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Frank Ocean)]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752B, #F3752B, #F3752B, #F3752B)" {{{#fff '''channel ORANGE의 주요 수상''' }}}}}} || ||<-100><#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1 [[그래미 어워드|[[파일:Grammy.svg|width=20]] {{{#000,#fff 그래미 베스트 어반 컨템포러리 앨범}}}]]}}}''' || || 2012 || || '''2013''' || || 2014 || || 신설 || {{{+1 →}}} || ''' ''channel ORANGE''[br]{{{-2 [[프랭크 오션|{{{#8086a0 Frank Ocean}}}]]}}}''' || {{{+1 →}}} || ''[[Unapologetic]]'' {{{-2 [[리아나|{{{#8086a0 Rihanna}}}]]}}} ||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올해의 앨범)]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연도=2010년대,순위=10)]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20,순위=14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 순위=37)]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147)] ---- [include(틀:NME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7)]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올타임 명반,순위=66)] ---- [include(틀:피치포크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4)] ---- [include(틀:브루클린비건 선정 2010년대 141대 명반, 순위=16)]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6)]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3)] ----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51)]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7)] ---- [include(틀:Pop & Shot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66)] ---- [include(틀:Popkultu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66)] ---- [include(틀:WHIP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Analog Plane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30)] ---- [include(틀:머큐리 뉴스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0)] ---- [include(틀:Good Morning America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6)] ---- [include(틀:tracklis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9)] ---- [include(틀:스테레오검 선정, 항목=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13)] ---- [Include(틀:Tiny Mix Tapes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71)] ---- [include(틀:AllMusic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6,순위=341,연도2=2017,순위2=459)]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Albumism 선정 50대 LGBTQ 명반)] ---- [include(틀:BuzzFeed 선정 2010년대를 정의한 18대 명반)]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2000년~2019년))]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channel ORANGE)] }}} || |||| '''{{{+1 ''channel ORANGE''}}}''' || ||<-2>{{{#!wiki style="margin:-6px -10px -6px" [[파일:채널오랜지.jpg|width=100%]]}}} || || '''발매일''' || [[2012년]] [[7월 10일]] || || '''녹음''' || [[2011년]] ~ [[2012년]] || || '''장르''' || [[얼터너티브 R&B]][br]프로그레시브 소울 • [[네오 소울]] || || '''재생 시간''' || 62:18 || || '''레이블''' || [[Def Jam]] || || '''프로듀서''' || [[프랭크 오션]], 조나단 익파즈, 말레이 || [목차][clearfix] == 개요 == [[프랭크 오션]]의 정규 1집. [[2012년]] [[7월 10일]]에 발매되어 평단으로부터 크나큰 찬사를 받았다. 앨범명은 그가 첫사랑에 빠지기도 했던 여름날들의 경험들이 오렌지색으로 느껴졌던 [[공감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지어졌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channel-orange,artist=frank-ocean,critic=92,user=8.9)]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16859-channel-orange/, 점수=9.5)] [include(틀:올뮤직, 링크=https://www.allmusic.com/album/channel-orange-mw0002394636, 점수=★★★★★)] [include(틀:RYM, 링크=https://rateyourmusic.com/release/album/frank-ocean/channel-orange/, 점수=3.83)] ||<-2>
<#F3752B> '''[[channel ORANGE|{{{#fff channel ORANGE}}}]]의 전문가 평점''' || ||<#F3752B> '''{{{#fff 매체}}}''' ||<#F3752B> '''{{{#fff 평점}}}''' || || The Daily Telegraph || '''★★★★★''' || || [[The Guardian|]] || '''★★★★★''' || ||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 || '''★★★★☆''' || || MSN Music (Expert Witness) || '''{{{+2 A-}}}''' || || [[NME]] || '''{{{+2 7}}}/10''' || || [[롤링 스톤|Rolling Stone]] || '''★★★★☆''' || || [[스핀(잡지)|Spin]] || '''{{{+2 9}}}/10''' || || USA Today || '''{{{+2 3.5}}}/4''' || 평점이 짜기로 유명한 [[피치포크 미디어]]에선 2012년 한해 최고점인 9.5점을 주었다.[* [[켄드릭 라마]]의 ''' ''[[good kid, m.A.A.d city]]'' '''와 동점이다.] 국내 흑인음악 웹진인 [[리드머]]에서도 리콜 리뷰로 동년도에 발매된 [[good kid, m.A.A.d city]]와 동일한 '''5점 만점'''을 주었다. == 트랙리스트 == [include(틀:channel ORANGE)] ||||||<#e2721c>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Start[*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X]]의 사운드를 샘플링했다.] || 0:45 || || 2 || [[Thinkin Bout You]] || 3:20 || || 3 || Fertilizer || 0:39 || || 4 || Sierra Leone || 2:28 || || 5 || Sweet Life || 4:22 || || 6 || Not Just Money || 0:59 || || 7 || [[Super Rich Kids]][* [[소피아 코폴라]] 감독의 2013년작 영화 '블링 링'의 엔딩 삽입곡으로 쓰였다.][br]{{{-2 (feat. [[Earl Sweatshirt]])}}} || 5:04 || || 8 || Pilot Jones || 3:04 || || 9 || Crack Rock || 3:44 || || 10 || [[Pyramids]][* 10분에 육박하는 러닝타임의 대곡. 파트 1에서 2로 넘어가는 몽환적인 기타와 고대의 [[클레오파트라]] 여왕을 현대의 피라미드 클럽에서 일하는 스트리퍼와 대구시킨 가사가 압권이다.] || 9:52 || || 11 || Lost || 3:54 || || 12 || White[br]{{{-2 (feat. [[John Mayer]])}}} || 1:16 || || 13 || Monks || 3:20 || || 14 || Bad Religion[* 본인의 동성애적 성향에 관련된 내적 갈등에 대한 곡이다.] || 2:55 || || 15 || Pink Matter[br]{{{-2 (feat. [[André 3000]])}}} || 4:28 || || 16 || Forrest Gump || 3:14 || || 17 || End || 2:14 || ||||||<#e2721c> '''{{{#fff CD 에디션}}}''' || || 17 || End / Golden Girl[br]{{{-2 (feat.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Tyler, the Creator]])}}} || 8:43 || ===# 크레딧 #=== ||||||<-6><#e2721c> '''{{{#fff 트랙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Start || {{{-3 Raymond Buck}}} || {{{-3 [[Frank Ocean|Ocean]], Malay}}} ||<|2> || 0:45 || || 2 || Thinkin Bout You ||<|4> || {{{-3 [[Frank Ocean|Ocean]], Taylor}}} || 3:20 || || 3 || Fertilizer || {{{-3 [[Frank Ocean|Ocean]], Malay}}} || {{{-3 James Fauntleroy - Fertilizer}}} || 0:39 || || 4 || Sierra Leone || {{{-3 [[Frank Ocean|Ocean]], Malay, Om'Mas Keith}}} ||<|3> || 2:28 || || 5 || Sweet Life || {{{-3 [[Frank Ocean|Ocean]], [[퍼렐 윌리엄스|Williams]]}}} || 4:22 || || 6 || Not Just Money || {{{-3 Rosie Watson}}} || {{{-3 Jonathan Ikpeazu}}} || 0:59 || || 7 || Super Rich Kids || {{{-3 [[Earl Sweatshirt]]}}} ||<|5> {{{-3 [[Frank Ocean|Ocean]], Malay, Om'Mas Keith}}} || {{{-3 [[Mary J. Blige]] - Real Love}}} || 5:04 || || 8 || Pilot Jones || {{{-3 Om'Mas Keith, Juliet Buck}}} ||<|3> || 3:04 || || 9 || Crack Rock || {{{-3 Om'Mas Keith}}} || 3:44 || || 10 || Pyramids || || 9:52 || || 11 || Lost || {{{-3 Stacy Barthe,[br] Danielle Miranda-Simms}}} || {{{-3 dialogue from the 1998 film[br] [[라스베가스의 공포와 혐오|Fear and Loathing[br] in Las Vegas]]}}} || 3:54 || || 12 || White || {{{-3 [[John Mayer]]}}} || {{{-3 [[Frank Ocean|Ocean]],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Tyler, the Creator]]}}} ||<|3> || 1:16 || || 13 || Monks || {{{-3 Lalah Hathaway}}} ||<|4> {{{-3 [[Frank Ocean|Ocean]], Malay, Om'Mas Keith}}} || 3:20 || || 14 || Bad Religion || || 2:55 || || 15 || Pink Matter || {{{-3 [[André 3000]]}}} || {{{-3 an audio clip from the[br] 1985 film The Last Dragon}}} || 4:28 || || 16 || Forrest Gump || {{{-3 Crimson Tide Cheerleaders}}} || || 3:14 || || 17 || End || || {{{-3 [[Frank Ocean|Ocean]], Malay}}} || {{{-3 [[Frank Ocean|Ocean]] - Voodoo,[br] dialogue from the[br] 2006 film ATL}}} || 2:14 || == 기타 == *피치포크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 10위에 선정되었다. *제 55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크리스 브라운]]의 Fortune, [[미겔(가수)|미겔]]의 Kaleidoscope Dream을 제치고 최우수 어반 컨템포러리 앨범 상을 받았다. [[분류:프랭크 오션]][[분류:2012년 음반]][[분류:빌보드 2위 앨범]][[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얼터너티브 R&B]][[분류:프로그레시브 소울]][[분류:네오 소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