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 ||<-3>
'''{{{#white {{{+2 eBASEBALLパワフルプロ野球2022}}}'''[br]'''Power Pros 2022'''[br]'''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2}}}''' || || '''표지''' ||<-2> '''로고''' || ||<|9> [[파일:pkg_pawa2022.jpg|width=100%]] ||<-2> [[파일:logo_pawa2022.png|width=100%]] || || '''발매''' ||[[2022년]] [[4월 21일]] || || '''제작''' ||[[코나미|코나미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 || '''장르''' ||야구·육성 || || '''플랫폼'''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플레이스테이션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 '''플레이 인원''' ||[[Nintendo Switch|[[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height=16]]]] * TV 모드 1~4人 * 테이블 모드 1~4人 * 휴대 모드 1人 [[플레이스테이션 4|[[파일:PlayStation 4 로고.svg|height=16]]]] * 1~4人(온라인 시 1~2人) || ||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CERO A]] || || '''홈페이지''' || [[https://www.konami.com/pawa/2022/|[[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18]]]]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awapuro_pro, 크기=18)] || [목차] [clearfix] == 개요 == > '''何度だって、熱くなれる。''' > '''몇 번이든, 뜨거워진다.''' [[파워풀 프로야구]] 정규 시리즈의 25번째 작품. [[PS4]]로는 네번째, [[Nintendo Switch]]로는 두번째 정규 시리즈 작품.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0|전작]]이 [[유니아나]]에서 메뉴얼 한글화로 정발해줬으나 2022는 정발하지 않았다. == 오프닝 == [youtube(KpEHo9j2LNg)] * 청춘들의 여름([ruby(群像夏, ruby=ぐんぞうか)]) * 작곡: 요시다 신타로(吉田真太郎)[* 前 [[Arte Refact]]의 멤버로 소속 당시엔 SHINTA-LOW란 명의로 활동했다.] * 편곡: 요시다 신타로, 요네스 유타로(米須優太郎) * 작사: 마사키 에리카(真崎エリカ) * 노래: [[판노 미미미|판노 미미미(パン野実々美)]] 오프닝 제작은 KOO-KI에서 담당했다. [[https://koo-ki.co.jp/works/detail/pawa2022|#]] 이번 오프닝의 가장 큰 특징은 파워프로4 시절부터 관행적으로 등장했었던 프로구단/프로 선수의 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어떤 선수가 나올지 내심 기대했던 팬들 일부는 등장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김샜다는 반응도 제법 있는 편. 이와는 별개로 오프닝 자체는 잘 뽑혔다는 평가가 다수이다. 이 오프닝 송은 발매 6일 후인 4월 27일에 발매 기념으로 [[팝픈뮤직 해명 리들스]]에 수록되었다. == 발매 전 정보 == === PV === [youtube(Xq1vSLjB5vc)] === 추가점 및 변경점 === * 머리 모양이 추가 되었다 시리즈 정통인 감자 뿐만 아니라 서양배 모양도 추가 되었고 그 외에도 머리 모양이 추가 된것으로 보인다.[[https://www.konami.com/pawa/2022/s/images/ss/pickup_2.jpg|영관나인 스샷 포수 머리를 보면 알수있다.]] 머리 모양 외에도 얼굴, 유니폼 등의 바리에이션이 대폭 증가할 것임을 예고했다. [[https://www.konami.com/pawa/2022/s/images/ss/kp_make_5.jpg|전체적으로 캐릭터 메이크 시스템이 크게 개선될 예정이다.]] * 파워파크라는 이름의 어뮤즈먼트 파크 같은 모드가 추가 된다. 새로운 어트랙션이 업데이트를 통해 순차적으로 오픈 될 예정이라고 한다. 현재 스크린샷으로 공개된 내용은 회전 초밥 어트랙션. * 페넌트레이스 모드의 플레이 연도 제한(이전작 까진 30년 제한)이 없어졌으며 영구결번 추가, 연봉평가 조정[* 특정 기록(홈런, 방어율 등)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면 그만큼 연봉이 많이 설정된다.], 월간 MVP후보 세부성적등의 기능이 추가 된다. 실존 선수가 전생 선수로 나중에 재등장하는 시스템이 추가. 무제한이긴 하지만 아래의 제한 사항이 있다. * 역대 순위, 타이틀 기록, 드래프트 관련 기록은 30년 분량만 저장되며 30년을 넘어가면 삭제된다. * 선수의 경우 99세가 되거나 페넌트레이스 30년차가 되면 용퇴하며, 스탭의 경우 70살이 넘으면 용퇴한다. * 영관나인에서 각성 이벤트가 추가되었다. 낮은 확률로 뜨는데 능력치가 상당히 상승한다. 또한 메인 화면에 나오는 매니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남자 매니저가 나왔는데 아무도 안고른다 카더라 ㅠㅠ~~ 또한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열리는 가을 전국대회가 실장되었다. * 역대 기록에서 최연소기록 및 최속기록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제작진의 말에 따르면 파워프로 8부터 기획안이 있었지만 실제로 반영된 건 이 작품이라고. * 어레인지 유니폼 로고에 한자를 기입할 수 있게 되었다. * 새 유니폼을 발표한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와 [[한신 타이거스]]의 유니폼이 전작과 달라지며, 또한 홋카이도 닛폰햄은 변경된 로고와 구단기도 반영된다. 2023 시즌판에서는 수많은 팀들이 유니폼을 바꾸면서 이를 반영해 게임에서도 대거 교체된다. 다만 닛폰햄의 신구장인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는 2023년 업데이트 때 추가되지 않는다. * 해외파 선수의 경우, 명감에서 해외기록을 연도별과 통산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 다른 메이저리거들과 달리 OB로 나오지 않았던 [[스즈키 이치로|이치로]]가 코나미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모바일 파워프로에 오리지널 캐릭터로 등장했고 이어서 본가 시리즈에서도 오랜 기다림 끝에 [[https://www.konami.com/pawa/2022/s/images/ss/player_ob_1.jpg|OB 선수]]로 나오게 되었다. * 석세스 시작시 프로필 작성 후 훈련 능력치를 직접 분배 or 오마카세(정확하게 나뉘어서 분배)를 설정 할 수 있다. == 모드 == === 파워 파크 === 진입하려면 온라인 접속은 필수. 석세스 등을 통해 육성한 선수 및 LIVE 선수[* 마이라이프로 육성한 선수 및 이전작(2020/파워포켓R)을 통해 옮겨온 선수는 사용할 수 없다.]를 통해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활약의 장으로 모드는 총 3가지 모드가 있다. * 스시 서바이벌 - 기본 추가. 오리지널 선수로 모인 카드 편성을 통해 스시 접시를 돌려서 대전 상대를 결정하는 모드. 접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버프/디버프 효과를 얻어 시합에 활용할 수 있다. 나름 재미있다는 평이 있다. 2회 플레이시 이 모드의 오리지널 구장인 KAITEN 스시 돔이 자동으로 해금된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 이 구장으로 대전을 하고 싶다하면 PP샵에서 3만 포인트를 구매해야 한다.]. 유료 서비스(플레이스테이션 플러스/닌텐도 스위치 온라인)의 가입 필요 없이 온라인 모드라면 플레이 가능. --월드 대학의 맥시멈이 여기선 스시 접시를 돌린다-- * 파워풀 로얄 - 2022년 5월 19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모드. 온라인을 통해 본인 팀을 포함한 총 64개의 팀들과 리얼 매칭을 통해[* 다만 매칭 대기 시간 이내에 사람이 모이지 않으면 CPU와 매칭된다.] 최후의 1인을 가리는 모드. 플레이하려면 유료 서비스 가입이 필수. * 파워코로 콜로세움 - 2022년 8월 9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모드. [[운빨좆망겜|연필을 굴려]] 나오는 효과로 야수나 감독 둘 중 하나의 HP를 모두 깎아내면 이기는 방식의 모드이다. 유저들과의 대결엔 유료 서비스 가입이 필수이지만 CPU전에서는 필요없다. 위의 두 모드와는 플레이 양상이 완전히 달라 오리지널 선수/LIVE 선수를 넣으려고 해도 컨버트라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 마이라이프 === 게임 외적으로 변한 게 많다. 대표적으로 전작까진 전화가 말 그대로 전화기 아이콘이었지만 이번엔 스마트 폰으로 바뀌었으며 숙소 역시 전보다 더 쾌적한 수준으로 바뀌었다. 동료들과 훈련시 좀 더 평판을 얻기 쉬움 선수 프로필이 좀 더 고급스럽게 변했거나 2020 까지 나오던 캐릭터의 얼굴 사이에 있던 체력 게이지 쪽에는 모자로 바꿨다. 이외의 변경점은 클라이맥스, 일본 시리즈, 국제대회, 시범경기의 스킵이 가능해져 더욱 쾌적한 진행이 가능해졌으며, 동료와의 연계 연습이 추가되어 연습의 폭이 넓어졌다. 전작과는 달리 특수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파일을 처음부터 모두 소유 상태에서 시작하게 되었으며, 클리어 조건에 경험치 이외에도 크리스탈이란 아이템을 사용하면 풀 수 있는 선택의 여지를 추가하는 등의 개량이 이루어졌다. === 페넌트레이스 === 메인화면 BGM은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0|작년]]것을 재탕했다 === 대전 === === 챔피언십 === === LIVE 시나리오 === 실제 일본 프로야구 경기에 플레이어가 직접 선수를 조종해 개입하는 모드. 전작과 크게 다른 점이 없다. 몇몇 시나리오는 2이닝까지 책임져야 클리어[* 대표적으로 [[사사키 로키]]의 퍼펙트 게임 경기의 치바 롯데 측 미션. 2이닝 동안 사사키를 직접 조종해 단 한번의 출루를 허용하지 않아야 클리어다. 반면 오릭스 쪽 미션은 선제점만 내면 클리어.]가 되는 점 빼면 딱히 달라진 부분은 없다. 몇몇 선수들은 라이선스 등록이 안되있어서 파워프로군 얼굴에 이름도 파워프로로 나온다.[* 주로 육성선수에 있다가 1군에 등록된지 얼마 안된 선수나 새로 입단한지 얼마 안된 외국인 선수.] 플레이어가 미션 실패 후 그대로 끝내면 플레이어가 조종한 팀이 패배하는 것도 동일. 그래서 엄청나게 앞서 있어도 문답무용으로 뒤집혀버리는 어처구니 없는 상황도 발생한다. 대표적인 사례가 2022년 5월 7일 소프트뱅크 vs 치바 롯데 경기[* 소프트뱅크의 선발인 오오제키 토모히사가 9회말 16:0인 상태에서 완봉승을 거두는 미션인데, 완봉승이 목적인 만큼 실점하지 않으면 클리어. 그런데 클리어 못한 상태에서 끝내버리면 '''[[핸드볼 스코어|그대로 16:17로 뒤집어버린다.]]''']. === 영관 나인 === 난이도를 낮게 책정을 해도 어렵다는 말이 있다. 특히 이전에 잘 통했던 마물 전술을 이용한 대량 득점 작전이 마물의 실책 발생 확률이 낮아져서[* 이 너프는 파워페스에서도 적용, 마물 인형을 들고가서 시합에 임해도 이전처럼 실책이 잘 안나온다.] 이 방법도 꽤나 어려워졌다. 이치로가 코나미와의 광고로 인해[* 이것만이 이유는 아니고, 능력치부터가 거의 사기급. 시작부터 ☆400을 그냥 넘기는지라 1년차부터 청소년 국대에 뽑혀 나가는 수준이다.] 대부분 이치로가 속한 [[1990년]]도 [[아이치현]]의 학교로 플레이 하는 유저들이 늘어났으며, 온라인 순위 집계시 역시 1위로 잡혀있다. 2위는 대부분 [[오타니 쇼헤이]]나 [[다르빗슈 유]], [[사사키 로키]] 등이 있는 이와테 및 미야기. === 석세스 === 이전까진 사쿠사쿠세스 선택 버튼이 석세스 시나리오 밑에 위치해 있었으나 이번 작품에서는 석세스 시나리오와 같은 열로 위치가 조정되었다. 덤으로 클리어 인원수 표시가 메인 화면에 뜨게 되어서 전까지 있었던 [[https://blog-imgs-142.fc2.com/1/0/p/10poke/Efw93waVoAAOCsO.jpg|사쿠사쿠세스 게임 스타트 화면]]도 삭제. 무대는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8|2018년]]이후 4년만에 다시 고교야구. 2014처럼 시작부터 모든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다.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1|2011]]을 마지막으로 나오지 않았던 대회 우승 후, [[교가]] 제창 신이 이 작품에서 부활[* 3개 학교 클리어시 영관나인에서 교가로 사용가능]했다. 2018의 스토리 시나리오 학교가 적팀으로 등장[* 투구나 타격시 당시 성우들의 음성이 그대로 재현.]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0|전작]]까지만 해도 메인 스토리를 클리어 후 타 시나리오가 오픈 되었지만, 이번 작을 통해서 게임 진행시 어느 학교를 먼저 선택해도 상관없다. 파워풀 고교 하나로 시나리오 분기점이 3개로 나뉘어진다. 시작한지 4턴 후에 연습시합이 있기 때문에 2~3회 정도는 감독이 있는 연습칸에 훈련을 하는게 좋다. 안 그러면 벤치 워머 신세도 못한다. ==== 파워풀 고교 ==== > 【파워풀 고교 라이벌즈】 > ----- > 역대 라이벌들과 싸워 나가, 전국 우승 & 드래프트 1위를 목표로! > ----- > [[파워프로군|주인공]]은 파워풀 고등학교에 다니는 야구를 무척 좋아하는 고등학생. > 고시엔 그리고 프로야구 선수를 목표로 매일 연습에 몰두하고 있다. > 어느날 공교롭게도 명문 아카츠키 대학 부속 고교 에이스 이카리 마모루를 만났지만 전혀 상대가 되지 않았다... > "절대로 지고 싶지 않아!" > 라이벌 마음에 불이 붙은 주인공은 '''[[일본 고교야구 전국대회|고시엔]]'''에 대한 생각을 더욱 강하게 하는 것이었다. > ----- > 이카리 마모루와 토모자와 료, 하야카와 아오이 등, 역대 「파워풀 고교」의 에피소드를 3세대로 나누어 다수 수록한 시나리오. > 라이벌들과의 승부에 많이 이겨 강한 선수를 육성하자! 시나리오 중에서 선수들을 육성하기 가장 널널하고 쉽다는 평이 제법 많다. 전체적으로 각 캐릭터와의 타격 승부만 잘 챙겨서 이겨도 좋은 선수 만들기 쉽다. 세 개의 에피소드중에 아카츠키 황금세대편이 육성하기 가장 쉽다. PS4 발매 된 시리즈 중 1세대 캐릭터들이 대거 모집하여 과거의 향수를 구현하는 등 제작진들이 여러모로 신경을 쓴 것이 티가 난다. 합숙기간 11월과 2월에는 스페셜 훈련을 통하여 각 학교의 선수들과 파워풀 고교 주전 선수들과 혼합 팀으로 꾸려 대결한다. 홍백전이라 [[무관중 경기|관중도 없다]]. 단, 훈련 포인트는 더 얻을 수 있으니 좋다.[* 이때 시합 BGM은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8|8]],[[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에서 사용했던 음악.] 홍백전은 당연히 홍팀과 백팀으로 나눠지며 팀원은 랜덤[* 단 상대팀 선발투수는 플레이어가 선택한 에피소드에 따라 달라진다.]이다. 승패에따라 스토리는 변함이 없다. 관중은 없지만 덕아웃에 실제프로야구팀 스카우터 보이는 사람들이 몇몇 앉아있다. 캐릭터들과 조우하는 장면 몇몇은 [[재탕|과거에 사용했던 것들이 보인다.]] ===== 영원의 라이벌 편 ===== 파워프로9, 13, 2011 스토리가 한 군데 모인 시나리오~~[[존나 좋군]]~~ [[이카리 마모루]]가 주역으로 나오며, 서브 스토리로는 2011 아오바 하루토의 초진마구개 이벤트, 8/2011에 나온 [[하야카와 아오이]]의 고교 야구 여성 선수 참여 이벤트도 등장한다. 또한 이들과의 즉석으로 투타 대결 승리시[* 이러한 내용은 아래 비극의 에이스 편과 황금세대 편에서도 가능하다. 캐릭터가 누구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에는 자잘한 능력치 포인트가 오른다. 게임 설치 후, 석세스 입문시 초반 시나리오 라는 설정 때문에 강가를 강제로 선택해야 한다. ===== 비극의 에이스 편 ===== 2세대 캐릭터인 [[토모자와 료]]가 주역으로 등장. 13의 제왕 실업 고교편에서 나오는 토모자와의 투수에서 야수 전향 이벤트가 주 시나리오. 영원의 라이벌 편에서는 선발투수로 나오지는 않지만, 분기 스토리인 이편에서는 [[카미타카 류]]도 등장한다. 시나리오 선택하는 방법은 공원으로 선택시 다음날 운동하는 토모자와를 만날 수 있다. ===== 아카츠키 황금세대 편 ===== 9에서 등장하는 아카츠키 고교 선배들의 이야기가 주 시나리오. 그렇기 때문에 1세대 캐릭터인 이카리 마모루보다 1년 선배로 등장한다. 즉, 영원의 라이벌 편 아카츠키 고교 첫 방문시 내용은 같지만 마모루는 1학년 이라고 주변에서 소문이 난다. 시나리오 분기점은 공부를 선택하면 등장 다음날 아카츠키의 선수들과 대면을 한다. ==== 아오하루 학원 ==== > 【열혈 반짝이는 아오하루 학원】 > ----- > 너는 반짝임, 열혈 어디를 고를거니!? 청춘은 멈추지 않아! > ----- > 어릴 적 동료들과 다짐했던 고시엔에 대한 꿈. > 그것을 이루기 위해 아오하루 학원에 모두 입학, 야구부를 창설한 주인공들. > 하지만, 다시는 없는 「청춘」의 계절을 헛되이 할 수 없다! > 연습! 축제! 수학여행!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 그리고 사랑♥ > 야구도 학원생활도 전력으로 즐기는구나! > ----- > 경험점은 '열혈 FEVER', 요령은 '키라메키 FEVER', 둘 다 노린다면 '아오하루 FEVER'! > 각 FEVER 상태를 잘 만들어 유리하게 게임을 진행하자! 열혈 FEVER[* 이펙트가 붉은색]와 키라메키 FEVER[* 이펙트가 파란색]를 개방시 2주간의 보너스를 추가 훈련 보너스를 받을 수 있지만 동시에 개방하면 빠르게 순삭되기 때문에 어떻게 할지에는 유저들에게 약간 귀찮을지도. 이런저런 이벤트가 많아서 감독 평가를 초반에 못 얻어서 연습시합에 빠질 확률이 높음으로 주의. 파워풀 고교와는 달리 애인 후보 캐릭터들이 한꺼번에 매니저로 입부한다. 운이 좋으면 능력치와 특수능력 양쪽 다 많이 올릴 수 있어서 포텐셜은 높지만, 그만큼 운의 요소가 너무 세서 안정성면에서는 천장쪽보다도 더 떨어진다. 주역들끼리 서로 성씨로 부르지는 않고 이름으로 부르며. 아베와 파워프로군만 성씨로 부른다. 특이하게도 전원 서브 포지션을 가지고[* 1학년 부원들 제외] 있는 것이 특징. 아카츠키 나인처럼 인원이 많아서 엔트리 짜는데에 어렵지 않다. ==== 천장 고교 ==== > 【천장 교교 자네가 주장이다!】 > ----- > 매년 새로운 주장을 고르는, 세대교체형 석세스!? > ----- > 여름 고시엔도 끝나고 새 팀이 시동을 거는 9월. > 새로운 캡틴으로 지명된 주인공은 노궁 야베 옹 감독, 동료들과 함께 천장고교야구부 역사의 한 페이지를 새기기 시작하는 것이다... > 1년마다 세대를 이어받아 언제까지나 플레이할 수 있는 시나리오! > ----- > 부원이나 매니저의 잠재력을 파악해 캡틴 서클에 배치하고 그들과 함께 강화 연습을 하며 성장하자! > 후배를 다음 캡틴=주인공 후보로 키우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다! 이번 석세스 시나리오중에 유일하게 능력치와 쓰는 손이 랜덤으로 정해진다. 포지션은 처음 시작할 때 정할 수 있지만 투수를 고르면 확률적으로 야수 포지션이 서브로 붙을 수 있고 또한 외야를 선택시 우투우타가 되거나 좌투우타가 랜덤 확률로 뽑힌다. 단, 좌투가 없는 포수는 무조건 우투로 결정된다. 이번작은 유일하게 주인공과 관련된 라이벌 캐릭터 또는 에디트 캐릭터나 애인후보 캐릭터가 등장하지 않음, 그리고 성우 음성[* 대회 시합에만 실황 중계 음성만 있다.]이 없는 것이 조금 아쉽다는 평. 그리고 앨범 컴플리트 목록에도 천장고교만 '''없다'''. 데이트를 하고 싶다면 이미 짜여있는 매니저들만 가능하다. 이 [[주장|캡틴]]이라는 CP 포인트로 훈련시 얻을 수 있고 동료들과 훈련시 동료가 황금색 특수 능력치도 얻을 수 있고 파워프로군도 얻을 수 있다. 최초 클리어시 바로 끝나는게 아니고[* 야베 감독이 아무나 차기 주장을 선택하라고 한다. 차기 주장을 고르는 순간 그 주장의 얼굴이 파워프로군의 얼굴로 체인지.] 회차 플레이를 이용하여 다시 클리어를 해야 PP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영관나인의 석세스 시나리오 버전으로 영관나인과 같이 여기서도 전생 프로/전생 OB가 신입생으로 들어오거나, 상대팀의 선수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선수 키우기에는 애매하다는 평. 일반 선수라면 초기 능력치가 그리 높지 않은 편이지만 오타니 쇼헤이나 이치로 같은 전생선수가 들어온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한때 할인스킨 + 골든카드 획득 + 석세스 특수능력 등을 조합해 돈을 무한정 벌어[* 할인율을 무진장 높여서 아이템 매각가격>구매가격이 되게 만든 다음 구매→판매를 무한반복해 소지금을 불리는 방식이었다. 지금은 패치로 아무리 할인율을 높여도 아이템 매각가격=구매가격이 되도록 리미트가 걸려버려서 안 통한다.] 간단히 괴물 선수를 만들 수 있었던 꼼수(통칭 연금술)가 발견되었으나 바로 패치로 막혔다. 시작 전에는 항목에 있는 타 학교들을 골라서 연습시합이든 본 시합이든 대결을 할 수 있도록 선택이 가능해졌다. 각 학교의 고유 캐릭터들의 등장은 랜덤. 고유 캐릭터의 얼굴로 등장하는 때도 있지만 자코프로의 얼굴로 등장하기도 한다. 여기도 어느 쪽이든 음성은 없다. === 파워페스 === 2016은 육지(섬), 2018은 바다(유람선), 2020은 하늘(비행선)이라는 점에서 유저들이 예상한대로 우주가 무대가 되었다. 이번작은 대회가 2개로 나뉘어서 A조 / B조 두개로 조를 나눠서 대결을 하는 방식[* 전체 캐릭터 수가 300명이 넘고 매니저 수만 30명일 정도로 팀이 많아진만큼 원하는 상대 팀을 만날 확률이 낮아지므로 조별로 팀 구성을 나눠 도감 완성을 수월하게 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으로 변경되었고, 새로운 여자 캐릭터인 토도로키 하루카가 추가 되었다. 아츠모리와 파워페스 중계를 담당 할 예정이며 여성 최초의 중계진이다. 시합은 후공, DH 없음으로 고정된다. 이로써 시합 전 룰렛은 사라졌다. 이에 따라 룰렛을 변경해 주거나 선공/후공, DH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줬던 키바 매니저[* 키바 아키라의 여동생]의 기능은 가입 조건을 승리시 3명으로 바꿔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캡틴의 고정 가입도 없어진다. 첫 클리어인 팀만 캡틴이 무조건 영입되고 두 번째 이후 클리어인 팀은 캡틴을 제외하고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캡틴을 포함한 멤버가 9명인 팀의 경우, 캡틴을 제외한 8명에서 한 번에 최대 두 명씩 4번을 클리어해야 했지만 3번 클리어만에 해당 팀 도감을 클리어 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이번 파워페스 결승전 BGM은 지금까지 오프닝 영상 음악[* 2016 / 2018 / 2020]이 였는데 다르게 나온다. 아무래도 이번 작품의 영상이 고시엔을 무대로 하기 때문에 BGM이 맞지 않을 가능성으로 추측. === 대회 === === 홈런 어택 === === 파워 아리나 === === 기타 === == 등장 인물[* 결승전 상대는 볼드체] == === 석세스 === * 레귤러 캐릭터 * [[파워프로군]] * [[야베 아키오]] * 파워풀 고교 * 호시이 스바루 - 주인공과 동기 이자 팀내 에이스 투수[* [[파워풀 프로야구 파워풀 고교편]]과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도 주인공의 친우로 등장을 했었다.] 우사좌타. CV [[오오사카 료타]] * 테츠카 타카후미[*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편]]에서 나온 투수] - 주인공의 후배 우투우타 CV [[호리 소시로]] * 나마키 모리오 [*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1|2011]]에서 야수로 등장] - 주인공의 후배 우투좌타 포지션은 유격수[* 서브 포지션은 3루수. 파워프로를 유격수로 키울시에는 3루로 출전하고 토죠는 서브 포지션인 1루수로 출장한다.] CV [[타카하시 마코토]] * 코모토 후쿠오[*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5|5편]]/[[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2|2012]]에서 등장 ] - 팀의 포수 우투우타 CV 토키나가 요 * [[토죠 코지로]] * 야마미야 감독 * 아오하루 고교 - 석세스 두번째 시나리오 학교 * 비이시키 타카리 - 투수/외야수. 아오하루 학원 팀의 에이스. 스쿨 아이돌 포지션처럼 인기가 많다. B.T 라는 닉네임으로 불린다. CV [[우자와 쇼타로]] * 사부리 야스히코 - 2루수/포수. 심각한 '''[[요리치]]''' 이다. 그 음식을 주인공에게 먹이는게 특징 [[미우라 카츠유키]] * 이쵸 리키마루 - 1루수/외야. 야구와 스모를 좋아한다. CV [[이와사키 료타]][* [[아바타 야스시]]와 중복] * 하치키리 유우토 - 포수/2루. CV [[우에니시 텟페이]] * 에모리 요우 - 유격수/외야. 팀의 분위기 메이커 이자 말끝마다 "EMO" 라고 말한다. CV [[이리에 레오나]] * 로카쿠 렌지 - 3루수/유격. 날씨 [[기계공학]]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캐릭터 CV [[키쿠치 타케루]] * 다단다 단 - 외야수/1루. 날씨, 계절 상관없이 항상 목에 [[스카프]]를 착용한다. CV [[타케우치 슌스케]] * 아와테 소우타 - 외야수/3루. 항상 동료들에게 붙어있는 [[나무늘보]]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 CV [[이세 유우리]] * 천장 고교 - 석세스 세번째 시나리오 학교 * [[야베 아키오|야베 옹]] 감독 * 아카츠키 대학 부속 고교[* 이치노세부터는 파워풀 고교 아카츠키 황금세대 편에서만 출현, 히비노는 2세대 캐릭터라 비극의 에이스 편으로 선택해야 볼 수 있다. 고시엔 본선 1차전에서만 등장.] * [[이카리 마모루]] * [[이카리 스스무]] * [[히비노 신이치로]] * 이치노세 토우야 - 투수 - CV [[사카이 코다이]] * 니노미야 미즈호 - 포수 - CV [[바바 준페이]] * 요죠 켄지 - 2루수 CV [[모리시마 슈타]] * 월광 학원 * 이자요이 미츠루[*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6|2016]]에서 등장한 히로인 이자요이 루나의 남동생이다.] - CV [[마노 타쿠미]] 여자친구를 사귀지 않고 새해가 지나면 파워프로군에게 도전장을 던진다. - 연습 상대 학교 * 아카톤바 학교[* 연습상대(파워풀 고교 영원의 라이벌 편 & 황금세대 편, 천장고교 플레이시 3학년 여름 예선 1차전 등장).] * 마츠쿠라 무네미츠[* 코모토와 함께 5편과 2012에서 파워풀 학교/대학편 팀 메이트로 등장] * 선좌 고등학교[*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0|전작]]에서는 대학 으로 등장. 천장고교 플레이 처음 연습상대 등장] * 버스정거장 앞 학교[* 연습상대(파워풀 고교 비극의 에이스 편, 아오하루 고교, 천장고교 플레이시 등장).] * [[다나카야마 타로]] - 2학년 여름, 가을 지역 예선 & 3학년 여름 예선 상대 팀 * [[극악 고교]] * [[가이도 쿄지]][* 아오하루 고교 스토리로 플레이시 대표로 등장. 파워풀 고교 스토리 플레이시 부원들이 대표로 등장한다.] * 렌렌 고교 - 영원의 라이벌 편 지역예선 1차전 * [[하야카와 아오이]] * 도키메키 청춘 고교 - 영원의 라이벌 편 지역예선 결승전 * 아오바 하루토 - 투수 CV [[시라이시 켄토]] * [[오야마 미야비]] * 세인트 타치바나 학원 - 비극의 에이스 편 선택시 3학년 여름 지역예선 1차전 * [[타치바나 미즈키]] * [[로쿠도 히지리]] * 소요카제 고교 - 황금세대 편 3학년 여름 예선 1차전 * [[아바타 야스시]] * 남국 리조트 학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8|2018]] 석세스 두번째 시나리오 학교] - 아오하루 학교 스토리 진행시 예선 1차전 난입 * 카토리 센카 - 투수 * 오우에 타미오 - 3루수 * 오룡곽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8|2018]] 석세스 세번째 시나리오 학교] - 아오하루 학교 스토리 진행시 예선 결승전 난입 * 잇토 쇼 - 1루수 * 오노 와케 - 3루수 * 쿠죠 반노 - 투수 * 메모리얼 학원 - 천장고 2학년 가을 예선 - 고시엔 본선 상대 학교 * '''제왕 실업 고교'''[* 비극의 에이스 편 지역예선 결승전 등장, 황금세대편 최종보스] * '''[[야마구치 켄(실황 파워풀 프로야구)|야마구치 켄]]''' * [[토모자와 료]] * [[타케다 케이지(실황 파워풀 프로야구)|타케다 케이지]] * [[쿠온 히카루]] * 헤비시마 키리토 * 순예 고교 * 사이카 유우토[* 외면상 사이카를 닮은 구석이 없다. 천장고교 플레이시 등장] - 타자 * 월드 고교 * 알빈 록하트 - 투수 * 맥시멈 이케다 크리스틴 - 타자 * 대동아 학교 * [[하가네 츠요시]] - 투수 * '''안드로메다 학원'''[* 영원의 라이벌 편과 비극의 에이스 편이 1세대 / 2세대로 나뉜 편이라 두 캐릭터가 한꺼번에 출현할 확률은 없다.] * '''[[오오니시 해리슨 스지가네]]''' - 좌완투수 * '''[[카미타카 류]]''' - 우완투수 * '''사신황룡 고교'''[* 파워풀 고교 영원의 라이벌 편 최종보스 그러나 아오바에게 즉석 대결 패배 2회 이상시 안드로메다 학원이 최종보스로 등장 사신 학교는 준결승전에서 등장] * '''스자쿠 난세키''' - 투수[* 아오바 루트 승리시 최종보스로 등장] * '''서강 고교'''[* 비극의 에이스편 2차전에서 등장] * '''[[키요모토 카즈시게]]''' - 타자 * '''청룡 고교''' * '''타키모토 타로''' - 타자 * '''태양 학원'''[* 아오하루 고교 최종보스] *'''히노와 아키라'''[* 중학생 시절까지만 해도 아오하루 주역 인물들 및 주인공과 함께 있었으나 항상 경기에만 나가면 패배를 밥 먹듯이 하고 웃기만 하는 멤버들을 보고 마음을 굳혀 고등학생이 될 무렵 타학교로 가버렸다.] - 투수 CV [[이와나카 무츠키]] * '''천공 중앙 학원'''[* 레귤러 캐릭터인 니지타니 마코토나 카미나리 같은 에디터 캐릭터는 라인업에 없다. 천장고교 한정으로 등장] * 기타 * [[다이죠부 박사]] * [[카토 리카]] * [[카토 쿄코]] * [[게도군]] * [[건다]] * [[카게야마 스카우터]] * 석세스 히로인 * 모토와카 하루히[* OP에서 나온 야구부 매니저맞다. 2학년 주인공의 소꿉친구이며 [[짝사랑]]을 하고있다. 마이라이프에선 투어 컨덕터라는 직업을 갖고있다.] - CV [[토오노 히카루]] * 아키츠키 미오[* 2학년 동기. 배우를 목표로 하고 있다. 배우의 꿈을 이뤘는지 마이라이프에선 직업이 배우로 나온다.] - CV [[이마이 아사미]] * 에조라 리본[* 1학년 후배이자 주인공을 좋아하며, 항상 마주치면 얼굴을 붉히는 소녀. 마이라이프에선 평범한 직장인] - CV [[칸노 마이]] * 오이나리 타마모[* 2학년 동기 여우 모자를 항상 쓰고 다니는 것이 특징. 마이라이프에선 학교 근처 신사를 관리하고 있다.] - CV [[사시데 마리아]] === 파워페스 === * 레귤러 캐릭터 * [[파워프로군]] * [[야베 아키오]] * [[히비키노 코코로]] * [[아츠모리 무네아츠]] * 토도로키 하루카 - CV [[오오이 마리에]] * 앨런 레이븐 * 하워드 레이븐 * 등장 팀[* 결승전 상대는 볼드체] * 세인트 쟈스민 학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3|2013]]) * 렌렌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 * 탄포포 제작소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99]]) * 시로바네 카시마시 학원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4|포터블 4]]) * 버스정거장 앞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 * 일레븐 공과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1|11]]) * 하천부지 미라클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2|12]]) * 라그나로크 분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3|2013]]) * 극악 상업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5|5]]) * 아카츠키 대학 부속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5|5]]) * 제왕 실업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3|13]]) * 드릴 전기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99]]) * 미조트 스포츠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2|12]]) * 회흉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3|13]]) * 스루메 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6|6]]) * 간바리 파워풀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10]]) * 극악 양키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10]]) * 도키메키 청춘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1|2011]]) * 붓치기리 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6|6]]) * 도스코이 주조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0|2000]]) * 카구라자카 그룹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5|15]]) * 패당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월드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3|2013]]) * 샤이닝 버스터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4|14]]) * 일류 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4|2014]]) * 프로야구 레전드 (プロ野球レジェンズ; 오리지널 팀) * 대어수산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8|98]]) * 사신황룡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1|2011]]) * 신제학원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3|포터블 3]]) * 도라후도 연합 팀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8|8]]) * 파워풀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태평락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SG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세이도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아카츠키 대학 부속고교 OB팀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 * 순예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어나더 챌린저스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8|2018]]) * 아마조네스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6|2016]]) * 오오에다 카니발스([[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던&젼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브레인 머슬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백굉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격투제일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3|2013]]) * 하나사가리 고교 (히어로즈) * 시리스 수산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북설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기가바이트 3.0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6|2016]]) * 문무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3|2013]]) * 육면 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4|2014]]) * 미와쨩 withDB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6|2016]]) * 고대 대학(히어로즈) * 메이쿄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파워포 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4|포터블 4]]) * 메카닉스 산업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플리트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맨틀 변경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뱀프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세이도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고저스 블랙잭스 (메이저리그) * 올스타 카이도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3|포터블 3]],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4|포터블 4]]) * 아간재단 U-22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4|2014]]) * 타마하치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 * 어슬레틱스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전국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하나마루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이집트 대학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0|2020]]) * 드릴 모구라즈 ([[파워프로군 포켓R|포켓R]]) * 츠즈가 발칸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5|15]]) * 안드로메다 학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1|2011]]) * 서강 대학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2|2012]]) * 흑사자 중공업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6|6]]) * 레드 엔젤스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10]]) * 천공중앙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원탁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에빌 고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모바일]]) * '''앨런 레인저스''' (2022) * '''영무 UNIVERSE''' (2022)[* 결승전 이후 난입] === 기타 === * 파워파크 * 해피(ハッピー) - CV [[사이토 아야카]] * 원더(ワンダー) - CV [[히노 마리]] * 마이라이프 한정 히로인 * 다카하타 아이(高畠藍) - 점술사 * 노이치 나나미(野市七海) - 프로 골퍼 * 우에노 와카바(上野若葉) - 파워풀 스포츠 아나운서 [각주] [[분류: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분류:Nintendo Switch 게임]][[분류:PlayStation 4 게임]][[분류:2022년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