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어 단어]][[분류:손가락]] [include(틀:다른 뜻1, other1=한국 무교의 의식, rd1=굿, other2=칸예 웨스트가 설립한 레이블, rd2=GOOD Music)] [목차] [clearfix] == 개요 == good[ɡʊd]은 '좋은'이라는 뜻을 가진 형용사이다. '좋아!'라는 감탄의 뜻으로 쓰기도 한다. 특이하게도 원형과 비교급 형태의 모양이 현저하게 다른 단어다. 비교급은 better, 최상급은 [[베스트|best]]로 이들 형식은 good과 전혀 다르다. 이들은 본래 boot의 변화형인데 good이 확산되면서 good이 boot의 자리를 대체한 것이다.[[https://www.etymonline.com/word/best?ref=etymonline_crossreference|#]] 추상적으로 [[선(사상)|선]]([[善]])을 뜻하기도 한다. 한국어로 생각하면 '좋음'을 '선'의 의미로 쓰는 셈이다. 이런 용법으로는 good and evil(선과 [[악]]) 식으로 [[이블|evil]]과 자주 맞대응된다. 이 의미에서 비롯하여 '선한 자질'은 goodness라 한다. [[선(사상)|좋음]]의 정의가 매우 모호하고 다양하니만큼 good이 지닌 뜻도 다양하다. 구체적으로는 '믿을 만하다(trustworthy)', '유효하다(valid)', '똑똑하다(bright)', '착하다(nice)', '준비가 되다(ready)' 등의 의미를 모두 포괄한다. s를 붙이면 '물건'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굿즈]] 참고. [[기펜재]](Giffen's good)처럼 단수로 쓰기도 한다. == 한국에서 == 매우 쉬운 단어이기에 한국에서도 외래어로 자주 쓰이며 대다수 사람들이 철자가 good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김성모]] 만화 [[대털]]에서는 [[황산(김성모)|황산]]이 이 단어를 말하면서 굳이 '굳(GOOD)'이라고 [[보조어 병기|괄호로 영어 표기가 병기되어]] 독자의 웃음을 사기도 했다. 한글로 썼을 때 '굳'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외래어 표기법#s-9.1.3|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굿'이 맞는 표현이다. 말음이 유성음 [d]이기에 원칙에 따른 표기는 '''구드'''이지만[* 영어를 한글로 적을 때 음절말이 무성음이고(지금 상황에선 [t\]) 모음이 단음일 때에만 '굿'과 같이 [[ㅅ]] 받침으로 쓸 수 있다.] 관습이 인정된 듯하다. 일상에서, 특히 [[카카오톡]] 같은 데서 '굿굿'으로 2번 말하기도 한다. == [[동원어]] == 독일어 동원어는 gut[ɡu:t](구트)로 오늘날에도 형식이 매우 비슷하다. 인삿말 [[굿모닝|Good Morning]]([[굿모닝]]) - Guten Morgen(구텐 모르겐)은 두 단어 모두 동원어로 이루어진 짝이다. 네덜란드어 동원어는 goed[ɣut](후트)이다. 위 good morning에 대응하는 네덜란드어 표현은 Goedemorgen이다. == 언어 외 용도 == === 손 동작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따봉)] || [[파일:무지 굿.png|width=200]] || || [[카카오톡]]에서 (굿)[* 영어로는 (thumbsup).]을 입력하면 뜨는 [[이모티콘]]. 사진 속의 캐릭터는 [[무지(카카오프렌즈)|무지]]이다. || 'good'이라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엄지를 척 내세우는 동작이 자주 쓰인다. 한국에서는 1989년 오렌지 주스 광고에서 비롯한 [[따봉]]이라고도 자주 부른다. === [[리듬게임]]의 [[판정#s-3|판정]] === 대부분의 [[리듬게임]]의 [[판정#s-3|판정]]에 쓰이는 단어이다. 뜻은 좋은 말이지만 리듬게임에서는 그다지 좋은 판정이 아니란것이 [[아이러니]]. 많은 리듬게임에선 굿 판정이 BAD의 판정의 상위. 즉, 좋은 판정중 가장 낮은 판정에 속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그저그렇다를 SO-SO 에서 한단계 올려서 GOOD 으로, 약간 좋다를 GOOD 에서 한단계 올려서 GREAT 로 했다고 볼 수도 있다.] [[https://imgur.com/gallery/Ck7orzj|덕분에 이런 드립도 자주 나오고 있다.]][* 아들이 좋은(good) 성적을 얻었는데 아버지가 리듬게임에 중독된 나머지 good을 나쁜 의미로 받아들여 아들에게 매를 드는 장면이다. DDR 게임인데 good 판정을 받으면 점수가 하나도 안주어진다. 그래서 0점 받은걸로 오인한 듯] 인식 변화가 일어난 현재는 이 때문에 GOOD이 들어갈 자리를 다른 이름으로 바꿔 넣는 경우가 있다. [[OverRapid]]에서는 SAVE, [[Muse Dash]]에서는 PASS가 GOOD의 자리에 들어가 있다. 이처럼 그다지 좋지 않기 때문에 같은 GOOD 판정이라도 게임에 따라 콤보 처리가 달라지기도 한다. 최근의 리듬게임들은 그대로 콤보 숫자가 증가하는 경우가 많고, [[펌프 잇 업]] 처럼 콤보에 영향이 없는(즉 콤보가 증가하지도 끊기지도 않는) 것이 있으며, [[뱅드림! 걸즈 밴드 파티!]]처럼 칼같이 콤보 브레이크가 일어나는 게임이 있다. --풀 콤보 도전하려고 하면 꼭 하나씩 뜬다.아 킹받-- == 이 단어가 들어간 문서 == * [[굿 럭!!]] * [[굿 엔딩]] * [[굿 스터프]] * ~~[[우왕ㅋ굳ㅋ]]~~ * --[[우왁굳]]-- == 여담 == [[프랑스]]에서 주최하는 음식 행사 Goût de France는 '프랑스의 맛'이라는 뜻인데 goût de와 good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해 Good France라고도 병기하고 있다.[[https://www.sedaily.com/NewsVIew/1RWUMDC5IZ|#]]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굿, version=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