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1967년 음반]][[분류:포크 록]][[분류:사이키델릭 팝]]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4c799e '''Younger than Yesterday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30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27)]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291)]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95, 연도=1998, 순위2=197,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989)] ---- [include(틀:언컷 선정 1960년대 500대 명반, 순위=36)] }}} || ||<-2><#dccfd1> '''{{{#4c799e {{{+1 Younger than Yesterda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youngerthanyesterday.jpg|width=100%]]}}} || || '''발매일''' ||[[1967년]] 2월 6일 || || '''녹음일''' ||[[1966년]] 11월 28일 - 12월 8일 || || '''장르''' ||[[포크 록]], [[사이키델릭 팝]] || || '''재생 시간''' ||29:11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개리 어셔 || || '''스튜디오''' ||콜럼비아 스튜디오 || || '''레이블''' ||[[컬럼비아 레코드|[[파일:컬럼비아 레코드 로고.svg|width=100]]]]|| [목차][clearfix] == 소개 == 미국 밴드 [[버즈(미국 밴드)|버즈]]의 4번째 정규 앨범으로, 1967년에 발매되었다. [[사이키델릭 록]], [[포크 음악]]·[[컨트리 록]], [[스페이스 록]]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시도되었으며, 대여섯 개의 커버곡이 수록되었던 전작들에 비해 커버곡의 비중이 확연히 줄고 멤버들의 자작곡이 늘어나는 등[* 이 앨범에서 커버곡은 [[밥 딜런]]이 작곡한 My Back Pages뿐이다.] 여러모로 음악적 성취를 이룬 명반이다. 또 다른 특징적인 점은 크리스 힐먼의 기여가 늘어났다는 것인데, 그 전까지 연주곡 [[Fifth Dimension(앨범)|Captain Soul]]에 공동 작곡 크레딧을 올린 것이 전부였던 힐먼은 이 앨범에서 4곡을 단독으로 작곡하고 'So You Want to Be A Rock 'N' Roll Star'를 맥귄과 공동 작곡하면서 무려 다섯 곡의 크레딧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이후 힐먼은 [[The Notorious Byrd Brothers|다음 앨범]]에서도 뛰어난 작곡 실력을 발휘하게 된다. 차트 성적은 [[빌보드 200]] 24위, UK 차트 37위로 딱히 큰 상업적 성공을 이루지는 못하였으나, 올뮤직에서 [[https://www.allmusic.com/album/younger-than-yesterday-mw0000197227|'''5/5점''']]을 받고,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 2012년 판에서 127위에 오르는 등 음악적 평가는 아주 좋다. 작업 가제는 Sanctuary였으나, 이후 이 앨범에 수록된 밥 딜런 커버곡 My Back Pages의 가사("Ah, but I was so much older then I'm younger than that now.")에서 영감을 얻어 최종적으로는 'Younger Than Yesterday'가 앨범명으로 결정되었다. == 트랙 리스트 == * 곡의 원작자가 버즈 멤버가 아닐 경우 이름도 함께 쓴다. '''Side 1''' * 1. So You Want to Be a Rock 'n' Roll Star (Hillman, McGuinn) * TV쇼에서 만들어진 밴드 [[몽키즈]]를 풍자하는 곡으로, 재즈 뮤지션 휴 마세켈라(Hugh Masekela)가[* 이듬해 [[Grazing in the Grass]]로 공전의 히트를 거두었다.] 트럼펫 연주로 참여했다. * 2. Have You Seen Her Face (Hillman) * 맥귄의 강렬한 기타 사운드, 힐먼과 크로즈비의 보컬 하모니가 돋보이는 트랙이다. * 3. C.T.A-102 (McGuinn, Robert J. Hippard) * SF에 관심이 많던 맥귄이 CTA-102 퀘이사를 소재로 하여 작곡하였다. * 4. Renaissance Fair (Crosby, McGuinn) * 크로즈비가 남부 캘리포니아 르네상스 축제(Renaissance Pleasure Faire of Southern California)에 방문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맥귄과 공동 작곡하였다. * 5. Time Between (Hillman) * 힐먼이 최초로 작곡한 컨트리 록 스타일 트랙으로, 후에 버즈의 멤버가 되는 클라렌스 화이트(Clarence White)가 기타 연주로 참여했다. * 6. Everybody's Been Burned (Crosby) * 맥귄의 아름다운 기타 연주, 힐먼의 베이스라인 및 크로즈비의 보컬이 조화를 이루는 명곡으로, 쟁쟁한 명곡들이 포함된 이 앨범에서도 최고의 곡으로 종종 꼽힌다. 작곡 자체는 버즈가 결성되기도 전인 1962년에 되었다고 한다. '''Side 2''' * 7. Thoughts and Words (Hillman) * [[LSD]]의 영향이 드러나는 힐먼의 곡으로, 기타 소리가 백마스킹되어 삽입되었다. * 8. Mind Gardens (Crosby) * 앨범에서 가장 난해한 곡으로, 기타 연주와 백마스킹된 기타 사운드, 그리고 크로스비의 보컬로만 이루어져있다. 맥귄이 곡이 리듬, 박자, 운율("rhythm, meter, or rhyme")도 없다며 비난하는 등 다른 멤버들은 이 곡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크로즈비의 강력한 주장으로 결국 앨범에 수록되었다. * 9. My Back Pages (Bob Dylan) * 크로즈비는 밥 딜런의 'Another Side of Bob Dylan' 앨범 수록곡을 세 번이나 커버한 마당[* All I Really Want to Do, Spanish Harlem Incident, Chimes of Freedom]에 이 곡 마저 커버해 수록하는 것을 못마땅해 하였다. 그러나 맥귄의 탁월한 편곡 덕에 결과적으로 이 곡은 앨범의 대표적인 명곡으로 남게 되었다. * 10. The Girl with No Name (Hillman) * Time Between과 마찬가지로 클라렌스 화이트가 기타 연주로 참여하였다. * 11. Why (Crosby, McGuinn) * 1966년 Eight Miles High 싱글 B면으로 발매되었던 곡인데, 앨범에서의 자신의 비중을 늘리고자 한 크로즈비가 이 곡을 앨범에 수록할 것을 강하게 주장하여 앨범 세션 중에 재녹음되어 본 앨범에도 실리게 되었다. '''1996 CD reissued Bonus Tracks''' * 12. It Happens Each Day (Crosby) * 앨범 세션의 아웃테이크로, 오랫 동안 미완성·미발매된 상태로 남아있다 힐먼이 어쿠스틱 기타 솔로를 추가해 완성된 버전이 1987년에 발매된 [[컴필레이션 앨범]] Never Before에 수록되어 공개되었다. * 13. Don't Make Waves (McGuinn, Hillman) * Have You Seen Her Face 싱글 B면으로 발매되었던 짧은 로큰롤 트랙이다. * 14. My Back Pages [Alternate Version] (Bob Dylan) * 15. Mind Gardens [Alternate Version] (Crosby) * 16. Lady Friend (Crosby) * 1967년 6월에 Old John Robertson을 B면으로 하여 싱글로 발매되었다. 높은 완성도로 인해 각종 평론지들도 싱글을 호평하였고 작곡자 크로즈비 자신도 곡이 차트 상위권에 오를 것이라 기대했으나, [[빌보드 핫 100]]에서 82위를 기록하고 영국 차트에서는 순위권에 들지도 못 하면서 상업적으로 참패하였다. 이 곡은 결국 [[The Notorious Byrd Brothers|다음 앨범]]에도 실리지 못하게 되면서 '잊힌 명곡'이 되었다. 그래도 최근에는 Ultimate Classic Rock 선정 최고의 데이비드 크로즈비 곡 10선에서 [[https://ultimateclassicrock.com/david-crosby-songs/|1위]]를 기록하는 등 재평가를 받는 중이다. * 17. Old John Robertson [Single Version] (McGuinn, Hillman) *[[The Notorious Byrd Brothers|다음 앨범]]에 수록된 Old John Robertson의 싱글 버전이다. 이 노래 자체는 1분 53초에 끝나고 10초 뒤에 Mind Gardens [Instrumental Guitar Track]이 재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