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XK9}}}'''[br]''Daewoo XK9''}}}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XK-9&10.jpg|width=100%]]}}}|| ||<-2><:> {{{#000,#ddd {{{-1 XK9(좌)과 XK10(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ds18.egloos.com/d0128101_4ea3a3d97d6ec.jpg|width=100%]]}}}|| ||<-2><:> {{{#000,#ddd {{{-1 XK9C}}}}}} || || '''종류''' ||[[기관단총]] || || '''원산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3]] [[대한민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2003년]]~[[2004년]] || || '''개발''' ||[[SNT모티브]] || || '''개발년도''' ||[[2003년]]~[[2004년]] || ||<-2> {{{#White '''기종'''}}} || || '''원형''' ||[[K7 소음기관단총|K7]] || || '''파생형''' ||XK10[br]XK9C || ||<-2> {{{#White '''제원'''}}} || || '''탄약''' ||[[9×19mm 파라벨럼]] || || '''급탄''' ||3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가스 작동식[br][[클로즈드 볼트]] || || '''총열길이''' ||220mm[br]134mm (XK10, XK9C) || || '''전장''' ||680~440mm[br]590~350mm (XK10)[br]560~350mm (XK9C) || || '''중량''' ||2.9kg[br]2.8kg (XK10, XK9C) || || '''강선''' ||6조 우선[br]10인치에 1회전 || || '''발사속도''' ||960~1,000RPM || || '''탄속''' ||380m/s || || '''유효사거리''' ||150m[br]100m (XK10, XK9C) ||}}} || [목차] [clearfix] == 개요 == [[SNT모티브]]에서 개발한 기관단총. == 상세 == 이름만 [[기관단총]]이고 사실상 [[카빈]]소총인 [[K1 기관단총|K1]], 사실상 특수부대 전용인 데다가 원판인 K1의 영향이 많이 남아 있는 [[K7 소음기관단총|K7]]을 넘어서 제대로 된 기관단총을 개발했다. K7에서 소음기를 제거한 [[http://blogfiles9.naver.net/data41/2008/12/21/152/xk-9_%C3%CA%B1%E2%B8%F0%B5%A82_testserver.jpg|K7A1]]이란 제식명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K1 기관단총은 [[5.56×45mm NATO]]탄을 써서 주력화기나 다를 바 없는 돌격소총이고, 기관단총인 K7은 소음기가 고정식이라서 특수작전에나 어울린다. 이에 평범한 9mm급 기관단총을 만들고자 개발된 것. 디자인을 보자면 K7이 [[H&K MP5#s-4.1|MP5SD]]의 영향을 받은 연장선상에서 이 시리즈는 MP5의 영향을 좀 많이 받았다. K7의 소음기 부분이 MP5SD를 많이 닮은 것처럼 XK9는 총열덮개나 총구 부분을 보면 MP5를 굉장히 많이 닮아 있다. 또 총몸은 K7과 비슷하긴 하지만 탄창삽입구 부분을 줄여 9mm 탄창에 딱 맞춘 형태다. 장전손잡이도 K1과 동일하게 총몸 우측에 달려있던 K7과는 달리 MP5 스타일로 총열덮개 왼쪽 위에 달려있고, 탄피배출구, 가늠자, 개머리판도 새로 설계하는 등 단순 K7에서 소음기만 뗀 수준은 아니다. 그냥 9mm탄 쓰는 [[CAR-15]] 수준인 [[콜트 9mm 기관단총]]보다는 그래도 공을 좀 들였다고 할 수 있다. 군과의 계약 같은 것 없이 대우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것으로, 아마도 특수작전용이나 [[PDW]] 등의 용도로 국군 채용이나 수출 등을 노리고 개발된 듯하지만 별다른 실적은 없어 조용히 잊힌 듯하다. 사실 9mm 기관단총 개념 자체가 [[카빈]]에 밀려서 21세기에는 별로 인기가 없으니 당연한 결과일 것이다. 실내전 위주의 특수부대나 되어야 가끔 사용할까 싶은데 이들은 보급용으로도 K7이 이미 있을뿐더러 예산이 넉넉해서 믿음과 신뢰의 [[H&K MP5]]같은 훌륭한 외제 총기도 막 사댈 수 있으니... == 파생형 == * XK10 XK9을 더욱 더 단축시킨 모델. XK9가 MP5를 닮았다면 이 총은 [[H&K MP5#s-4.2|MP5K]] PDW의 앞쪽 부분과 매우 닮았다. 접히는 수직손잡이는 [[H&K MP7]]에서 따온 듯한 느낌으로, XK9와 같이 등장했지만 역시 조용히 잊혀졌다. * XK9C XK10의 뒤를 이어 또 등장한 XK9의 단축형. 헌데 이름은 XK10A1 같은 게 아니라 XK9C라 미묘하다. 역시 MP5K의 냄새가 많이 나는데 또 수축식 개머리판은 MP5와 많이 닮았다. 이전의 모델들이 노리쇠 멈치나 조정간 형태 등에서 K-1 총몸 티가 많이 났던 거에 비하자면 외부 형태가 상당히 많이 바뀌었다. 또 총열덮개에 RAS가 적용되어 있다. 허나 여전히 원판과 같이 조용히 잊혀진 터라 구체적으로 어떤 것인지 알 방법은 없다. == 관련 문서 == * [[국산무기]] * [[STSM-21]] [[분류:기관단총]][[분류:대한민국/개발 총기]][[분류:SNT모티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