560031767392256, 크기=15)] > 아무튼 지금 생각해보면 > 그 위기상황에서 푸딩아라를 기각한 타카 씨는 영단[* 지혜롭고 용기 있는 결단]이었고 > 그 쫓기는 상황에서 곡명 murmur twins를 생각해낸 토키와 씨는 천재였고 > 그때 휴대폰 액정이 깨져서 글자가 반 밖에 안 보이는 상태로 토키와 씨와 곡명 토의를 이어간 나는 꽤 노력했지 > {{{-2 ともあれ今思えば そのギリな状況でプリアラ却下したたかさんは英断であったし その追い込まれた状況で曲名murmur twinsを思いついた常盤さんは天才だったし その時たまたま携帯の液晶が割れてて文字が半分見えない状態で常盤さんと曲名のやりとりを続けた自分はようがんばった}}} > > — wac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wac_toriaezu/status/1281672325381763072, 크기=15)] == [[beatmania IIDX]] == [youtube(XuCQzRkgenk)] BGA || 장르명 ||<-5> CUDDLECORE[BR]커들코어 || [[BPM]] ||<-2> 174 || || 전광판 표기 ||<-8><#454545> '''{{{#FF5A00 MURMUR TWINS}}}''' || ||<-9>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green 비기너}}}[* 25 CANNON BALLERS까지 존재.]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green 3}}} || {{{#green 223}}} || {{{#blue 5}}} || {{{#blue 567}}} || {{{#orange 9}}} || {{{#orange 854}}} || {{{#red 11}}} || {{{#red 1207}}} || || [[더블 플레이]] ||<-2> {{{#green -}}} || {{{#blue 6}}} || {{{#blue 589}}} || {{{#orange 10}}} || {{{#orange 924}}} || {{{#red 12}}} || {{{#red 1188}}}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8th style|8th Style]] ~ * 가정용판 수록 : [[beatmania IIDX 7th style|7th Style]] (선행수록), [[beatmania IIDX 8th style|8th Style]], [[beatmania IIDX 9th style|9th Style]], [[beatmania IIDX 11 IIDX RED|11 IIDX RED]], [[beatmania IIDX 16 EMPRESS|16 EMPRESS]] (PREMIUM BEST SIDE), [[beatmania IIDX INFINITAS|INFINITAS]] (20년 2월 추가) * [[단위인정]] 수록 * 싱글 노멀 : 3급 (29 CastHour) * 싱글 하이퍼 : 6단 (8th ~ 13 DistorteD, CS 8th) * 싱글 어나더 : 10단 (8th), 9단 (CS 8th) * 더블 노멀 : 3급 (CS 8th) === 싱글 플레이 === [youtube(rt7Z33fkRvE)] 비기너 영상 [youtube(KLvs0yO7KHw)] 싱글 노멀 영상 [youtube(Ps6yYglkPAg)] 싱글 하이퍼 영상 [youtube(bYYA8TaTkFY)] 싱글 어나더 영상 보컬 분위기와 완전히 대비되는 wac 특유의 계단 노트가 특징으로 싱글 어나더 채보의 체감 난이도는 11약~중 정도로 평가 받는다. 모든 보면에 대해서 곡조가 조금씩 달라지는 것이 특징. === 더블 플레이 === [youtube(bBhSKCV1VD0)] 더블 노멀 영상 [youtube(IvCTL34-sAI)] 더블 하이퍼 영상 [youtube(zjulqSbHO-A)] 더블 어나더 영상 반면 더블 어나더는 12를 부여받았으며 SPA보다 더욱 거세진 계단 폭풍, 그리고 간간히 나오는 도약 스크래치 정도가 주의해야 할 부분이다. [[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더블 레벨 12)|비공식 난이도 기준 12.0.]] === 아티스트 코멘트 === ||wac / SOUND 처음 뵙겠습니다. djw입니다. 네 어차피 [[wac]]이네요. 예 이렇게 된 거 다 포기했습니다. 포기하면 배추인지라 색이 파래서 뜯어먹고 싶긴 한데 사랑니가 아픕니다.[* 원문은 ええヤケのヤンパチです陽焼けのなすびです色が黒くて食いつきたいがあたしゃ親知らずが痛いです。자포자기했음을 의미하는 말장난을 의역] 슈퍼 하이 텐션같은 말씀을 하셔도 저는 저혈압 때문에 무리입니다. 편의점 벌칙 게임 따위는 싫어. 그래서 도망쳤습니다. 땅끝까지. 그런 제가 murmur twins를 만드는 법. * 어쨌든 평소와 다른 곡으로 만들고 싶다. * 어쨌든 어두운 곡도 만들어 보고 싶다. * 그럼 메이저 세븐 금지. * 하는 김에 세컨더리 도미넌트도 금지. * 멜로트론 [* [[샘플러]]의 원형이 된 악기로 건반을 누르면 오르간, 현악기 등등의 소리를 냄]도 같은 것도 금지해 볼까. * 그렇지만 그런 룰에 너무 얽매이는 것도 좋지 않다! * 결국 만들다 만 디스코계를 탈락시키고 조금 남은 시간에 떠오른 멜로디와 코드로 강행. * 분명 원점은 학창시절에 대한 리스펙트. 줄이면 m.m.t.라고 할까나(피식) * 오히려 생각해보니 모 선배님께 대한 리스펙트. 한번 만들어 보고 싶었습니다. * 브레이크의 어지러운 피아노 소리는 [[만퉁퉁|쟈이]]가 [[노진구|노비]]를 때리는 소리에 대한 리스펙트. 천하무적의 남자다-[* [[도라에몽]]의 '''쟈이'''안(고다 타케시) 와 '''노비'''타 얘기로 추정] * 멀리서 들리는 [[테레민]] 같은 걸로 박사를 리스펙트. 객석의 여자아이를 무대에 올려 연주시키는 이미지로. * 멀리서 들리는 기타 같은 건 데스한 느낌이 나는 사람의 크라이베이베한 느낌을 리스펙트. 오히려 나라든가. * 요약하자면 내가 나이기 위한... 이 정도면 됐지. 그런 이유로 데모를 만든 직후에는 굉장히 부끄러워서 사실은 말로 어찌 표현하지 못하게 싫기도 했지만(의외로 늘 처음은 그랬다) 토키와씨의 보컬과(하지만 곡명 푸딩 아 라 모드가 아니라 다행이었습니다) kaeru씨의 소녀 무비와(하지만 Regulus 파일이 쓰레기통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개그 소재로서 더 베스트였지요) 이 곡을 좋아해 주신 여러분(이 곡을 계기로 들어본 적 없는 음악을 듣기 시작했다면 기쁩니다) 덕분에 지금은 이 곡을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곡 소개라고 하면 장문. 그러니까 음, kaeru씨, 다음에는 옆 팀에서 승부다.|| ||kaeru / MOVIE IIDX 팬 여러분, 처음 뵙겠습니다. 옆 팀 사람입니다. 색 디자이너처럼 인생에서 한 번은 가짜 소녀 무비를 만들어 보고싶다고 어렴풋이 꿈꾸고 있었는데 정말로 만들게 되었습니다. 놀랐습니다. 게다가 데뷔가 그 IIDX라는 대무대라서 놀라움도 2배. 책임의 무게와 디렉터 두 분의 웃는 얼굴에 일주일 동안 벌벌 떨었습니다만, 재빠르게 즐기면서 만들었습니다. 거기에 평소와는 다른 일을 하는건 정말로 공부가 되네요. 제가 매일 어떻게 버릇으로 살고 있는지를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삼각도 세워지지 않은 구제불능 인간에게도 아랑곳없이 웃는 얼굴로 이끌어 주신 [[VJ GYO]]군. 손 탤런트[* 手タレ, 테타레. TV CM 등에서 나오는 손 대역.] 는 무리지만 [[헤타레]]라면 맡겨줘! 라고 말하고 천천히 손톱을 깎기 시작한 wac. 떨면서 올빼미 사용 허가를 부탁드렸더니 시원하게 한 줄로 흔쾌히 승낙해주신 shiro 선생님. 여러분 여러모로 감사했습니다-. 무비는 개인적인 해석이라 죄송하지만, 맨 처음에 곡을 듣고 「언어」가 포인트구나! 라고 생각해서 눈 가득 문자를 박았습니다. 정말 멋진 곡과 귀여운 노래에 망상이 끊이질 않아서 힘들었습니다. .djw는 망상 촉진 파일일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리고 여기서 참회하자면 가사와 무비의 글은 한없이 무관계합니다. 가사를 알아내려고 노력하신 여러분! 작사 담당 토키와씨! 죄송합니다. (웃는 얼굴로) 그래서 26개의 알파벳을 퍼즐처럼 맞춰서 「어떤 말도 만들 수 있어! 우리들 뭐든지 할 수 있어!」 라고 언어의 마법을 사용해서 세계의 모든 것을 손에 넣어 무적인 쌍둥이의 이야기. 언젠가 어른이 되어서 마법을 사용하는 방법을 잊어버린 우리들이 퓨어한 마음을 되찾은 듯한 착각을 기억해 준다면. 그리고 이 망상이 전국 추정 100만명의 가짜 소녀 (성별 상관없이) 여러분께 맘에 드신다면. 전 기쁩니다. 산타마리아. 그럼 적당히 이 쯤에서. 장문 실례했습니다. ...wac한테 이겼다?|| == [[팝픈뮤직]] == === guitar pop ver. === [include(틀:팝픈 타임트립)] |||||| [[파일:external/remywiki.com/10_CUDDLE_CORE.png]] ||<#FFFFD2> [[BPM]] || 174 || || 곡명 |||||||| '''murmur twins(guitar pop ver.)''' || |||||||||| ぺちゃくちゃ はちゃめちゃ、フシギメロディーのギターポップ!ぼくらの世界はこんなにキラキラしてるのさ! 재잘재잘 재잘재잘, 신기한 멜로디의 기타팝! 우리들의 세계는 이렇게 반짝이고 있는 거야! || ||<#FFFFD2> 아티스트 명의|||||||| [[토키와 유우|yu_tokiwa]][[wac|.djw]] merge [[good-cool|scl.gtr]] || ||<#FFFFD2> 장르명|||| Cuddlecore |||| 커들코어 || ||<#FFFFD2> 담당 캐릭터|||| murmur twins |||| 머머 트윈즈 || ||<#FFFFD2> 수록된 버전|||||||| [[팝픈뮤직 10]] || ||<#FFFFD2>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blue 5버튼 /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5> '''일반 채보''' || ||<#FFFFD2> 43단계|| {{{#blue 12}}} || {{{#green 21}}} || {{{#orange 30}}} || {{{#red 37}}} || ||<#FFFFD2> 50단계|| {{{#blue 9}}} || {{{#green 27}}} || {{{#orange 36}}} || {{{#red 43}}} || ||<#FFFFD2> 노트 수|| {{{#blue 292}}} || {{{#green 401}}} || {{{#orange 756}}} || {{{#red 906}}} || ||<-5> '''UPPER 채보''' || || 50단계 || {{{#blue 16}}} || {{{#green 30}}} || {{{#orange 39}}} || {{{#red 45}}} || || 노트 수 || {{{#blue 304}}} || {{{#green 554}}} || {{{#orange 877}}} || {{{#red 1147}}} || * [[팝픈뮤직/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youtube(CZHJ_zr8gv40)] 하이퍼 플레이 영상 [youtube(lodte66ckzY)] EX 플레이 영상 [youtube(B8KSLvvFiT8)] UPPER EX 영상 guitar pop ver.라는 부제를 달고 팝픈뮤직 10에 수록되었는데, 5, 9버튼 이지, 노멀, 하이퍼 채보에서는 어레인지 버전으로, EX 채보 한정으로 원곡이 나온다. 참고로 아케이드 10~11의 채보와 CS 10, 아케이드 12 이로하 이후의 채보가 다르다. 투덱 BGA의 쌍둥이가 그대로 담당 캐릭터로 등장하며, 배경의 WAC OS가 시대를 반영하여 [[OS X|WAC OS X]]으로 바뀌어 있다. peace에서 UPPER 채보가 추가되었으며, 여기서는 EX도 기타 팝 버전의 음원을 사용한다. === 원곡 === |||||| [[파일:머머트윈즈팝픈.png]] ||<#ffffd2> [[BPM]] || 174 || ||<#ffffd2> 곡명 |||||||| '''murmur twins''' || ||<#ffffd2> 아티스트 명의 |||||||| yu_tokiwa.djw || ||<#FFFFD2> 장르명 |||| Cuddlecore |||| 커들코어 || ||<#ffffd2> 담당 캐릭터 |||| murmur twins |||| 머머 트윈즈 || ||<#ffffd2> 수록된 버전 |||||||| [[팝픈뮤직 peace|pop'n music peace]] || ||<#ffffd2>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 EASY}}} || {{{#green NORMAL}}} || {{{#orange HYPER}}} || {{{#red EX}}} || ||<#ffffd2> 50단계 || {{{#blue 11}}} || {{{#green 28}}} || {{{#orange 40}}} || {{{#red 47}}} || ||<#ffffd2> 노트 수 || {{{#blue 196}}} || {{{#green 537}}} || {{{#orange 790}}} || {{{#red 1228}}} || [youtube(w4a1ixle2RI)] EX 영상 IIDX와 동일하게 난이도에 따라 조금씩 음원이 달라진다. EX 패턴은 계단과 발광 위주 패턴. 시작하자마자 발광으로 게이지를 까먹는다. 이후 계단패턴이 나오는데, 안그래도 기타팝버전과 동일하게 짠 판정인 곡이라 게이지 회복은 커녕 오히려 까먹을 가능성이 높다. 이후 잠시 회복 구간이 존재하지만, 앞구간에서 게이지가 바닥났다면 반도 채우기도 전에 난이도가 올라가 보더 구경도 못할 수 있다. 이후에도 전체적으로 배드가 나기 쉬운 패턴이고, 초살발광 이후에 나왔던 계단 패턴이 마지막에 한번 더 나오기 때문에 계단을 못치면 체감 난이도가 높아진다. 클리어 난이도도 47레벨중에서도 높은 편이고 48레벨급이라는 평도 있다. 메달작도 쉽지 않다. 기본적으로 기타팝 버전의 데이터를 그대로 옮겨온 탓에 장르명이 붙어있다. 이는 라피스토리아에서 장르명을 폐지한 이후 처음으로 신곡에 장르명이 붙은 사례이다. 미리듣기 음원도 처음엔 기타팝 버전으로 나왔으나 추후 업데이트로 수정되었다. 다른 곡에 비해 유독 볼륨이 크게 설정되어 있어 플레이 시에 주의가 필요하다. === CIVILIAN SKUNK mix === ||<-3> || [[BPM]] || 220 || || 곡명 ||<-4> '''murmur twins -CIVILIAN SKUNK mix-''' || || 아티스트 명의 ||<-4> CIVILIAN SKUNK || || 담당 캐릭터 ||<-4> murmur twins || || 수록된 버전 ||<-4> [[팝픈뮤직 해명 리들스]] || || [[팝픈뮤직/난이도 체계|난이도]] || {{{#blue,#0000ff EASY}}} || {{{#green,#7fff7f NORMAL}}} || {{{#orange,#ffa500 HYPER}}} || {{{#red,#ff0000 EX}}} || || 50단계 || {{{#blue,#0000ff 10}}} || {{{#green,#7fff7f 25}}} || {{{#orange,#ffa500 39}}} || {{{#red,#ff0000 45}}} || || 노트 수 || {{{#blue,#0000ff 199(1)}}} || {{{#green,#7fff7f 450(1)}}} || {{{#orange,#ffa500 887(1)}}} || {{{#red,#ff0000 1207(1)}}} || [youtube(wTuwv2uy_a0)] EX PERFECT 영상 == [[DanceDanceRevolution]] == ||<-12><#0ff,navy>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373a3c,#ddd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 BEGINNER |||| BASIC |||| DIFFICULT |||| EXPERT ||<-3> CHALLENGE[* DDR Universe3에만 등장하는 난이도로, 10단계 난이도 기준.] || |||| 3 |||| 4 |||| 8 |||| 11 ||<-3> 10 || || 81 || 0 || 86 || 3 || 237 || 111 || 325 || 7 || 512 || 15 || 0 || ||<|2> '''[[더블 플레이]]''' ||||<|2> - |||| 3 |||| 11 |||| 10 ||||<-3> 14 || || 74 || 0 || 222 || 2 || 310 || 0 || 508 || 15 || 0 || || BPM ||<-11> 174 || || 아케이드 버전 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SuperNOVA]] || * [[DanceDanceRevolution/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DDR SuperNOVA에 이식되었으며, 초반부와 후반부의 일부분이 편집된 채로 나온다. [youtube(EXvOxMx1B5g)] [youtube(drciOvMYbKg)] Xbox 360으로만 출시된 DDR Universe3에서 CHALLENGE 패턴이 추가 되었지만 아케이드에는 이식되지 않았다. 챌린지 난이도는 구 10단계 표기 기준으로 10으로 책정되어 있으며 익스퍼트와 달리 피아노음에 맞춰서 노트가 떨어지는 편.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murmur twins (guitar pop ver.) == ||||||||||||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난이도 체계 || ||<#ddd> BPM ||<#e9e9e9> 난이도 || {{{#green BASIC}}} || {{{#ff8c00 ADVANCED}}} || {{{#red EXTREME}}} || ||<|4> 128 || {{{#red 기타 표준}}} || 21 || 52 || 64 || || {{{#f0f 기타 오픈픽}}} || 21 || 53 || 64 || || {{{#00f 기타 베이스}}} || 23 || 56 || -- || || {{{#green 드럼매니아}}} || 24 || 54 || 70 || ||||<#e9e9e9> 최초 수록 버전 ||<-3><#ff5050> [[GuitarFreaks V4 & DrumMania V4 Rock×Rock|{{{#ff0 V4}}} {{{#ffe6f0 Я}}}{{{#f4efff ock×{{{#ffe6f0 R}}}ock}}}]] || ||||||||||||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ddd> BPM ||<#e9e9e9> 난이도 || {{{#00f BASIC}}} || {{{#ff8c00 ADVANCED}}} || {{{#red EXTREME}}} || ||<|3> 128 || {{{#red 기타 표준}}} || 3.30 || 5.60 || 6.90 || || {{{#00f 기타 베이스}}} || 3.30 || 5.60 || 6.70 || || {{{#green 드럼매니아}}} || 3.90 || 5.50 || 6.85 || ||||<#e9e9e9> 최초 수록 버전 ||<-3><#ff5050> [[GuitarFreaks V4 & DrumMania V4 Rock×Rock|{{{#ff0 V4}}} {{{#ffe6f0 Я}}}{{{#f4efff ock×{{{#ffe6f0 R}}}ock}}}]] || GRAND PRIX BEMANI배 과제곡으로 [[팝픈뮤직]]과 동일하게 yu_tokiwa.djw merge scl.gtr 명의에 (guitar pop ver.)라는 부제를 붙인 어레인지 버전으로 수록되었다. 상술하였듯 BGA가 새로 제작되었지만 [[GITADORA]]에서 삭제되었다. GITADORA가 도중에 리뉴얼되면서 기타와 드럼쪽 베이직 채보가 변경되었다. [youtube(MMx6_4UZF78)] [youtube(tF6tJ_8EJL8)] [youtube(pvAMY10ObhA)]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74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Magenta White Hard}}} || || {{{#green 4}}} || {{{#orange 8}}} || {{{#red 11}}} || {{{#Magenta 13}}} || || 스킬 레이트 || {{{#green 15}}} || {{{#orange 32}}} || {{{#red 53}}} || {{{#Magenta 68}}} || || 오브젝트 || {{{#green 209}}} || {{{#orange 273}}} || {{{#red 437}}} || {{{#Magenta 775}}} || || MAX COMBO || {{{#green 254}}} || {{{#orange 389}}} || {{{#red 687}}} || {{{#Magenta 915}}} || || JUST REFLEC || {{{#green 0}}} || {{{#orange 10}}} || {{{#red 12}}} || {{{#Magenta 22}}} || || 수록버전 ||||||||<#82eb5a>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 MUSIC PACK 22 || ||||||||||<#ffffff>{{{#green BASIC}}} : 오브젝트 34개 증가(리플레시아)[br]{{{#orange MEDIUM}}} : 오브젝트 3개 증가(리플레시아)[br]{{{#red HARD}}} : 오브젝트 2개 증가(리플레시아)[br]{{{#Magenta White Hard}}} : 보면 추가 (리플레시아)|| [youtube(dFoumuHOFUk)] 하드 난이도 영상 [youtube(ZreYKSAQrlw)] 화이트 하드 난이도 영상 2012년 1월 25일, [[wac]]의 개인앨범 [[音楽(앨범)|音楽]]의 발매 기념으로 [[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에 이식수록되었다. 그래서 음원이 투덱과 팝픈뮤직(EX)과는 약간 다르다.[* 이건 같은 목적으로 [[팝픈뮤직]]에 이식된 [[헐화]]도 마찬가지.] 하드는 전체적으로 롱오브젝트가 남발하여 '''좌표버그'''를 일으키기 쉬운 곡. 박자는 무난한 편. === 리뉴얼 패턴 === |||||||||||||| [[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2><:> 174 || {{{#green BASIC}}} || {{{#orange MEDIUM}}} || {{{#red HARD}}} || || {{{#green 3}}} || {{{#orange 6}}} || {{{#red 9}}} || || 스킬 레이트 || {{{#green 7}}} || {{{#orange 21}}} || {{{#red 48}}} || || 오브젝트 || {{{#green 142}}} || {{{#orange 296}}} || {{{#red 527}}} || || 수록버전 ||||||||<#00B1DE> [[리플렉 비트 VOLZZA|{{{#white 리플렉 비트 VOLZZA}}}]] || [[리플렉 비트 VOLZZA]]에서 리뉴얼 패턴이 추가. 파스텔군과 갓키 박사의 두근두근 리듬 연구소에서 PHASE 1의 수다쟁이 기타를 개발하면 해금되었다. 볼짜2에서는 통상해금. [youtube(OeCAYRyugmQ)] 하드 난이도 영상 == [[DANCERUSH STARDOM]] == ||<-4> {{{#!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html DANCERUSH}}}[br]{{{#!html 난이도 체계}}} }}} || || 곡명 ||<-3>'''{{{+2 murmur twins }}}''' || || 아티스트 ||'''yu_tokiwa.djw''' || 촬영 || {{{+2 o}}} || || 장르 ||'''BEMANI''' || BPM || 174 || || 버전 ||<-3> {{{#!wiki style="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ef43c, #ed37ea, #2c5fe5, #78fcf7)" [[DANCERUSH STARDOM|{{{#!html DANCERUSH}}} {{{#!html STARDOM}}}]] }}} || ||<-4> 난이도 및 노트 수 || || || [[파일:댄스러쉬_icn_easy.png]] ||<-2> [[파일:댄스러쉬_icn_normal.png]] || ||<|2> 1인용 || 4 ||<-2> 8 || || ? ||<-2> 370 || ||<|2> 2인용 || ? ||<-2> ? || || 노트수(?/?) ||<-2> (?/?) || ||||||<-4><:>{{{#!folding 해금 조건 및 할인 미션 {{{#!wiki style="margin: 0 -11px -6px" ||<-3><#384355> '''{{{+2 {{{#yellow ★}}}{{{#white 0}}}}}}''' || ||<-2> 해금조건 || 통상해금 || }}}}}} || [youtube(F3KU59qnxwc)] [youtube(wATOMhaTXso)] == [[노스텔지어 시리즈]] == || 곡명 |||||||| '''murmur twins''' || |||||||||| 『beatmania IIDX』より Are you ready? ぼくらの世界はこんなにキラキラしてるのさ![br]비트매니아 IIDX로부터 준비됐니? 우리들의 세계는 이렇게 반짝반짝 빛나고 있어! || || 작곡가 |||||||| [[토키와 유우|yu_tokiwa]].[[wac|djw]] || || 수록된 버전 ||||||||<#8B00FF> [[노스텔지어 Op.3|{{{#white ノスタルジア Op.3}}}]] || ||<|2> 난이도 || {{{#green '''Normal'''}}} || {{{#orange '''Hard'''}}} || {{{#red '''Expert'''}}} || {{{#darkviolet '''Real'''}}} || || {{{#green 5}}} || {{{#orange 8}}} || {{{#red 11}}} || {{{#darkviolet ◇2}}} || || 노트 수 || {{{#green 338}}} || {{{#orange 739}}} || {{{#red 1379}}} || {{{#darkviolet 1724}}} || [youtube(i_mNuxiCnMo)] Expert Pianist 영상 [youtube(7LsIcbMjueU)] Real FC 영상 [[분류:beatmania IIDX 8th style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10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peace의 수록곡]][[분류:팝픈뮤직 해명 리들스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의 수록곡]][[분류: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V4의 수록곡]][[분류:리플렉 비트 라임라이트의 수록곡]][[분류:DANCERUSH STARDOM의 수록곡]][[분류:노스텔지어 Op.3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