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에듀넷, top2=한국교육학술정보원 )] ||<-2>
{{{#000000,#dddddd {{{+1 '''e학습터'''}}}}}} || ||<-2>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993344345AAC01EF04.png|width=100%]]}}} || || {{{#fff ''' 사이트 종류 '''}}} ||<-2>[[교육]] || || '''개설일''' ||[[2018년]] [[3월 12일]] [* [[http://web.archive.org/web/20180422184742/https://cls.edunet.net/cyber/cm/mcom/pmco000b00.do|2018년 당시 e학습터 스냅샷(완벽히 복원되지는 않는다.) ]]] || || '''운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애초에 에듀넷이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에서 운영을 하고 있기 때문에, KERIS에서 운영한다고 보아도 무방하다.][br]지역의 각 시/도교육청연구원[* 전체적인 틀은 e학습터에서 제공하나, 특정 지역의 운영은 각 시도교육청의 연구원에서 관리한다. 이 점은, e학습터에 로그인을 한 이후 사이트 하단 운영기관정보에서 확인 가능하다.]|| || '''사용언어''' ||[[한국어]] || || '''사용문자''' ||[[한글]] || || '''회원가입''' ||영상 스트리밍 이외 가입필수 [* 간단한 영상 시청은 회원가입 없이 가능하며, e학습터 및 위두랑을 사용하여 온라인 학습을 진행하려면 필수적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 || '''현재 상태''' ||운영 중 || || '''연계 사이트''' ||[[위두랑]][br][[에듀넷]][br]디지털교과서[br]학교온 || || '''웹사이트''' ||[[https://cls.edunet.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edunet과 도메인을 공유한다. 단, e학습터는 cls가 앞에 붙는다. cls는 e학습터의 공식 영문 이름인 '''c'''yber '''l'''earning '''s'''ystem으로 추정된다. --넷이 두개-- --에듀넷넷--][* [[경기도교육청]]은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나뉘어있다.]|| [목차] [clearfix] == 개요 == >'''[ruby(꿈, ruby=·)]'''을 '''[ruby(이, ruby=·)]'''루는 학습'''[ruby(공, ruby=·)]'''간 cyber learning system e학습터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습 사이트이다.[* (구)에듀넷 사이버학습] [[온라인 개학]] 전에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온라인 개학 이후에는 이학습터 원격 수업하는 학교가 많아지면서 온라인개학 후 잘 알려진 사이트 중 하나이다.[* 다만 몇몇 시범학교는 제외] [[EBS 온라인 클래스]] 등과 다르게 회원가입만 하면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볼 수 있다.[* 단, 다른 강의 서비스와는 다르게 애니메이션 교육이 주를 이룬다.] == 서버 == === 서버 인프라 증설 후 === 2020년 4월 14일 초등학교 온라인 개학을 앞둔 시기에 서버가 다운되었다.[* 이 후 서버 증설까지는 계속 서버가 불안정하였다.] 2020년 4월 15일경까지 서버는 cls3서버 까지 있었으나 그 하루 뒤인 16일 cls13 번호까지 서버가 증설되었다. 4월 16일 서버 증설 후 각 서버마다 분배되는 소속 교육청/학교 등은 다음과 같다.[* 2020년 5월 17일 기준이며 이 서버 목록은 e클래스 관계자가 변경할 수 있으며 이 문단에 바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cls 1 서버 ||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2 서버 || [[부산광역시교육청]], [[울산광역시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3 서버 || [[대구광역시교육청]], [[강원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4 서버 || [[인천광역시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5 서버 || [[광주광역시교육청]], [[대전광역시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6 서버 ||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 cls 6 서버는 오직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접속자에게만 제공된다.][* 경기지역 초등학교 수가 많아서 그런지 cls 6 / 7 / 13 3개 서버 중 하나에 랜덤접속 되며 다른지역 e학습터 서버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https://cls6.edunet.net/cyber/cm/mcom/pmco000z00.do|경기도초등학교 e학습터 cls6 서버]]] || || cls 7 서버 || [[경기도교육청]] 소속 '''중학교''' [* 학교 수 때문인지 중학교와 초등학교 서버를 나누어 놓았다.이 때문에 경기지역 초등학생들은 cls6,cls13 2개 서버중 1개에 접속하게 됐다.] 그리고 재외한국학교, 일반인 접속 사이트 || || cls 8 서버 || [[경상남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9 서버 || [[경상북도교육청]],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10 서버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11 서버 || [[전라북도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12 서버 || 서버가 [[과부하]] 될 때 초/중학교 학생들이 접속하게 되는 서버 || || cls 13 서버 ||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이 서버는 위에 [[경기도교육청]] 소속 서버들이 다 차고도 학생들이 들어오면 그 학생들이 들어오게 되는 서버이다.] || 그런데 중요한 것은 이렇게 아무리 서버가 늘어나도 학생들이 많이 몰리면 전처럼 503, 502 코드 에러가 나지는 않지만 여전히 버퍼가 걸린다는 것이다.그리고 가끔은 최대 10분간 대기를 해야 접속된다.[* 네트워크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더욱 더 길어질 수 있다.하지만 현재는 대체로 원활한 모습을 보여준다.] e학습터 서버 인프라 증설 관련 팝업이다.[* 4월 16일 부터 게시 되었고, 5월 5일 부터 보이지 않는다.그런데 막상 인터넷 익스플로러 쓰면 더 힘들고 크롬은 글이 안 써지는 버그가 있다.--버그학습터--] [[파일:E학습터서버증설팝업창.jpg|width=50%]] === 서버 인프라 증설 전 === || cls 1 서버 || [[서울시교육청]], [[강원도교육청]], [[경기도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2 서버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충청북도교육청]], [[충청남도교육청]], [[대전광역시교육청]], [[전라북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 cls 3 서버 || [[경상북도교육청]], [[경상남도교육청]], [[대구광역시교육청]], [[울산광역시교육청]], [[부산광역시교육청]],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초/중학교 || 이는 4월 15일까지 유지된 서버 개편 전 내용이고 [[온라인 개학]]을 시작한 [[4월 16일]]부터 서버가 cls13 번호까지 증설되었다. === e학습터 서버 업데이트 === == 마일리지 == e학습터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마일리지 서비스이다. '''시범운영''' * 2019년 9월 19일 ~ 2019년 9월 30일 정식 운영은 10월 1일부터 하였으며 시범 운영을 할 때 모았던 마일리지는 정식운영을 할때 모두 초기화되었다. 참고로 이 마일리지가 올라가도 별다른 혜택은 없으며 그냥 학생들의 공부 열정을 강화시키기 위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자신의 마일리지 조회는 e학습터 홈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후 좌측 상단 메뉴버튼을 눌러 이름 옆 배지를 클릭하거나 이름 하단에 마이페이지를 누르고 마일리지정보를 누르면 볼 수 있다. === 마일리지 가점 === || '''방법''' || ''' 마일리지''' || '''일일 제한''' || || 학급가입 || 10점 || 3회 || || 자율평가수행 || 5점 || 3회 || || 학급게시판 댓글쓰기 || 1점 || 5회 || || 학급게시판 답글쓰기 || 2점 || 5회 || || 학급평가지 풀기 || 5점 || 3회 || || 통합검색 || 2점 || 3회 || || 학급강좌 학습 || 5점 || 5회 || || 학급출석 || 3점 || 3회 || || 로그인 || 3점 || 3회 || === 마일리지 감점 === || '''사유''' || ''' 감점 마일리지''' || '''일일 제한''' || || 학급게시글 삭제 || -1점 || 5회 || || 학급게시판 삭제 || -2점 || 5회 || || 학급게시판 글 삭제 || -3점 || 3회 || === 마일리지 레벨 === || ''' 등급''' || '''레벨''' || '''필요 마일리지''' || '''레벨업 당 필요 마일리지''' || || 귀욤e || Lv1~Lv10 || 0점~198점 || 22점 || || 새싹e || Lv11~Lv20 || 237점~588점 || 39점 || || 자람e || Lv21~Lv30 || 647점~1178점 || 59점 || || 쑥쑥e || Lv31~Lv40 || 1296점~2358점 || 118점 || || 탄탄e || Lv41~Lv50 || 2516점~3938점 || 158점 || || 으뜸e || Top1 || 소속된 시/도 교육청 학생 중 최대점수 || 쑥쑥e 단계부터는 레벨업 당 필요 마일리지가 100점이 넘어가니 주의하자. 요즘 온라인학습을 하는 학생은 탄탄e 50Lv이 기본이다. --1년 넘게 했는데 당연하지-- == 논란 == === 학생들의 고의적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DDoS]] 공격 논란 === [[파일:Facebook F5.png]] 문제의 '''그''' 게시물(...). 일부 [[급식충|학생]]들이 [[Facebook]] 그룹 기능을 사용해 만들어진 학생 그룹이나 단체 채팅방 등에서 "F5 키를 눌러 서버를 과부하 시킵시다" 라고 말한다. 근데 문제는 이걸 실제로 실현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 이 때문인지 더더욱 접속이 불가하다. 서비스 제공자인 e학습터도 이를 눈치챘는지 cls13 서버까지 늘어난 이후 [[새로고침]] 이 0.2초 내에 2번 이상으로 일어나는 경우 학교 지역을 선택할 수 있는 기본 사이트로 넘겨지게 된다.--그런데 개발자도구로 자바스크립트를 차단시키면 가능하다--[* 바로 [[https://cls.edunet.net|이 사이트.]]] 현재는 경고문만 뜨고 말지만, 이 0.2초 내 동일화면 재접속 때문에 10초 뒤로감기 기능을 연타하지 못하는 답답함이 있다. === 일부 학생들의 부정이수 === Facebook 등의 SNS에서 학생들이 여러 [[편법]]을 공유하는 등의 사태가 벌어졌다. 이 문단의 하위문단에서는 부정이수로 논란이 된 행동들을 서술한다. 또한,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학생들의 '''모든 책임은 당사자에게 있다.''' ==== 배속 ==== Jolly Coder 졸코 의 네이버 블로그에는 배속은 아니지만 영상을 15초로 만드는 코드가 소개되어 있다. [[https://blog.naver.com/harrypotter2009/222190083478|블로그]] [* 현재 블로그 게시물이 삭제됐다.] 또한 사전의 블로그에서 영상을 15배속까지 만드는 방법이 게시되었다. [[https://wgmp.tistory.com/6|블로그]] 하지만 이 블로그가 게시되고 몇달뒤 이 방법도 막혔다. [[https://chrome.google.com/webstore/detail/%EB%8F%99%EC%98%81%EC%83%81-%EB%B0%B0%EC%86%8D-%EC%9E%AC%EC%83%9D%EA%B8%B0/mkdocfoeieceegemmgggajkcaeiimpki?hl=ko]]여기로 가면 어떤 영상이든 배속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을 수 있다.(크롬만 가능)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변경 ==== e학습터에 있는 모든 텍스트와 이미지와 동영상을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나 동영상으로 바꿀 수 있다. 방법은 아래와 같지만 '''악용 가능성이 높아 간략하게 설명했다.''' * 텍스트 : 개발자도구로 텍스트의 코드 부분을 찾고 그 자리에 입력하면 끝이다. * 이미지 : 개발자도구를 통해 이미지의 주소를 찾아낼 수 있는데, 그 주소에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주소를 입력하면 이미지가 바뀐다. '''물론 그 변경된 텍스트와 이미지는 변경한 사람 혼자만 볼 수 있지만 동영상을 변경할 경우 말이 달라진다.''' * 동영상 : 동영상을 변경하는 방법도 이미지와 같다. 개발자도구를 통해 동영상의 주소를 찾아내고 자신이 원하는 영상의 주소[* 유튜브와 같이 플랫폼 주소는 먹히지 않는다. 단, 유튜브 영상을 유튜브 외에서 연다면 가능하다.]를 입력하면 동영상이 바뀐다. '''변경된 동영상 또한 자신 혼자만 볼 수 있다. 바뀐 동영상을 끝까지 재생한다면 학습완료가 되는데, 동영상을 1초짜리 영상으로 변경한다면 1초만 재생한뒤 학습완료가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 [[Apple]]기기에서의 미디어 컨트롤러, Touch Bar를 이용한 부정이수 ==== [[iOS]]와 [[iPadOS]], [[macOS]]에서 [[Safari]]로 e학습터에 접속 후 영상을 재생한다. 제어 센터[* 물리적 홈 버튼이 있는 iPhone의 경우 밑에서 위로, 그렇지 않은 iPhone은 노치 부분 중 오른쪽을 쓸어내렸을 때 나오는 창]를 연 후 iOS 11 이상에선 오른쪽 위에, 그 이하 iOS에서는 바로 보이는 음악 재생기가 있다. 아니면 pip 모드에서 15초 당기기를 연타하면 된다. macOS에서는 알림 센터에 들어가면 미디어 컨트롤러가 나온다. 그 재생기를 끝까지 잡아 당기면 학습이 완료된다. 또는 Touch Bar가 있는 모델은 터치바를 끝가지 늘리면 된다.[* 이 방법으로 유튜브 광고를 스킵할 수 있다.] 현재는 이 방법을 쓰면 "'''학습정보 확인을 위해 영상을 다시 실행해 주세요!'''" 라고 뜬다. 나갔다 들어오면 이어볼 수 있다. ==== cls9, cls1 서버에서의 부정이수 ==== 이 서버에서는 완료한 영상을 누르면 '학습을 완료하였습니다.다음 영상을 보시겠습니까?'가 뜨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완료하지 않은 영상도 이 문구가 뜬다.그리고 끝까지 누르면 '학습정보 확인을 위해 영상을 다시 실행해 주세요!'가 뜨고 확인을 누르면 지금까지 확인 버튼을 누른 수만큼의 수가 '팝업 ○개 차단됨'과 같이 뜨고[* 예를 들어 확인 버튼을 7번 눌렀다면 '팝업 7개 차단됨' 과 같이 뜬다.]X표시를 누르면 모든 학습이 완료된 상태로 뜬다. == 문제점 == === 영상 재생 === 오전에 가끔씩 무한로딩이 걸리고 영상이 끊기거나, 저장이 되지 않은 채로 [[튕김 현상|튕겨]] 이수율이 초기화되고, 또는 재생 시간이 긴 영상을 본다면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어 불편하다. [* 이는 타 플랫폼인 [[EBS 온라인 클래스]]도 마찬가지. 부정이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무것도 안하는 상태로 30분 이상 있으면 로그아웃 되는 듯 하다.] 그리고 가끔씩 진도율이 안찰때가 있다. [[Safari]], [[Internet Explorer]] 로 영상을 시청할 시 진도율만 체크되고 학습시간이 뜨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크로뮴 프로젝트|Chrome]] 엔진 브라우저에서 시청 시 해결된다. HTML5를 지원하는 웹 브라우저인 경우 거의 지원하나 되도록이면 [[크로뮴 프로젝트|크로뮴]] 기반의 브라우저를 사용하자.[* 크롬, 네이버 웨일, 크로뮴 엣지(레거시 엣지는 edgeHTML이다) 등.] 다만 네이버 웨일은 예외. [[iOS]]/[[iPadOS]] 사용 기기에서 네이버(앱)로 재생하면 전체화면이 되지 않는다. 유튜브 연결 영상 시청 시, 밑에 뜨는 배너 광고창이 없어지지 않는데, 영상을 재실행해도 다시 떠 매우 불편하다. === 재생 속도 ===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배속 기능이 없다.''' [[EBS 온라인 클래스]] 는 0.5x~1.5x 까지 지원을 하나, e학습터는 기본적으로도 제공하지 않고 있다. 무조건 1x 속도로 보아야 한다. 이때문에 e학습터에선 부정이수가 훨씬 더 많이 일어난다. 그리고 무려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느린 배속도 없다.[* 단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 부정이수 방법에서 배속을 낮추면 되긴 된다. 이 경우 안걸린다고 하지만... 그래도 부정이수 처리 될 가능성이 있음.] 그래서 이해력이 부족한 학생들은 상당히 불편하다. 부정이수 방지를 위해서라도 고칠 필요가 있다. === 리뉴얼 이후 발생하는 문제 === [[2021년]] [[2월 8일]] 사이트 리뉴얼로 인해 '''10초 단위의 되감기 기능과 구간반복 기능이 생겼다!''' 그러나 리뉴얼 이후 화면이 깨져 보이는 등 개선이 필요해보인다. 그리고 2월 8일 리뉴얼 후, 안 그래도 월요일이라 보통 서버 접속이 잘 되지 않았는데 Error 502가 뜨고 접속이 되지 않았다.--또한 메인화면을 바꾼바람에 로그인이 드럽게 힘들어졌다-- 2021년 2월 8일 10: 45분으로 기준으로 약 1시간 넘게 접속이 안되고 있다. 같이 운영 되는 [[위두랑]]도 접속이 되지 않다가 곧 둘 다 고쳐졌다. === 영상 시간 표기 오류 === 분/초를 같이 사용할 때에는 59sec-1min으로 넘어가는 것이 맞지만, 이 서비스에선 59sec-60sec-1min순으로 표기된다. 학습시간이 늘어나는 경우도 있다. 2분 영상일 경우, 1분60초로 표기된다. === 유튜브 링크 문제 === 예전에는 교사가 직접 유튜브 링크를 올려야지 유튜브로 연결이 되었지만 관련 동영상 및 광고(embed는 가능하지만 일부 동영상에서는 퍼가기를 금지시켜서 다수가 불가) 및 클릭만 해도 진도율이 채워지는 외부 링크 특성상 학생들의 공부를 방해시킨다고 불만이 터져서 e학습터 대규모 업데이트로 아예 e학습터 영상에 유튜브 링크를 집어넣는 기능이 생겼다. 근데 문제는 시간 안에 수업을 다 못 듣을 것 같으면 일단 클릭만 해서 진도를 채우고 수업은 나중에 들을 수 있었는데 이제는 e학습터 안에 넣게 되어 영상을 다 들어야 진도를 채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유튜브 영상을 원본으로 나중에 보고 싶어서 영상의 제목을 클릭하면 그냥 재생/일시정지만 되고 옆에 나중에 보기, 공유, 정보 버튼이 있지만 저걸 눌러도 마찬가지다. 일시정지를 할 때마다 밑에 해당 영상의 주제에 맞는 다른 영상이 추천 영상으로 뜨는데 그게 영상 밑의 자막을 가려 거슬리나 옆의 닫기 버튼을 눌러도 영상 재생/일시정지만 되어 일시적으로만 닫힐 뿐 일시정지하면 또 그 창이 나온다. 근데 가끔 제목을 누르면 원본 영상 링크로 넘어가기도 하고 옆의 버튼들을 눌러도 거기에 맞는 기능들이 작동하기도 한다. === 진도율 문제 === 가끔씩 다 들어도 진도율이 차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는 부정이수를 막기위해 '학습정보 확인을 위해 영상을 다시 실행해 주세요!'가 뜨는거지만 오류때문에 일종의 [[마녀사냥]], 또한 영상을 어느정도 재생하다가 창을 닫으면 중간 진도율이 저장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게 제대로 작동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가끔씩 선생님들이 어마어마한 양의 영상을 올려준단 것을 생각하면 매우 큰 문제이다. ---70분짜리 영상 들었는데 진도율은 0%--- --너두? 야나두-- 개편 이후에도 가끔씩 시간이 차지 않기도 하지만 이전에 비해서는 훨씬 나아졌다. === 과제 중심 수업 === e학습터는 과제 중심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제대로 된 교육이 어렵다. 한 학급에 보통 20명 내외이며, 계속 언급되었던 문제이지만 전화를 돌리기가 어렵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올린 과제를 제대로 검수하기 어렵다. 검수하며 걸리는 시간은 안그래도 수업 준비로 지친 교사들에게 부담감을 줄 것이다. 그리고 과제의 질적 수준이 학교에 따라 매우 차이가 난다.[* 보통 과제 하나의 걸리는 시간은 10분도 되지 않는다.] === 두 번 터치했을 때의 버그 === 버튼을 두 번 터치하면 진도율이 안 올라가거나, 로그인에 실패하는 경우가 잦다.이는 꼭 패치가 되어야 하는데, 새로 고침 버튼도 두 번 이상 누르면 새로 고침에 실패한다. === 나갔을때 진도율 초기화 버그 === 영상을 보다가 영상 창을 나가거나 아예 크롬 자체를 나가면 진도율이 초기화되는 버그가 있다. === 화면 확대 오류 === 영상에 따라 화면을 확대했을 때 잘리거나 이상하게 확대되어 보여지는 경우가 있다. --작게보라는거야 뭐야-- == 사건사고 == === 데이터 삭제 === 온라인 개학으로 서버 증설 작업을 하던 중 4월 3일 오전 2시 부터 같은 날 오후 9시 까지의 학급방 개설, 수업 등록 및 수강 등등의 정보가 삭제되었다. e학습터 측에서는 사과문을 올렸다. [[파일:IY0Zhx6A-gSkla34E3RgCnA1vJiQ.jpg|width=100%]] ==# 폐쇄된 기능 #== * 학급 순위표 학급의 열심히 한 사람들의 경쟁 순위표였지만 학생간 과열된 경쟁 우려로 무기한 삭제되었다. * 학생 게시판 [[뻘글]]과 [[키배]]가 자주 일어나 폐쇄된 듯하다. [* 하지만 2021년에는 게시판이 다시 생겼다. (기본적으로 QA , 공지사항 등 3개만 추가되지만 교사가 게시판을 생성하여 그 게시글을 학생도 올리고, 그 게시글에 댓글도 달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기능 즉, 댓글 기능도 공부에 방해가 된다며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 관련 문서 == *[[온라인 개학]] *[[에듀넷]] *[[502 Bad Gateway]] [[분류:교육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