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김경호)]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dec 15%,#007dec 50%, #009dec 85%)" [[김경호|[[파일:김경호로고.png|height=30]]]]''' [[김경호|{{{#fff 김경호}}}]]의 [[김경호/음반|{{{#fff 음반}}}]]'''}}}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16px -11px"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191919;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1집'''}}}}}} {{{-1 '''[[KIM KYUNG HO|{{{#000,#fff KIM KYUNG HO}}}]]'''}}} {{{-3 1994. 10. 01.}}}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6E7973; font-size: 0.865em; color: #000" '''정규 2집'''}}}}}} {{{-1 '''kim:kyungho 1997'''}}} {{{-3 1997. 06. 06.}}}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922C26; font-size: 0.865em; color: #fff" '''라이브 앨범'''}}}}}} {{{-1 '''[[Kim Kyung Ho Live|{{{#000,#fff Kim Kyung Ho Live}}}]]'''}}} {{{-3 1998. 03. 09.}}} ||}}} || ||<-5><^|1>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정규 음반 목록 [ 펼치기 · 접기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191919;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1집'''}}}}}} {{{-1 '''[[KIM KYUNG HO|{{{#000,#fff KIM KYUNG HO}}}]]'''}}} {{{-3 1994. 10. 01.}}} ||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6E7973; font-size: 0.865em; color: #000" '''정규 2집'''}}}}}} {{{-1 '''kim:kyungho 1997'''}}} {{{-3 1997. 06. 06.}}} ||{{{+1 →}}} || {{{-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2400; font-size: 0.865em; color: #fff" '''정규 3집'''}}}}}} {{{-1 '''[[00:00:1998 KYUNG-HO KIM|{{{#000,#fff 00:00:1998 KYUNG-HO KIM}}}]]'''}}} {{{-3 1998. 05. 26.}}} || }}}}}} || ||<-2>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8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6E7973; font-size: 0.865em; color: #000" '''정규 2집'''}}}[br]'''{{{+1 {{{#73726B kim:kyungho 1997}}}}}}'''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4.bp.blogspot.com/%25EA%25B9%2580%25EA%25B2%25BD%25ED%2598%25B82%25EC%25A7%2591.jpg|width=100%]]}}}|| ||<-2> '''김경호 정규 2집''' || ||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7년]] [[6월 6일]] || || '''장르''' || [[록 발라드]], [[록]], [[헤비 메탈]] || || '''곡 수''' || 12곡 || || '''프로듀서''' || 김학래 || || '''레이블''' || 삼성뮤직 || || '''타이틀 곡''' ||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000,#fff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목차] [clearfix] == 소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qqM2tUbpho)]}}} || ||<#141811> {{{#6E7973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라이브'''}}}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 음반명=kim:kyungho 1997)] [include(틀:유튜브 뮤직 선정 역대 국내 록발라드 베스트)] 1997년 6월 6일에 발매된 2집 정규 앨범. 김경호의 가장 유명한 히트곡인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금지된 사랑]]' 등이 수록되었다. 사실 발표 초기에는 별 소식이 없다가, 이소라의 프로포즈에서 김경호가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Skid Row의 'Youth Gone Wild'을 부른 뒤 다음날 선주문만 50여 만 장이 들어왔으며, 활동당시 총 88만 여장이 판매된 앨범이다. 지금은 100만장이 넘게 팔렸다.[* 2집 활동이 끝날 무렵에 88만여 장을 넘었고, 이후 스테디 셀러로서 꾸준히 팔려 2001년 무렵에 100만을 돌파했다고 한다.] 당시 예산부족 때문인지 몇몇곡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으로 드럼을 대신해서 오히려 1집보다 녹음 상태가 매우 안 좋다. 특히 our son은 기타솔로부분을 들어보면 볼륨조절이 제대로 안 되어 있는데, 오히려 이곡의 데모곡으로 알려진 4.5집의 to war의 녹음상태가 좋다. 이런 문제는 3집 이후부터 개선되었다. == 앨범 수록곡 == ||
'''{{{#6E7973 트랙}}}''' || '''{{{#6E7973 제목}}}''' || '''{{{#6E7973 작사}}}''' || '''{{{#6E7973 작곡}}}''' || '''{{{#6E7973 편곡}}}''' || || '''1''' || Dracula || 이승호 || 유주형[* 한국의 에디 밴 헤일런으로 불리는 기타리스트로, 국내최고의 태핑주법을 구사한다. 그가 참여한 앨범의 곡들은 거의 대부분 솔로가 죄다 태핑으로만(!)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테크닉이 들어간 곡으로는 대중들의 어필을 받기가 힘들다 느꼈었는지 4집의 내게로와부터는 테크닉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6집에서 인기를 끈 희생도 이분의 작품. 3집까진 작곡가로 참여만 하다가, 98년 크리스마스 라이브때부터 세컨드 기타리스트의 계약만료로 직접무대에 나서서 리드기타였던 박창곤과 함께 미친존재감을 드러냈다. 현재는 음악일에서 잠시접고 개인사업을 하는중이지만 간간히 페이스북에 연주영상을 올리고 있다. 참고로 유주형의 언급에 따르면, 2집 1번째 수록곡 Dracula가 김경호와 인연을 만들게 해준 곡이라고 한다.] || 유주형 || || '''2''' || 운명 || 이승호 || 유주형 || 유주형 || || '''3''' || 슬픈 영혼의 아리아(엘리제) || 이경 || 유승범 || 유승범 || || '''4''' || 만물의 영장 || 이승호 || 김경호, 김태호 || 김태호 || || '''5''' || Aid & Aids || 이승호 || 유주형 || 유주형 || || '''6''' ||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red TITLE}}}^^ || 강은경 || 이경섭 || 최태완 || || '''7''' || Our Son || 이원 || 유주형 || 유주형 || || '''8''' || 때늦은 후회 || 이승호 || 이승호 || 이승호 || || '''9''' || [[금지된 사랑(노래)|금지된 사랑]] ^^{{{#red,#ff0000 후속곡}}}^^ || 강은경 || 유승범 || 유승범 || || '''10''' || [[마지막 기도]] || 이승호 || 이승호 || 이승호 || || '''11''' || 피노키오에게 || 이경 || 김철환 || 강린 || || '''12''' || 너를 기다리며 || 이승호 || 유승범 || 유승범 || === [[Dracula(김경호)|Dracula]] === 1번 트랙 'Dracula'는 원래 1집에 수록될 곡이었다고 전해진다. 음산한 분위기인데다 김경호의 처절한 보컬이 발군인 곡으로, 최후반부(3분 43초부터)는 '''모든 가사'''를 3옥도~3옥레#로 내야하는 엄청난 난도를 자랑한다. 김경호의 샤우팅을 제외한 진성의 끝을 볼 수 있는 곡으로 아사날에 비견될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다. [[http://blog.naver.com/absco71/140011752017|본인이 말하기]]를 [[드림 시어터]]의 'Pull Me Under'와 비슷한 느낌의 곡이라고. 여담으로, 작곡가 유주형은 이곡으로 김경호와 처음 만나게 되었다고 회고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kimkyungho&no=617164|출처]][* 원래는 기타리스트인 유주형이 김경호를 만나기 전에 작곡한 무명의 곡이었다고 한다. 후에 가사를 입혀서 그런지 작곡가 본인도 제목이 왜 드라큐라인지 모른다고한다. 보컬 뿐만 아니라 곡 연주도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한다. 그래서 96, 97년도 몇차례 빼고는 라이브로 진행된 적이 없다. 이마저도 쉬운 버전으로 편곡을 하여 연주했다.] 2016년 비밀회담 콘서트에서 라이브를 해주었지만, 그후로 라이브로 선곡한 적 없고 비밀회담 콘서트 컨셉상 녹음본도 없기 때문에 팬들이 다시 라이브를 해주기를 요청하는 곡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Dracula(김경호))] === 운명 === ||<-2> '''{{{#6E7973 운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1aMFJEbvyJw)]}}}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KglMnW66wY)]}}} || ||<-2> {{{#!folding [ 가사 ] ||
'''{{{#6E7973 운명}}}''' || || 너를 처음 본 '''{{{#purple 순}}}'''간 숨이 막혀 버릴 것만 같았어'''{{{#purple —}}}''' 운명처럼 그'''{{{#purple 렇}}}'''게 너는 내게 '''{{{#skyblue 다가}}}{{{#purple 서고}}}''' 있던 거야 마치 꿈인 것 '''{{{#purple 같}}}'''아 멍하니 한참을 '''{{{#skyblue 그}}}{{{#purple 냥}}}''' 서있었'''{{{#purple 지}}}''' '''{{{#skyblue 이제 나}}}{{{#purple 타}}}'''난 '''{{{#purple 너}}}'''—를 도대'''{{{#purple 체}}}''' 믿'''{{{#purple 을}}} {{{#skyblue 수}}}{{{#green 가 없}}}{{{#blue 어}}}''' 이젠 '''{{{#blue 어떻}}}'''게 해야 하'''{{{#purple 나}}}''' 내게 '''{{{#blue 어떤}}}''' 말이'''{{{#purple 라}}}'''도 왜 난 '''{{{#blue 이 모}}}'''양일'''{{{#blue 까}}}{{{#green —}}}''' 굳'''{{{#green 어}}}{{{#blue 버}}}{{{#skyblue 린 입}}}{{{#purple 술은}}} {{{#skyblue 어}}}{{{#blue 떻}}}{{{#purple 게}}}''' 해 '''{{{#skyblue 나}}}{{{#blue —}}}''' 너를 처음 본 '''{{{#purple 순}}}'''간 모두 멈춰 버릴 것만 같았어'''{{{#purple —}}}''' 운명처럼 '''{{{#skyblue 너는}}} {{{#purple 이미}}}''' 내게 살며시 다가서고 있'''{{{#purple 던}}}''' 거야 이젠 용기를 '''{{{#purple 내}}}'''야 해 조금씩 너에게 '''{{{#skyblue 다}}}{{{#purple 가}}}'''서려는'''{{{#purple 데}}}''' '''{{{#skyblue 하필 그}}}{{{#purple 때}}}''' 왜 '''{{{#purple 우}}}'''—린 눈빛'''{{{#purple 이}}}''' 마'''{{{#purple 주}}} {{{#skyblue 치}}}{{{#green 는 거}}}{{{#blue 야}}}''' 이젠 '''{{{#blue 어떻}}}'''게 해야 하'''{{{#purple 나}}}''' 나는 '''{{{#blue 움직}}}'''일 수 '''{{{#purple 없}}}'''어 왜 난 '''{{{#blue 이 모}}}'''양일'''{{{#blue 까}}}{{{#green —}}}''' '''{{{#green 넌}}} {{{#blue 돌}}}{{{#skyblue 아서}}}{{{#purple 서}}} {{{#skyblue 가}}}{{{#blue 는}}}{{{#purple 데}}}'''— 어'''{{{#green 떻게}}} {{{#blue 해}}}''' 이젠 '''{{{#blue 어떻}}}'''게 해야 하'''{{{#purple 나}}}''' 너는 '''{{{#blue 나의}}}''' 운명'''{{{#purple 인}}}'''데 왜 난 '''{{{#blue 이 모}}}'''양일'''{{{#blue 까}}}{{{#green —}}}''' '''{{{#green 넌}}} {{{#blue 돌}}}{{{#skyblue 아서}}}{{{#purple 서}}} {{{#skyblue 가}}}{{{#blue 는}}}{{{#purple 데}}}'''— 어'''{{{#green 떻게}}} {{{#blue 해}}}''' '''{{{#blue 스땁}}} {{{#skyblue 디}}}{{{#purple 비}}}'''딥 '''{{{#blue 스땁땁}}} {{{#green 따}}}{{{#gold 비}}}{{{#orange 디}}}{{{#red 답}}}''' || || '''{{{#purple 2옥타브 솔#(G#4)}}}''' '''{{{#skyblue 2옥타브 라(A4)}}}''' '''{{{#blue 2옥타브 시(B4)}}}''' '''{{{#green 3옥타브 도#(C#5)}}}''' '''{{{#gold 3옥타브 레(D5)}}}''' '''{{{#orange 3옥타브 레#(D#5)}}}''' '''{{{#red 3옥타브 미(E5)}}}''' || }}} || 2번 트랙 '운명'은 2집 발매 이전에 음악 방송에서 불린 적이 있다. 당시 제목은 '쉿'으로 2집 발매 전 가제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https://youtu.be/K_F2YjtX0_I|95년도 운명 라이브]] 2001년 락 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마지막으로 불러주었다가 22년이 흘러 2023년 돌발 콘서트에서 다시 불러주었다. === 슬픈 영혼의 아리아(엘리제) === ||<-2> '''{{{#6E7973 슬픈 영혼의 아리아(엘리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_aBmXS1Jvo)]}}}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TAexm2X4kQ)]}}} || ||<-2> {{{#!folding [ 가사 ] ||
'''{{{#6E7973 슬픈 영혼의 아리아(엘리제)}}}''' || || 어딘걸까 내가 잠든 이곳은 너를 볼수 있는 작은 언덕시린 바람부는 나의 묘비 위에 다시 너의 체온이 느껴지고 있어 엘리제 오늘 니가 와 얼어버린 국화를 안고 눈물을 흘려 주지만 넌 이미 늦어버린 사랑 니가 올 수 없는 곳에 난 이미와 있어 미안한 마음 전해봐도 내말을 듣지못해 너를 험한 세상위에 남긴채 그냥 이대로 널 죽어도 떠나가지 못하는 나 눈 떠 너와 나 살고 싶지만 이젠 편히 잠들거야 엘리제를 위하여 돌아가는 너를 보며 아주 먼 훗날에 지금 그 사람과 언덕위에 웃으며 찾아와줘 가슴속에 묻히고 말았던 슬픈 나의 사랑 전설이 되어 너를 반겨 줄게 눈떠 너와 나 살고 싶지만 이젠 편히 잠들거야 엘리제를 위하여 || }}} || '슬픈 영혼의 아리아 (엘리제)'의 부제는 '엘리제를 위하여'다. 원래는 앨범 발매전 팬투표를 통해 타이틀 곡이 될 예정이었지만,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이 2집 앨범에 맨 마지막으로 들어오면서 타이틀 곡 자리를 내줬다. 이후에 후속곡으로라도 이 노래를 음악방송에서 부르나 했지만...'금지된 사랑'이 예상치 못한 인기를 얻는 바람에 후속곡으로도 활동을 하지 못한 노래다. 이렇게 다소 비운(?)의 곡이지만, 김경호 팬들 사이에선 이 곡을 명곡으로 꼽기도 한다. 김경호가 샤우팅을 회복한 이후 2절 첫번째 3단 샤우팅을 올리며 부르면서 많은 팬들을 만족시켜주고 있다. 아직 두번째 4단 샤우팅은 힘에 겨운지 올리지 않지만, 이정도만 해도 김경호의 성대가 갈수록 좋아지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증명해준다. 2017년 대구 콘서트에서 마지막으로 라이브에서 불러줬었으나, 2021년 유튜브 쉰호규전에서 몇마디 라이브를 해주긴 하였다. 그 이후로 2022년 서울 콘서트에서 오랜만에 라이브로 불러주었다. === 만물의 영장 === ||<-2> '''{{{#6E7973 만물의 영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tD8n9Me_IE)]}}}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tP5Q0OhiGA)]}}} || ||<-2> {{{#!folding [ 가사 ] ||
'''{{{#6E7973 만물의 영장}}}''' || || 세상이 '''{{{#blue 변}}}'''해가도 변하지 '''{{{#blue 않}}}'''는 게 있지 사람은 '''{{{#blue 사}}}'''람이고 '''{{{#green 바}}}{{{#blue 람}}}'''은 '''{{{#blue 무}}}'''심히 '''{{{#blue 부}}}'''는 '''{{{#blue 거}}}{{{#green 야}}}''' '''{{{#green 아}}}{{{#blue 무}}}'''리 '''{{{#blue 잘났}}}{{{#gold 어}}}{{{#green 도}}}''' '''{{{#green 저}}} {{{#blue 내}}}'''리는 '''{{{#blue 비}}}'''는 막'''{{{#blue 을}}}''' 순 없어 '''{{{#green 아}}}{{{#blue 무}}}'''도 저 '''{{{#blue 태양}}}{{{#gold 처}}}{{{#green 럼}}}''' '''{{{#green 이}}} {{{#blue 세}}}'''상에 '''{{{#blue 빛}}}'''이 될 '''{{{#blue 수}}}'''는 없어 '''{{{#green 만}}}{{{#blue 물}}}'''의 영장'''{{{#blue 이}}}'''라 하며 '''{{{#green 거}}}{{{#blue 들}}}'''먹거린 '''{{{#blue 인}}}'''간들아 '''{{{#green 너}}}{{{#blue 희}}}'''가 돌아'''{{{#blue 가}}}'''야 할 곳 '''{{{#green 너}}}{{{#blue 희}}}'''가 파괴'''{{{#blue 하}}}'''고 있어 '''{{{#green 만}}}{{{#blue 물}}}'''의 영장 '''{{{#blue 인}}}'''간들아 '''{{{#green 소}}}{{{#blue 중}}}'''한 것이 '''{{{#blue 무}}}'''엇인가 '''{{{#green 멈}}}{{{#blue 추}}}'''지 않는 '''{{{#blue 시}}}'''간 속에 '''{{{#green 어}}}{{{#blue 쩔}}}''' 수 없이 '''{{{#blue 사}}}'''라'''{{{#blue 질}}} {{{#green 너}}}''' 나 이제 돌아가리라 나 태어'''{{{#blue 나}}}''' 자'''{{{#blue 라}}}'''난 워'''{{{#blue 워}}} {{{#orange 땅}}}{{{#red 에—}}}''' '''{{{#green 아}}}{{{#blue 무}}}'''리 '''{{{#blue 잘났}}}{{{#gold 어}}}{{{#green 도}}}''' '''{{{#green 저}}} {{{#blue 내}}}'''리는 '''{{{#blue 비}}}'''는 막'''{{{#blue 을}}}''' 순 없어 '''{{{#green 아}}}{{{#blue 무}}}'''도 저 '''{{{#blue 태양}}}{{{#gold 처}}}{{{#green 럼}}}''' '''{{{#green 이}}} {{{#blue 세}}}'''상에 '''{{{#blue 빛}}}'''이 될 '''{{{#blue 수}}}'''는 없어 '''{{{#green 만}}}{{{#blue 물}}}'''의 영장'''{{{#blue 이}}}'''라 하며 '''{{{#green 거}}}{{{#blue 들}}}'''먹거린 '''{{{#blue 인}}}'''간들아 '''{{{#green 너}}}{{{#blue 희}}}'''가 기억'''{{{#blue 되}}}'''는 곳은 '''{{{#green 차}}}{{{#blue 디}}}'''찬 너희 '''{{{#blue 무}}}'''덤일 뿐 '''{{{#green 너}}}{{{#blue 희}}}'''가 가진 '''{{{#blue 욕}}}'''심들은 '''{{{#green 세}}}{{{#blue 상}}}'''을 썩게 '''{{{#blue 할}}}''' 뿐이야 '''{{{#green 가}}}{{{#blue 슴}}}'''에 남은 '''{{{#blue 작}}}'''은 사랑 '''{{{#green 세}}}{{{#blue 상}}}'''을 다시 '''{{{#blue 밝}}}'''힌 거야 '''{{{#green 만}}}{{{#blue 물}}}'''의 영장 '''{{{#blue 인}}}'''간들아 '''{{{#green 어}}}{{{#blue 디}}}'''로 가려 '''{{{#blue 하}}}'''는 걸까 || || '''{{{#blue 2옥타브 라(A4)}}}''' '''{{{#green 2옥타브 시(B4)}}}''' '''{{{#gold 3옥타브 레(D5)}}}''' '''{{{#orange 3옥타브 레#(D#5)}}}''' '''{{{#red 3옥타브 미(E5)}}}''' || }}} || '만물의 영장'은 김경호가 작곡에 참여한 메탈곡이며, "인류에게 경고하는 가사"가 특징이다. [[FireHouse]]의 Overnight Sensation이나 [[저니(밴드)|Journey]]의 Separate Ways와 코드가 비슷해 라이브에서 메들리로 자주 엮어서 불렀다. 2017년 락 크리스마스 콘서트에서 팬들의 요청으로 불러줬었다. === Aid & Aids === ||<-2> '''{{{#6E7973 Aid & Aid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wg8AVq1F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GTSxpVRpzM)]}}} || ||<-2> {{{#!folding [ 가사 ] ||
'''{{{#6E7973 Aid & Aids}}}''' || || 한쪽에선 유리관속 아이가 만들어지고 한쪽에선 알 수 없는 병으로 사람이 죽어가지 이러다간 이 세상이 뒤집어질 것만 같아 time filled with pain (but) life's going on 도대체 알 수가 없는 세상 oh! save us god oh! save us god aid&aids 언제까지 이렇게 한쪽에선 아이들이 굶어서 죽어나가고 pipper cane ,it rules the world 영혼을 빼앗고 있지 - there is no love there is no faith aid&aids 언제까지 이렇게 사나 - || }}} || 6번 트랙 'Aid & Aids'는 사회 비판형 가사가 특징이며, 콘서트에서 꽤 자주 올렸던 곡이다. 2집 발매 전에 라이브로 부른 적이 있다. ===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6번째 트랙이자 타이틀 곡인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은 M.net에서 9주 동안 1위, MBC 인기가요 BEST 50에서 2주간 1위, SBS TV 가요 20에서 2주간 1위를 했고 몇 달 동안 음원차트 1위를 휩쓸어갔다. 또한 가요톱텐에선 1세대 아이돌인 DJ.DOC와 H.O.T와 같이 1위 후보에 올랐고 골든컵을 탄 임창정의 '결혼해 줘'와 한 표차 접전을 벌였다. 아울러 멜론의 시대별 차트 1997년에 당당히 1위에 이름을 올린 명곡. 작곡가 이경섭은 원래 이 곡을 발라드 풍으로 제작했으나, 김경호에게 곡을 주는 것이 결정되자 록으로 바꿨고, 후반부에 나오는 3단 고음[* 3옥타브 도#-파-솔#] 및 "그녈 곁에둔~"부분도 이때 뒤늦게 삽입된 것이라고 한다. 브릿지 부분(네게 그런 사람이~)부터 높은 난도를 보이는 곡인 것이 특징.[* 싸비에서의 최고음이 2옥타브 시인데, 브릿지 부분도 최고음이 2옥타브 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Our Son === ||<-2> '''{{{#6E7973 Our Son}}}'''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6o9waAJ8JY)]}}}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ps0DYbuX2A)]}}} || ||<-2> {{{#!folding [ 가사 ] ||
'''{{{#6E7973 Our Son}}}''' || || Here I stand in the reign of the madness The judgement calls to be come The rain of blood is still falling on cold lake They say as dawn is not to '''{{{#blue be}}} {{{#green done}}}''' Running on to an end '''{{{#blue I'll}}} {{{#green be}}} {{{#gold healed}}} {{{#green when}}} {{{#blue the}}}''' judgement '''{{{#blue is}}}''' over Then the day'll '''{{{#blue find}}}''' the new '''{{{#blue Just}}}''' for believers '''{{{#blue you'll}}}''' find your place I'll be cured when the our '''{{{#blue son}}}''' is '''{{{#green born}}}''' '''{{{#gold Learn}}}'''ing '''{{{#green to }}}''' live just fight for your life, yeah The full moon lights evil starting their faking The music starts but I don't dance As they hold so our sky's '''{{{#blue turn}}}'''ing red We does our window they're paint'''{{{#blue ing}}}''' us '''{{{#green sad}}}''' '''{{{#blue Run}}}{{{#green ning}}} {{{#gold on}}} {{{#green to an end}}}{{{#gold —}}}{{{#green —}}}{{{#blue —}}}''' '''{{{#blue I'll}}} {{{#green be}}} {{{#gold healed}}} {{{#green when}}} {{{#blue the}}}''' day clos'''{{{#blue es}}}''' life passed '''{{{#blue and}}}''' every'''{{{#blue thing's}}}''' over Then the day'll '''{{{#blue find}}}''' the new '''{{{#blue Just}}}''' for believers '''{{{#blue you'll}}}''' find your place I'll be cured when the our '''{{{#blue son}}}''' is '''{{{#green born}}}''' '''{{{#gold Learn}}}'''ing '''{{{#green to }}}''' live just fight for your life Then the day'll '''{{{#blue find}}}''' the new '''{{{#blue Just}}}''' for believers '''{{{#blue you'll}}}''' find your place I'll be cured when the our '''{{{#blue son}}}''' is '''{{{#green born}}}''' '''{{{#gold Learn}}}'''ing '''{{{#green to }}}''' live just fight for your life Soldiers marches on'''{{{#blue to}}}''' their grave '''{{{#blue Break}}}'''ing through darkness to '''{{{#blue home}}}''' of the brave You will find on the life '''{{{#blue hav}}}'''ing '''{{{#green death}}}''' '''{{{#gold Chase}}}''' your '''{{{#green own }}}''' fate you're '''{{{#orange des}}}{{{#red tined to}}}'''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red; color: darkred;" '''fly—'''}}} || || '''{{{#blue 2옥타브 라(A4)}}}''' '''{{{#green 2옥타브 시(B4)}}}''' '''{{{#gold 3옥타브 도(C5)}}}''' '''{{{#orange 3옥타브 레#(D#5)}}}''' '''{{{#red 3옥타브 미(E5)}}}'''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0 0 2px red; color: darkred;" '''3옥타브 파#(F#5)'''}}} || }}} || 7번 트랙 'Our Son'은 작곡가 유주형의 언급에 의하면 웅장한 느낌으로 만들려고 했는데 처음 녹음실을 써볼 때라 잘 만들지 못했다고 한다. 이 곡도 2집 발매 이전에 라이브로 부른 적이 있다. === 때늦은 후회 === ||<-2> '''{{{#6E7973 때늦은 후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mGznT9VBA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xOEnyVetlg)]}}} || ||<-2> {{{#!folding [ 가사 ] ||
'''{{{#6E7973 때늦은 후회}}}''' || || 내나이 아주 어릴 때 그녀를 처음 만났지 세상에 제일 예뻤고 하늘에 천사 같았어 오 워- 그렇게 다가온 그 애는 내 첫사랑이었어 그녀를 위해서라면 뭐든지 할 것 같았어 눈부신 그녀 곁에서 영원히 살고 싶었어 워- 너에겐 그 어떤 얘기도 끝내 못하고 말았어 그녀가 꿈꾸던 백마탄 기사가 나이길 꿈꾸었지 밤마다 보고 파 눈물이 흘렀고 시간도 흘러갔지 워- 그렇게 너를 보냈어 그렇게 세월이 흘러 그녀는 가슴 한켠에 짝사랑이란 이름에 추억이 된 지금 세상엔 믿기 어려운 일들이 많다 하지만 믿을 수 없는 그 일이 내게 생긴 거야 오- 하늘이 무너져 내린다는 걸 그때야 알았지 우연히 다시 내 앞에 나타난 그 앤 울었지 한참을 그냥 울다가 아무말 없이 떠났지 오- 내 앞에 남은 건 얼룩진 너의 빛바랜 일기장 널 처음 만났던 얘기로 시작된 그녀의 일기장엔 그녀가 꿈꾸던 백마탄 기사가 바로 나였다는걸 오- 어떻게 그럴 수 있나 || }}} || 8번 트랙 '때늦은 후회'는 발매 이후 처음으로 2019년 언플러그드 돌발 콘서트에서 불러주었다. 김경호가 랩을 하는 매우 희귀한 곡. 역시 클라쓰는 어디 안 가는지 잘 한다. === [[금지된 사랑(노래)|금지된 사랑]] === '금지된 사랑'은 원래 후속곡으로 쓰일 예정은 아니었지만 팬들로부터 많은 인기를 얻어 후속곡으로 결정되었다. 지금도 그는 본인의 콘서트 막바지에 이 노래를 부른다. 참고로 이 곡의 작곡가인 유승범은 1992년 최수종, 최진실 주연의 인기 드라마 질투의 주제가를 부른 가수다. JTBC의 예능프로그램 [[투유 프로젝트 - 슈가맨]] 파일럿 방송에서 김경호의 인터뷰를 통해 '금지된 사랑'의 작곡가가 바로 드라마 질투 주제가를 부른 가수임이 알려졌다. 인터뷰에서 김경호가 말하길 '금지된 사랑'은 유승범 작곡가가 자신 앞에서 15분만에 뚝딱 만든 곡이라고.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금지된 사랑(노래))] === [[마지막 기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마지막 기도)] === 피노키오에게 === ||<-2> '''{{{#6E7973 피노키오에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8a_O7ft9Y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_rytgErazE)]}}} || ||<-2> {{{#!folding [ 가사 ] ||
'''{{{#6E7973 피노키오에게}}}''' || || 울고 있니 너무 슬퍼하지마 아직 가야할 길 너무 멀기에 시간이 없어 자신 있게 저 하늘을 바라봐 잃어버린 만큼 채워가는게 세상이잖아 어디로 가야할 지는 모르는 세상이란 미로 속을 헤매이는 너에게 기억해 나는 너의 친구야 언제라도 힘이들 때 내게 달려오면 돼 우리 함께라면 힘들지만 않아 어느새 행복은 내 가슴에 다가와 있어 고갤 들어 나의 눈을 바라봐 너의 순수 앞에 무너져 가는 거짓된 세상 모르겠니 너의 미소만으로 우린 얼마나 큰 평화 위에 꿈을 꾸는지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는 세상이란 미로 속을 헤메이는 너에게 기억해 나는 너의 친구야 언제라도 힘이들 때 내게 달려오면 돼 태양은 오늘도 다시 뜨고있어 내 맘속 깊은 곳에 태양은 바로 너인걸 잠시 꿈을 잊고서 세상이란 미로 속을 헤메이는 너에게 기억해 나는 너의 친구야 언제라도 힘이들 때 이젠 내게 달려오면 돼 || }}} || 11번 트랙 '피노키오에게'는 발매 이후 처음으로 24년만에 2021년 락 크리스마스 콘서트 낮공에서 불러주었다. 팬들 사이에서는 이곡을 2집의 숨겨진 명곡으로 꼽기도 한다. 여담으로 이 노래도 원래는 1집에 수록될 곡이였다고 한다. === 너를 기다리며 === ||<-2> '''{{{#6E7973 너를 기다리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Xmd-9BsGOU)]}}}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O-t5-Kt2Q)]}}} || ||<-2> {{{#!folding [ 가사 ] ||
'''{{{#6E7973 너를 기다리며}}}''' || || 끝내 내게 오지 않을 기다림으로 바람처럼 야위여간 가슴에 너로 인해 쌓여 가는 그리움으로 내 눈물처럼 번져 가는 너의 슬픈 이야기 겨울나무 가지마다 기대앉아서 아프게 날 바라보는 추억들 스쳐 가는 시간들은 귓가에 앉아 모든걸 잊어버리라고 말을 하지 너의 따뜻한 미소 이젠 내게 없지만 내게 다시 돌아와 너로 채워져야 하는 빈 가슴으로 내게 다시 돌아와 영원히 너만을 기다릴거야 사랑이라 했지만 너는 떠나갔잖아 내게 다시 돌아와 너로 채워져야 하는 내 빈 가슴으로 내게 다시 돌아와 항상 너의 자리 곁에서 기다릴거야 내게 다시 돌아와 돌아오는 그날을 위해 언제나 내 가슴에 숨쉬며 살아가는 영원한 사랑 너만을 기다리며 || }}} || 마지막 트랙인 '너를 기다리며'는 매우 밝은 느낌인 발라드로 김경호의 미성을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곡 중 하나다. 이 곡도 2집 발매 전에 불러주었으며 당시 제목은 영원한 사랑이라는 가제목이였다. 1998년 전주 콘서트[[https://youtu.be/0Qcz2VZFXXY?si=SRDH23c3B-gJCQW4]] 에서 마지막으로 불러주었다가 25년 만에 다시 2023년 돌발 콘서트에서 불러주었다. == 뮤직비디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1Tt5j_wvxE)]}}} || ||<#141811> {{{#6E7973 '''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MV]'''}}} || 김경호의 첫 뮤직비디오로, 상의를 입지 않고 연기가 가득한 상황에서 노래를 부르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최근에는 뮤직비디오의 연기가 담배연기임이 밝혀졌다. 당시 머리를 보면 2집 중반기의 헤어스타일인데, 나슬사가 엄청 히트하게 되자 소속사에서 급하게 저예산 뮤직비디오를 찍은 것이었다. 저예산 뮤직비디오이기 때문에 재료가 적어 드라이아이스가 부족해지자 스탭들이 옆에서 담배를 피고 부채를 부치며 안에 연기를 가득하게 만들었고 그 사이에서 노래를 했다고... 김경호도 도저히 맨정신으로 하기 어려워 소주를 몇 잔 마셨다고 한다. == 활동 == ||<-4>
''' {{{#6E7973 kim:kyungho 1997 음악방송 활동}}}''' || || '''날짜''' || '''프로그램''' || '''링크''' || '''비고''' || || 1997.06.28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af-fluXWKOI|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34위[* 2집 첫 음악방송] || || 1997.07.27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lGphTqHtq5A|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30위 || || 1997.07.27 || [[이소라의 프로포즈]] || [[https://youtu.be/8oWNGuqydJg|나슬사+멘트+Youth Gone Wild]] || [* 지금의 김경호를 만들어준 방송] || || 1997.07.30 || KBS 가요톱10 || [[https://youtu.be/ZqBPTEjmrX4|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50위 || || 1997.08.01 || Summer Satr BigBang쇼 || [[https://youtu.be/6ZMutP9OMTg|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 || 1997.08.09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e_CSRXwS8Zk|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2위 || || 1997.08.20 || KBS 가요톱10 || [[https://blog.daum.net/kihstone/2775|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4위 || || 1997.08.24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K76vLHPSwA|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0위 || || 1997.08.30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DTHP_ZZWHrM|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5위 || || 1997.09.06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f3nbQVCKxMQ|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5위 || || 1997.09.07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m-t7Re9IUyM|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5위 || || 1997.09.13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KshK76w2JUY|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09.17 || KBS 가요톱10 || [[https://m.blog.daum.net/kihstone/2776|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3위 || || 1997.09.20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r6HOgMHP5jU|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09.21 || [[이소라의 프로포즈]] || [[https://youtu.be/pRAT-duGQgU|나슬사+멘트+Separate Ways]] || || || 1997.09.24 || KBS 가요톱10 || [[https://youtu.be/tvrHkC5POzE|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09.27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zDc5R-JnlzY|나슬사]] [[https://youtu.be/Z3k1t6xYi-Q|1위 발표+앵콜]] || '''{{{#red 1위}}}''' || || 1997.09.28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nBj_Bv8XCsE|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4위 || || 1997.09.28 || 한마음 음악회 || [[https://youtu.be/BDlnceHT-4c|나슬사+운명]] || || || 1997.10.04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kWCBTe_A-rM|나슬사]] [[https://youtu.be/QLfDQiFQzfM|1위 발표+앵콜]] || '''{{{#red 2주 연속 1위}}}''' || || 1997.10.05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T1xDtySVlAw|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0.08 || KBS 가요톱10 || [[https://youtu.be/GOqVbKtKKVY|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0.11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kC0tIWLS6Ao|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0.18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_He8QKsW6g|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0.19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YkRyEI0IVyg|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0.25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0hSxix2JHio|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0.26 || 환경콘서트 || [[https://youtu.be/PEUoaKmEx-4|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 || 1997.11.01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IFBfxeHO2pk|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1.08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uR2_FcXy4fs|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위 후보 || || 1997.11.11 || Mnet 대축제 || [[https://youtu.be/VNB2pYgfmwo|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 || 1997.12.04 || 서울가요대상 || [[https://youtu.be/ecxt9aKw4mo|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0대 가수상 수상 || || 1997.12.07 || KMTV 가요대전 || [[https://youtu.be/ad6GUYJGZ48|나슬사+금사]] || 인기가수상 수상 || || 1997.12.13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Q-9vOoNUKPk|금지된 사랑]] || 5위 || || 1997.12.14 || 대한민국영상음반대상 || [[https://youtu.be/qpJpPIcM3Zo|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본상 수상 || || 1997.12.20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bqqM2tUbpho|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금지된 사랑 4위 || || 1997.12.21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bDAwlayROnk|금지된 사랑]] || 3위 || || 1997.12.28 || SBS 가요대전 || [[https://youtu.be/wjiZ8KEJl1Y|나를 슬프게 하는 사람들]] || 10대 가수상 수상 || || 1997.12.31 || 한국 가요대제전 || [[https://youtu.be/zB46WrbGRNE|나슬사+금사]] || || || 1998.01.03 || MBC 인기가요 || [[https://youtu.be/vA_d-Jul0Bo|금지된 사랑]] [[https://youtu.be/WHWAoxn17gg|멘트]] || 1위 후보 || || 1998.01.04 || SBS TV가요 20 || [[https://youtu.be/9LmhRBAPNU0|금지된 사랑]] || 4위 || || 1998.01.18 || [[이소라의 프로포즈]] || [[https://youtu.be/I-kirqdNcAo|금사+멘트+나슬사[br]+Daddy, brother, lover, little boy]] || || [[분류:김경호/음반]][[분류:1997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