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C The Max의 앨범)] [목차] == 개요 == ||<-6>{{{#!wiki style="margin:-5px -5px" [[Your Lights|[[파일:Your Lights 앨범 커버.jpg|width=60%&align=center]]]] }}} || ||<-6> '''{{{#ffffff 바이크 원정대 OST Part.1}}}''' || ||<-3> {{{#ffffff 총 7분 28초}}} ||<-3> {{{#ffffff 2021년 1월 7일 발매}}} || || {{{#ffffff 트랙}}} || {{{#ffffff 곡명}}} || {{{#ffffff 러닝타임}}} || {{{#ffffff 작사}}} || {{{#ffffff 작곡}}} || {{{#ffffff 편곡}}} || || 1 || '''Your Lights'''^^{{{#red TITLE}}}^^ ||<|2> 3:44 || [[린(가수)|린(LYn)]] ||<-2><|2> 타이비언(Taibian), 김정우 (TOXIC) || || 2 || '''Your Lights''' (inst.) || - || == 뮤직비디오 및 음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1G6qOM-WJI,width=100%,align=cent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4m5af6FFHtg,width=100%,align=center)]}}} || || '''▲ 뮤직비디오''' || '''▲ 음원''' || == 가사 == ||
<:> {{{#fff '''{{{+3 Your Lights}}}'''}}}|| || 나는 흙으로부터 왔고 다시금 그리 가겠지 한낱 그런 삶일 뿐인데 그게 다인데 새벽은 짙고 나는 깊어 잠겨버렸네 사랑의 모양과 사람의 진심을 무'''{{{#dodgerblue 엇}}}'''도 알지 못한 채 세상의 '''{{{#limegreen 모든 일}}}'''에 해'''{{{#limegreen 답을}}} {{{#dodgerblue 찾는}}}''' 것은 무거운 '''{{{#limegreen 어}}}{{{#gold 깨}}} {{{#limegreen 위}}}'''로 짐을 '''{{{#dodgerblue 얹}}}'''게 되는 것 '''{{{#dodgerblue 마음}}}''' 놓'''{{{#limegreen 을}}}''' 자리를 '''{{{#dodgerblue 쉽게}}}''' 찾'''{{{#limegreen 지}}}''' 못하고 고단한 '''{{{#limegreen 삶 속에}}}'''서 모'''{{{#limegreen 두 버}}}{{{#dodgerblue 려지}}}'''는 내 꿈들 이 새벽이 끝나길 바라 너와 나 둘이서 가자 빛으로 결국 떠나길 잘 했다고 웃는 두 눈은 어둠이 걷힌 새 아침을 보게 될 거야 사랑의 모양과 사람의 마음도 조'''{{{#dodgerblue 금}}}'''은 알 수 있다고 그렇게 '''{{{#limegreen 믿는 일}}}'''이 서'''{{{#limegreen 로를}}} {{{#dodgerblue 지키}}}'''는 것 선명한 '''{{{#limegreen 모}}}{{{#gold 습}}}{{{#limegreen 으}}}'''로 너의 '''{{{#dodgerblue 앞}}}'''에 서는 것 '''{{{#dodgerblue 어두운}}}''' 질'''{{{#limegreen 문}}}''' 속에도 '''{{{#dodgerblue 환한}}}''' 답'''{{{#limegreen 을}}}''' 찾는 것 우리를 '''{{{#limegreen 위}}}{{{#gold 한}}} {{{#limegreen 길}}}'''이 '''{{{#limegreen 거기 있}}}{{{#dodgerblue 다고}}}''' 믿어 나'''{{{#limegreen 는}}}''' 이 길을 {{{#limegreen 달려가}}}자 새'''{{{#limegreen 벽을}}} {{{#dodgerblue 걷어}}}'''내고 사{{{#limegreen 랑}}}{{{#gold 을}}} {{{#limegreen 하}}}자 미'''{{{#dodgerblue 움}}}{{{#limegreen 을 저}}}{{{#red 버}}}{{{#darkorange 리}}}{{{#gold 고}}}{{{#limegreen ㅡ}}}''' 여'''{{{#limegreen 기}}}''' 이대로 '''{{{#dodgerblue 그저}}}''' 곁'''{{{#limegreen 에}}}''' 있을게 우리가 '''{{{#limegreen 갈}}} {{{#gold 수}}} {{{#limegreen 없}}}'''는 '''{{{#limegreen 길은 없}}}{{{#dodgerblue 다고}}}''' 말해 줄'''{{{#limegreen 게}}}''' || || '''{{{#dodgerblue 2옥타브 라(A4)}}}''' '''{{{#limegreen 2옥타브 시(B4)}}}''' '''{{{#gold 3옥타브 도#(C#5)}}}''' '''{{{#darkorange 3옥타브 레#(D#5)}}}''' '''{{{#red 3옥타브 미(E5)}}}''' 볼드체가 아닌 색깔 텍스트는 가성 파트이다. || == 곡 분석 == * 조성 : 마장조(E)[* 올림다단조(C♯m)로 보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TJ노래방에서는 조성이 C♯m으로 표시된다. 코드 진행만으로 보아서는 장조와 단조의 구분이 애매한 곡이다.] * 최고음 : '''3옥타브 미(E5)[* 1월과 더불어 이수가 부른 곡 중 순수 진성 최고음이 가장 높다.]''' 진성 최고음이 같은 [[1월(M.C The Max)|1월]]의 난이도를 상회하는 곡이다. 일단 1절부터 중음에서 '''2옥타브 시(B4)'''로 도약해야 하며, 후렴구 전체가 2옥타브 라(A4)~시(B4)로 도배되어 있는 데다가 어려운 발음이 많고, 중간에 '''3옥타브 도#(C#5)'''이 박혀 있어서 난이도가 크게 올라간다. 게다가 2절부터는 더욱 어려워지는데 1절 후렴구에서 1개밖에 없던 3옥타브 도#(C#5)이 '''2개'''로 늘어나며, '나는~' 부분에서 2옥타브 시(B4)를 '''어려운 발음으로 길게 끌어야''' 한다. 이 부분은 2절과 3절 사이에 간주가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체력 소모가 매우 심하며, 3절에서는 멜로디 라인이 바뀌는 탓에 높은 음역대가 더 올라가서 최고음 '''3옥타브 미(E5)'''를 찍는다. 그리고 마지막 소절에서 2옥타브 시를 다시 길게 끌면서 마지막까지 어려운 파트가 지속된다. 결론적으로 이 곡은 3옥타브가 7개[* 가성 포함 시 8개.]밖에 없지만 저음과 고음을 빠르게 넘나들고, 중고음을 길게 유지해야 하며, 웬만한 여자 곡의 최고음인 '''3옥타브 미(E5)'''가 있고, 계속 올라가는 전개가 지속되어서 체력적으로 장시간 부담을 준다. 사실상 [[사랑해 봤나요?]]와 [[1월(M.C The Max)|1월]], [[어김없이]]의 난점이 합쳐졌다고 봐도 무방한 곡이며, 1티어[* 상술한 [[사랑해 봤나요?]], [[어김없이]], 그리고 [[Circular OP.1 (Crevasse)]], [[Moment(M.C The Max)|Moment]], [[Insanity]], [[너의 목소리가 들려(M.C The Max)|너의 목소리가 들려]], [[흩어지지 않게(M.C The Max)|흩어지지 않게]], 이수 솔로곡인 [[My Way(이수)|My Way]] 정도가 1티어에 속한다. 라이브에 있어서 완벽함을 추구하는 [[이수(가수)|이수]]이기에 라이브는 [[My Way(이수)|My Way]]와 같이 봉인될 것으로 보인다.]에 충분히 들어간다고 평가되고, 초고음역대에서 파워와 섬세함을 겸비해서 느낌 살리기도 상당히 어렵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러닝타임이 다소 짧고, 마지막 파트가 끝난 이후 30초 동안은 간주만 나온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3옥타브 중반의 음역을 안정적으로 소화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서는 1티어에 해당하는 다른 곡들보다 조금 수월할 수도 있다. --그런 사람이 얼마나 될 지는 넘어가자.-- 결론적으로는 [[너의 목소리가 들려(M.C The Max)|너의 목소리가 들려]]와 함께 1티어 하위권에 해당하는 곡이며 너목들보다도 근소하게 쉽다고 평가받으며 1티어 마지노선인 [[너의 흔적]], [[안녕을]]보다는 근소하게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집에 돌아가는 길 외롭다]], [[같은 시간 속의 너]], [[늪(노래)|늪]][* [[김범수]] 버전]이 대략 이 라인으로 평가받는다. == 여담 == * 음원이 2021년 1월 7일 6시에 발매될 예정이었지만 발매 약 40분 전에 페이스북 페이지가 뮤비와 함께 먼저 공개했다. * 가사의 내용이 [[M.C The Max]] 정규 5집 [[RETURNS & Fall...in Love|Returns]]의 수록곡 Hope, 20주년 기념 앨범 [[CEREMONIA]]의 [[처음처럼(M.C The Max)|처음처럼]]와 같이 희망적이고 시적인 분위기를 지니고 있다. * 작사자가 [[이수(가수)|이수]]의 아내인 [[린(가수)|린]]이다. 고음역에서 발음하기 어려운 어휘들을 활용해 곡의 난이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부부싸움을 한 것 아니냐는 우스갯소리도 있다.[* 참고로 이수는 본인 작사에도 고음부에 어려운 발음을 넣기로 유명하다.] * 노래방에서 선곡 번호는 TJ에서 76249, 금영에서는 22481이다. * [[로또싱어]] 15회에서 이 곡의 전주가 [[https://youtu.be/mNhXY7ZQr2M?t=432|BGM으로 삽입되었다.]] * [[이제 만나러 갑니다(프로그램)|이제 만나러 갑니다]] 483회에서 이 곡의 inst가 [[https://youtu.be/6ceqhSm_qkE?t=398|삽입되었다.]] * 여타 M.C The Max 곡들과는 달리 이수가 목소리에서 힘을 많이 빼고 더 섬세한 소리를 낸 걸 볼 수 있다. * TJ 노래방에서 [[그러나, 밤]]을 선곡하면 나오는 뮤직비디오가 이 노래의 뮤직비디오다. == 관련 문서 == * [[M.C The Max]] * [[이수(가수)]] * [[고음/노래 목록]] [[분류:M.C The Max/노래]][[분류:한국 노래]][[분류:록 발라드]][[분류:2021년 노래]][[분류:영화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