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쌔신 크리드: 오리진]]의 등장인물은 해당 항목의 5.1.4 문단 참조. || [[파일:KEMU VOXX.jpg|width=100%]] || [[파일:kemu.png]] kemu(케무) [목차] [clearfix] == 개요 == * [[https://www.kemu-voxx.com/|KEMU VOXX 오피셜 사이트]]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dZ1Nz4ZcBy6fb2YVyB0CQ|KEMU VOXX의 곡들이 모두 투고된 ke-sanβ의 유튜브 채널]] '''호리에 쇼타''', '''[[나카무라 이네]]'''와 동일인물. '츠카모토 케무(塚本けむ)'라는 명의도 있다. 2011년부터 2013년까지 [[니코니코 동화]]에서 [[VOCALOID]]를 사용해 오리지널 곡을 만들었던 [[VOCALOID/프로듀서|유명 VOCALOID 프로듀서]] 중 하나. 데뷔일은 2011년 11월 7일이다. 첫 작은 [[인생 리셋 버튼]]. 이 곡은 BPM 200의 스피드감과 중독감 넘치는 멜로디와 가사, 수려한 PV와 강렬한 작풍으로 첫 작이면서도 현재 '''트리플 밀리언 달성''', 혜성처럼 나타난 신인 프로듀서로서 주목받았다. 사용하는 [[VOCALOID]]는 [[GUMI]], [[카가미네 린·렌|카가미네 린]], [[IA]].[* 단 엄밀히 말하면 카가미네 린의 경우에는 [[인비저블(kemu)|인비저블]]에서 구미와 함께 쓰이긴 했지만 [[오레바나나P]]가 조교한 것. 따라서 사용했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이후 앨범에 카가미네가 본격적으로 쓰인걸 봐서 후에 구입한것 같기도 하다] 질주감 넘치는 밴드사운드에, 공통의 세계관을 가진 가사와, 곡의 테마가 동화설명문이나 마이리스트 코멘트에 써 있다. 또한 전곡의 PV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끊임없이 회전하고 있는 입방체(통칭 'kemu 큐브')가 있다. 곡의 스타일은 상기한 대로 평면적이지만 스피디한 밴드 사운드에 여타 프로듀서들보다 멜로딕한 신스음을 많이 넣는 편이다. 앨범에 수록된 연주곡의 경우 아이리쉬 풍의 멜로디와 악기가 자주 들린다. 같은 시기에 활동한 [[진(자연의 적P)|자연의 적P]]와 비교해 본다면 이 쪽은 주로 신스음이 비중이 높다.[* 자연의 적P와는 동시대 활동에, 이능력과 관련된 세계관에 선풍적 인기가 합쳐져 KEMU VOXX와 카게로우 프로젝트를 엮는 팬아트도 간간히 발견된다.] 2012년 1월 10일에 서클 KEMU VOXX를 결성, 멤버는 작곡 담당 'kemu', 일러스트레이터 '하츠코', 영상 제작자 [[ke-sanβ]], OS 담당 [[스즈무]][* 2015년 10월 10일부로 은퇴했다. 자세한 내용은 [[스즈무]] 문서 참조]4명으로 구성되었다. [[사운드 볼텍스]]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이름. 투고된 곡 9개중 6개가 사운드 볼텍스에 수록되어 있거나 수록될 예정이다. [[리인카네이션]] 발표 이전까지 총 6곡을 투고했는데, 그 투고한 9곡 전부가 [[주간 보컬로이드 랭킹]] 1위를 했고, 9곡 '''전부 밀리언 달성'''이라는 충격적인 기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참고로 6곡 밀리언이라는 기록은 [[하치]], [[진(자연의 적P)]] 이후 3번째 달성 기록이다. 동시에 당시 기준 '''최초의 투고곡 전곡 밀리언 달성 기록''' 보유자.[* 이 뒤로는 [[나유탄 성인]]이 투고한 14곡 전부 전설입성을 달성했다.] 2015년 9월 30일 갑자기 [[ke-sanβ]]가 트위터에서 [[구자라트어]]로 글을 올린걸 보고 혹시 kemu가 복귀하는 것 아닌가 하는 말이 돌고있다. 호리에 쇼타(堀江晶太)가 PENGUIN RESEARCH의 라이브에서 자신이 작곡한 곡 중 가장 소중한 곡이라며 [[패배의 소년]]을 연주했는데, 호리에 쇼타(堀江晶太)는 바로 [[나카무라 이네]](中村イネ)의 다른 명의다. '''즉, kemu는 [[만화가]] [[야부키 켄타로]]의 전(前) 부인인 [[카시와기 시호]]의 [[불륜]] 상대였던 그 [[나카무라 이네]](中村イネ)라는 것.''' 이 충격적인 흑역사가 밝혀지면서 여러 곡들을 히트시키며 쌓아올린 kemu의 이미지는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2015년 11월 7일, 즉 [[인생 리셋 버튼]] 투고 4주년째 되는 날 KEMU VOXX 사이트 갱신과 함께 짧은 영상이 투고되었다.[* 정확히는 인생 리셋 버튼의 투고 시각은 23시(오후 11시) 33분, 갱신을 알린 ke-sanβ의 트윗 시각은 오전 11시 33분.] 영상명은 KEMU VOXX [[패배의 소년]] -PianoArrange-. 패배의 소년 후렴구의 피아노 어레인지와 함께 '옛날 이야기를 기억하고 있어?' 라는 문구 이후 KEMU VOXX 로고와 함께 Thank you for 4th anniversary라는 문구가 나왔다가 영상 말미에 진동하는 효과와 함께 Thank you for waking me up이라는 문구로 전환되었다. 2016년 3월 13일, 트위터에서 잠수 타던 kemu가 뜬금없이 자신이 온천여행 가고 있다며 최근 실황을 올렸다. 2017년 5월 31일, 신곡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를 투고했다. kemu 명의로 발표한 곡으로서는 [[패배의 소년]] 이후 약 4년만의 복귀. 동시에 KEMU VOXX 공식 사이트가 함께 리뉴얼되었으며, 트위터를 통해 자신이 호리에 쇼타와 동일인물이라는 것을 공개적으로 밝히고 kemu 명의의 트위터를 kemu/호리에 쇼타 양 명의 모두의 트위터로 변경했다. 복귀에 대한 반응은 나뉘는 편. 애초에 부정적인 발언 자체가 잘 나오지 않는 트위터[* 특히 일본 트위터는 모바일 게임 운영사나 유명인들이 온갖 삽질을 하거나 병크를 저질러도 비판하는 의견이 전혀 나오지 않기로 유명하다.]나 유튜브 댓글 등에서는 반기는 반응이 많지만, 익명성이 꽤나 강력한 니코동이나 5ch 등에서는 부정적인 반응도 상당하다. 특히 국내에서는 이전처럼 조용히 활동할 것이지 이렇게 당당하게 복귀한 것은 무슨 염치냐며 비판하는 의견이 대다수. 니코동의 비판 영상의 수많은 마이리스트 수를 보면 [[까]]도 여전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인지 본인은 트위터나 니코동에 자주 접속하지 않는다고.[* 본인은 예전부터 음악을 능동적으로 찾아서 듣는 것에 익숙하지 않아서 그렇다고 하나, 과거 니코동에서 불륜 발각 사건으로 인성에 관련해서 매우 크게 비판받았던 것을 고려하면 이유가 정말로 그것만은 아닐 것이다.] 2017년 8월 25일, 2달 20일 만에 트위터를 갱신했다. 2017년 말에 매지컬 미라이 앨범에 수록될 [[진(프로듀서)]]와의 콜라보 곡을 공개하였다. 이름은 밀리언/원즈(ミリオン/ワンズ). 2020년 4월 13일 유튜브 및 니코니코 동화에 원곡 [[괴력베어]](かいりきベア)의 [[레밍밍]](レミングミング)을 kemu가 어레인지한 버전이 괴력베어의 계정으로 공개되었다. == 투고 곡 목록 == 밀리언 달성은 굵게 표시. * '''[[인생 리셋 버튼]]''' * '''[[인비저블(kemu)|인비저블]]''' * '''[[사기 라이프 게임]]''' *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 * '''[[지구 최후의 고백을]]''' * '''[[신님 태엽감기]]''' * '''[[리인카네이션(VOCALOID 오리지널 곡)|리인카네이션]]''' * '''[[패배의 소년]]''' *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 * [[세카이(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세카이]][*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두번째 테마송] - 작곡 담당 * [[와력의 탑]] * [[88☆彡]][*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유닛 [[원더랜즈×쇼타임]] 제공 곡. [[marasy8|마라시]]와의 합작이다.] * '''[[신인류(VOCALOID 오리지널 곡)|신인류]]'''[* [[마라시]], [[진(프로듀서)|진]]과의 합작. [[보카코레]] 2023 SPRING 출품곡.] === 달성 기록 === ||<#D9E5FF> * 2012년 5월 8일 22시, [[인비저블(kemu)|인비저블]]이 밀리언 달성. * 2012년 6월 7일 0시 33분, [[사기 라이프 게임]]이 밀리언 달성. 20명째의 2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2년 6월 12일 21시 26분, [[인생 리셋 버튼]]이 밀리언 달성. 11명째의 3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2년 7월 1일 18시 23분,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밀리언 달성. 8명째의 4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3년 1월 26일 7시 3분, [[지구 최후의 고백을]]이 밀리언 달성, [[ryo]], [[하치]], [[진(자연의 적P)]]에 이은 4명째의 5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3년 2월 4일 8시 16분,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더블 밀리언 달성. * 2013년 2월 28일 19시 49분, [[신님 태엽감기]]가 밀리언 달성. [[하치]], [[진(자연의 적P)]]에 이은 3번째의 6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이자 역사상 최초의 전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3년 5월 3일 19시 27분, [[인비저블(kemu)|인비저블]]이 더블 밀리언 달성. * 2013년 11월 25일 17시 55분, [[사기 라이프 게임]]이 더블 밀리언 달성. 5번째의 3곡 더블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4년 2월 12일 22시 29분,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트리플 밀리언(300만) 달성. * 2014년 3월 10일 19시 53분, [[리인카네이션]]이 밀리언 달성. [[하치]], [[진(자연의 적P)]]에 이은 3번째의 7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4년 5월 23일 12시 20분, [[인생 리셋 버튼]]이 더블 밀리언 달성. 5번째의 4곡 더블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4년 8월 12일 16시 07분, [[패배의 소년]]이 밀리언 달성. [[하치]], [[진(자연의 적P)]]에 이은 3번째의 8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이자 다시 역사상 최초 '''전곡 밀리언 달성 프로듀서'''가 되었다. * 2015년 8월 2일,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400만 달성. * 2015년 10월 23일 20시 25분, [[인비저블(kemu)|인비저블]]이 트리플 밀리언 달성. * 2016년 6월 7일 00시 38분,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500만 달성. * 2016년 9월 1일 01시 25분, [[신님 태엽감기]]가 더블 밀리언 달성. * 2017년 2월 8일 23시 58분, [[사기 라이프 게임]]이 트리플 밀리언 달성. * 2017년 7월 21일 13시 11분, [[친애하는 도플갱어에게]]가 밀리언 달성. * 2017년 7월 27일 19시 05분, [[육조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600만 달성. * 2017년 8월 8일 2시 29분, [[인생 리셋 버튼]]이 트리플 밀리언 달성. * 2021년 12월 27일 17시 56분, [[육조 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VOCALOID 신화입성]].''' || == [[PANDORA VOXX|음반]] == [[PANDORA VOXX]]문서 참조 [[분류:음성 합성 엔진/프로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