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음악가]][[분류:1991년 출생]][[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 ||<-2> '''{{{+1 bo en}}}''' || ||<-2>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avatars-000273738125-vfxjkx-t500x500.jpg|width=100%]]}}} || || '''본명''' ||케일럼 보웬[br]Calum Bowen || ||<|2> '''출생''' ||[[1991년]] [[2월 26일]] ([age(1991-02-26)]세) || ||[[영국]] [[런던]]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장르''' ||[[일렉트로닉 뮤직]] || || '''링크''' ||[[https://bo-en.inf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https://www.youtube.com/channel/UCf7eD2RJguOWovag4yc5n5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https://www.instagram.com/boenyea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oenyeah, 크기=23)] [[https://www.facebook.com/boenyeah/|[[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bo en은 [[런던]] 출신의 음악가이다. 2013년에 [[일본]]의 인터넷 레이블 Maltine Records에서 pale machine을 발매한 후로부터 인터넷에서 유명세를 타고 있다. 게임 [[OMORI]]의 트레일러에 곡이 수록된 것도 이유 중 하나. by the phone은 2015년에 [[애니메이션 밈]]으로 유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nJ3lRWQ6Ak|예]] 2014년에는 [[피치포크]]에 소개되기도 하였다.[[https://pitchfork.com/features/rising/9534-bo-en/|#]] bo en으로는 2013년에 앨범 하나를 만들고 싱글을 몇번 출시하기만 했지만, 본명으로는 2014년부터 Lovely Planet을 계기로 꾸준히 게임 음악을 작곡하고 있다. [[https://twitter.com/boenyeah/status/1088452043470135296|트위터에서]] 앨범 작업을 할 의도는 있지만 게임 음악 일과 정신건강 문제로 힘들다고 말하기도 했다. == 성향 == 일본에서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당장 [[pale machine]]을 봐도 일본어가 많이 나온다. 그가 피치포크와의 인터뷰에서 밝히길, 그가 다양한 블로그들에서 일본 일렉트로닉 음악을 들은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시부야계]] 음악의 영향이 많이 들린다. 주로 영향을 받은 사람은 Avec Avec이라고 한다.[* Maltine Records와 계약한 것도 Avec Avec과 일한 레이블이라서 한 거라고 말했다. pale machine의 수록곡 중에 Avec Avec과의 합작곡인 be okay가 있다.] [[https://www.japantimes.co.jp/culture/2015/04/09/music/britains-bo-en-finds-musical-family-tokyos-electronic-scene/|재팬타임스 기사]]에는 어릴 때 [[괴혼 시리즈]]의 음악도 들었다고 한다. 런던에 살지만 라이브는 [[도쿄]]로 가서 하는 경우가 많다. == 여담 == * 음악 성향과는 별개로 와패니즈는 아니라고 한다. * 신기하게도 그가 발매한 음반은 다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 * [[키쿠오]]가 My Time을 커버한 후 키쿠오와 만난 적이 있다.[[https://twitter.com/boenyeah/status/1601906844104105984|#]] * 신곡을 [[심즈 4]]로 뮤직비디오를 만들어 올리기도 했다. [[https://youtu.be/0vtdJLpDzG0|#]] == 앨범 == === bo en 명의 === * '''[[pale machine]]''' (2013) [[https://boen.bandcamp.com/album/pale-machine-maru-123|#]] * pale machine expansion pack[* 자신의 여자친구가 패키징을 손수 만들었다고 한다.] (2013) * ぼくらのいろとりどり[* あきお와의 합작 EP.] (2016) [[https://www.youtube.com/watch?v=T4DlOipfwFQ|#]] === Calum Bowen 명의 === * Marble Time Original Soundtrack (2013) * Lovely Planet Original Soundtrack (2015) [[https://calumbowen.bandcamp.com/album/lovely-planet-original-soundtrack|#]] * [[Pikuniku]] Original Soundtrack (2019) [[https://calumbowen.bandcamp.com/album/pikuniku-original-soundtrack|#]] * [[OMORI]] OST[* Pedro Silva와 Jami Lynne과의 합작.] (2020) [[https://omori.bandcamp.com/releases|#]] == 싱글 == * sometimes (2016) [youtube(53vw9miqxAk)] {{{#!folding [가사 번역] ||<(>on a sunny day, i wake up 화창한 아침에 나는 일어나 and the light drains in 햇빛이 들어와 and automatically, i reach out 기계처럼 나는 손을 뻗어 and i feel the warm weight on my fingers 손가락에 따뜻한 무언가가 느껴져 yellow with the strain, I guess, I let up 긴장해서 그런가봐, 진정해 kick the rubble on the eightfold 여덟번 돌맹이를 발찼어 i see myself am i dreaming again cos it feels like 자신이 꿈 꾸는 것이 보여, 왜냐하면 all my life i've been so sure i'm alright 평생 나는 내 인생이 괜찮다고 생각했어 but sometimes i'm lonely 하지만 가끔씩 외로울 때도 있어 and the only things i care about 내가 유일하게 소중해하는 것들이 fall apart like macaroni 마카로니처럼 산산히 조각나 only for today 하지만 오늘 뿐만이야 i let it fall away and come down 떨어졌다가 내려오기를 기다려 let it dress me up 내 옷을 입혀 and as it i knew it would, there's no doubt 그리고 그럴 줄을 알았어, 의심하지 않았어 just a troubadour tied to my mooring 계류장에 묶여 달린 음유시인 staring at my chains again, they're cut off 내 사슬을 바라봐, 잘라져있어 but i won't get out 하지만 탈출하지 않겠어 i see myself as a marionette, yeah it feels like 나는 꼭두각시니까, 그래 마치 all my life i've been so sure i'm alright 평생 나는 내 인생이 괜찮다고 생각했어 banging my drum, blow the fife, circle the pain all night 드럼을 두드리며, 피리를 불어, 온밤 고통을 빙빙 돌아 but sometimes i'm lonely 하지만 가끔씩 외로울 때도 있어 and the stupid things i think about 나의 바보같은 생각들이 call my name 내 이름을 불러 seems like i'm only waiting for today 나는 오늘을 기다릴 뿐인가봐 you can live your life this way, it's true 이렇게 인생을 살아도 괜찮아, 정말이야 while the old folk pray for tomorrow 어른들은 ‘내일’을 기다리지만 i'm waiting for today 나는 ‘오늘’을 기다리고 있어 all my life i've been so sure i'm alright 평생 나는 내 인생이 괜찮다고 생각했어 ||}}} * love in a song (2018) [youtube(k1vs_q_DO6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