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Ziggy Stardust)]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e6c349 '''Ziggy Stardust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독자 선정 데이비드 보위 10대 명곡)] ---- [include(틀:BBC 선정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282, 연도=2010)]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480)]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240)] ---- [include(틀: 로큰롤 명예의 전당 선정 록을 형성한 500곡)] ---- }}} || ||<-2><#38344b> '''{{{+1 Ziggy Stardust}}}''' || ||<-2>{{{#!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7KEn0uOEILs, width=100%, height=200)]}}}|| || '''앨범 발매일''' ||[[1972년]] [[6월 16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8344b; font-size: .9em"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e6c349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 || '''스튜디오''' ||[[파일:그레이터 런던 시기.svg|width=28]] [[런던]] 트라이던트 스튜디오 || || '''장르''' ||[[글램 록]] || || '''작사/작곡''' ||[[데이비드 보위]] || || '''프로듀서''' ||켄 스콧, [[데이비드 보위]] || || '''러닝 타임''' ||3:13 || || '''레이블''' ||RCA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qrOvBuWJ-c)]}}} || ||<#38344b> '''{{{#e6c349 1972년 라이브}}}''' ||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데이비드 보위]]의 5집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의 9번 트랙이다. == 상세 == 4번째 트랙 [[Starman]]과 함께 Ziggy Stardust 앨범에서 '''가장 유명한 곡'''이자 글램 록 시절의 보위를 대표하는 곡 중 하나이다. [[NME 선정 500대 명곡]] 리스트에서 480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리스트 2010년 판에서 282위,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명곡 리스트에서 240위에 올랐다. 인트로에 나오는 기타리프가 유명한데, 2014년 [[BBC]]에서 선정한 가장 위대한 기타 리프 리스트에서 11위에 올랐을 정도인데, 이는 [[화이트 스트라입스]]의 [[Seven Nation Army]], [[너바나(밴드)|너바나]]의 [[Smells Like Teen Spirit]], [[롤링 스톤스]]의 [[(I Can't Get No) Satisfaction]] 등의 쟁쟁한 리프들 보다도 위이다. [[데이비드 보위|보위]]와 켄 스콧이 트라이던트 스튜디오에서 그의 백킹 밴드인 화성에서 온 거미들(Spiders from Mars)과 함께 녹음했다. 싱글로 발매되진 않았지만 1972년에 녹음 되어 1994년 발매된 보위의 라이브 앨범 Santa Monica '72를 홍보하기 위해 프랑스와 미국에서 싱글로 발매되었다. 곡의 가사는 외계인 록스타인 지기 스타더스트의 성공과 몰락을 묘사하였는데, 왼손으로 기타를 연주한단 점과 이른 나이에 죽었다는 점, "지기"라는 유사한 이름으로 인해 [[지미 헨드릭스]]를 모티브로 한 곡이 아니냐는 말이 있었으나 보위는 모티브를 딴 뮤지션은 자신을 예수로 생각했던 유명 로큰롤 가수 빈스 테일러였다고 밝혔다. [[데프 레파드]], [[바우하우스(밴드)|바우하우스]] 등의 뮤지션들이 리메이크 한 적 있으며 바우하우스의 버전은 영국 차트 15위까지 올라가기도 하였다. == 가사 == || ---- {{{+2 '''Ziggy Stardust'''}}} ---- Oh 오 Oh, yeah 오, 예 Ziggy played guitar 지기는 기타를 연주했어 Jamming good with Weird and Gilly 위어드랑 길리와 멋진 즉흥연주를 했지 And the Spiders from Mars 그리고 화성에서 온 거미들과 He played it left hand 그는 왼손으로 연주했어 But made it too far 하지만 솜씨가 너무 뛰어나서 Became the special man 유명인이 되었고 Then we were Ziggy's band 그러자 우린 지기의 밴드가 되었지 Ziggy really sang 지기는 노래를 꽤 했어 Screwed-up eyes and screwed-down hairdo 찡그린 눈과 늘어뜨린 머리카락이었지 Like some cat from Japan 무슨 일본에서 온 고양이같이 He could lick 'em by smiling 그는 미소로 그들을 핥을 수 있었고 He could leave 'em to hang 그들이 매달리게 할 수 있었어 They came on so loaded, man 그는 가진 것이 너무나 많았어, 참 Well-hung and snow-white tan 잘 어울리는, 눈처럼 하얀 피부색으로 So where were the spiders 그래서 거미들은 어디에 있던 걸까 While the fly tried to break our balls? 파리가 우리의 즐거움을 깨뜨리려 하는 동안? With just the beer light to guide us 우릴 이끌어 줄 건 그저 맥주의 불빛뿐 So we bitched about his fans 그래서 우린 그의 팬들과 징징댔어 And should we crush his sweet hands? 우리가 그의 멋진 손을 부숴버려야 할까? Oh 오 Mm-hmm 음-흠 Ziggy played for time 지기는 한동안 연주를 했어 Jiving us that we were voodoo 우리가 부두교에 있을 때 어르고 달랬지 The kids were just crass 아이들은 생각이 없었고 He was the nazz 그는 나치였어 With God-given ass 신이 선사한 엉덩이와 함께 He took it all too far 그는 너무 멀리까지 가버렸지만 But, boy, could he play guitar 하지만, 이런, 기타 치는 솜씨는 죽여줬다니까 Making love with his ego 자기 자아와 사랑을 나누다 Ziggy sucked up into his mind, ah 지기는 자기 정신 속으로 빨려들어갔지, 아 Like a leper messiah 나병에 걸린 메시아처럼 When the kids had killed the man 아이들이 그를 죽여버리자 I had to break up the band 나는 밴드를 해체해야 했어 Oh, yeah 오, 예 Ooh 우 Ziggy played guitar 지기는 기타를 연주했지 ---- [[데이비드 보위|[[파일:bowie_logo.png|width=100]]]] || [[분류:데이비드 보위 노래]][[분류:1972년 노래]][[분류:글램 록]][[분류: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