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orld of Guns: Gun Disassembly''' || || [[파일:capsule_616x353.jpg]] || || 이미지에 있는 총기는 [[IMI Desert Eagle|데저트 이글]] [[.44 Magnum]] 모델, 로고 안에 있는 총기는 [[M1911]]로 추정된다. || [목차] == 개요 == [youtube(oKFC4HjRSFg)] [[https://www.laipublications.com./en/|L.A.I. Publications]]에서 총기 감수를 받는 [[http://noble-empire.com/news.php|Noble Empire Corporation]]에서 제작한 총기 관련 [[시뮬레이션 게임]].[* 관점에 따라 [[시리어스 게임]]과 [[기능성 게임]]으로 보기도 한다.] 분해와 조립 뿐만 아니라 발사와 [[https://www.youtube.com/watch?v=KRD54bOP53I|1인칭 사격]]까지도 할 수 있고 XRAY 투시를 통해서 작동방식까지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각종 [[총기 악세사리]]들도 부착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핌마건]]과 더불어 [[총덕]]들과 [[밀덕]]들을 위한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볼 수 있고 [[Steam|스팀]]에도 발매되었다.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62410/World_of_Guns_Gun_Disassembly/|#]] 참고로 국내에서는 '월오건'이라고 줄여서 말하는 듯 하다. 2018년 11월 12일 기준으로 현재 수록된 총기는 모두 176종. 프리미엄 모델까지 포함한다면 모두 190개의 모델이 수록되있다. 매 달마다 신규 모델이 평균 1개~2개 정도가 추가되고 있다. 모바일 버전의 주의점으로, 내 계정정보가 서버에 저장되는 형식이 아닌건지 재설치하면 지금까지 해금한 모델들과 진행과정이 사라지니 주의하자 == 게임방식 == 기본적으로 총기의 분해조립이 주 컨텐츠로, 각각 시간을 계산해 전 세계 랭킹에 도전하는 것이 주 목적. 게임모드는 9~10가지로 나뉘어져 있다. 1. '''FIELD STRIP''': 야전 분해. 단순하게 일부 부품만 분해하는 모드. 1. '''DISASSEMBLY''': 총기를 완전히 분해하는 모드. Field Strip 클리어시 해금. 1. '''ASSEMBLY''': 분해되어 있는 총기를 조립하는 모드. Disassembly 클리어시 해금. 1. '''OPERATION''': 총기의 메커니즘과 부착물을 장착해볼 수 있는 모드. Field Strip 클리어시 해금. 1. '''GAME''': 총기를 분해>조립해야 하며 이 모드부터 전 세계 랭킹에 도전한다. 신속한 분해조립이 필요한 모드. Field Strip~Operation 전체 클리어시 해금. 1. '''SUPER GAME''': 일반 게임모드와 다를 거 없어 보이지만, 총기 분해/조립 순서를 '''정확히 지켜야 한다.'''[* 부품 하나만 잘못 건드려도 바로 게임오버 처리이며, 재시작과 메인화면으로 나가기 버튼 밖에 없다. 단, 굳이 순서를 지키지 않아도 게임 모드에서 굳이 먼저 특정 부품을 분해 안 해도 분해되는 부품 같은 것들은 상관없다.] 특정 부품을 분해 시 동그란 게이지가 등장하는데, 이 게이지가 빨간색 부분에 도달할 때 마우스 버튼을 다시 클릭하면 분해/조립 속도를 가속시켜준다. Game 클리어시 해금. 1. '''HARDCORE''': 총기의 부품을 여러 개 클릭해 분해시킬 수 있고 한번만 클릭해도 부품이 바로 분해되어 시간 단축에 도움을 준다. 단, 총기 분해/조립 속도 부스팅이 불가능해서 한 부품이 완전히 분해되어야 다른 부품을 분해할 수 있다. Super Game 클리어시 해금. 1. '''PAINT''': 총기를 데칼로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모드. [[Steam]] 창작마당에 올라와있는 데칼도 설치해서 적용할 수도 있고 업로드도 가능. Field Strip 클리어시 해금. 1. '''DEMO''': 별 다를건 없다. 그냥 게임/슈퍼게임/하드코어 모드의 AI 플레이 영상을 보여주는 기능이다. 1. '''WALLPAPER''': 그냥 바탕화면 다운받는 용도.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수록된 총기 #== 한 총기의 Game모드를 클리어하면 선 따라서 다음 무기를 해금시킬 수 있게 된다. 플레이할 때 얻는 Exp로 무기를 해금할 수 있는데 실루엣만 있는 총기는 요구 Exp가 1.5배로 늘어난다. 또한, 몇몇 무기는 Credit이라는 특수 화폐를 필요로 한다. Credit은 Game, Super game, Hardcore를 한번 클리어하면 얻을 수 있거나 현질로 얻을 수 있다. 번거롭다면 DLC로 특정한 총기들을 해금시킬 수 있지만 'Full gun access'를 구매하면 차후 업데이트 되는 총을 포함한 모든 총을 해금시켜준다. 테크 트리를 알고 싶다면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gundisassembly/images/e/ea/Map.jpg/revision/latest/scale-to-width-down/2000?cb=20170605005912|이 그림]]을 보면 된다. * 안드로이드판부터 존재한 총들. [[M1911]][* 튜토리얼 진행중에 총기 구입 연습 차원에서 구입을 해야한다.] [[AK-47]] [[KG-9|TEC-9]][* 기본적으로 해금할 수 있으며 게임을 막 시작한 초보자라면 이 총기를 추천한다.] [[H&K MP5]] [[M4 카빈]] [[M16 소총]] [[FN P90]] [[Chiappa Rhino]] [[Vz.61]] [[M14 소총]] [[COP .357]] [[IMI Desert Eagle|데저트 이글]][* [[.44 매그넘]] 모델이며 장탄수가 8발이다.] [[M1 개런드]] [[CZ75]] [[베레타 92]] [[보이스 대전차 소총]] [[AMT Backup]] [[바렛 M82|바렛 M107]] [[Cx4 Storm|베레타 Cx4 Storm]] [[보르하르트 C93]] [[M1919 브라우닝]] [[캘리코 기관단총|캘리코 M100]] [[콜트 파이슨]] [[콜트 싱글 액션 아미]] [[DP-28]] [[FAMAS]] [[FN FAL]] [[글록|글록 19]] [[GSh-18]] Harpers Ferry [[H&K G36]] [[H&K G36#SL8 계열|H&K SL9SD]] [[H&K UMP]] [[M1 카빈]] [[드라이제 M1907]]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벅 마크 [[스텀 루거#자동권총|루거 SR9]] [[AK-74]] [[M1918 브라우닝]] [[S&W M3|S&W 스코필드]] [[마우저 M1910|마우저 1914]] [[CheyTac Intervention|M200]] [[모스버그 500]] [[M134 미니건#s-2.1.2.2|M134D]] [[SIG P228]]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루거 Mk 시리즈|루거 MK II]] [[Kel-Tec SU-16|PLR-16]] [[S&W M53]] [[MAC-10]] [[제리코 941]] [[리-엔필드]] [[루이스 경기관총]] [[LR-300|LR 300 ML]] [[루거 P08]] [[밀코 M32]] [[M60 기관총]] [[마를린 336|말린 336 디럭스]] [[마우저 C96]] [[Kar98k|마우저 98k]] [[맥심 기관총]] [[MG34]] [[모신나강]] [[MP40]] [[마카로프 권총]] [[PPSh-41]] [[레밍턴 M870]] [[데린저|레밍턴 모델 95]] [[RPG-7]] [[루거 10/22|루거 22 차저]] 루거 LCP 루거 LCR 루거 뉴 바퀘로 루거 NO.1 루거 올드 아미 루거 슈퍼 레드호크 [[SKS]] [[SIG P210]] [[SIG SG550#s-3.4|SIG SG550S]] [[SIG SG550#s-3.2|SIG SG552]] [[스텐 기관단총]] [[슈타이어 AUG]] [[슈타이어 스카웃]] [[StG44]] [[S&W M&P]] [[S&W 시그마]] [[스프링필드 XD]] [[톰슨 기관단총]] [[TT 권총]] [[UZI]] [[발터 P38]] [[8,8cm FlaK]] [[발터 PP]] [[웰로드]] [[윈체스터 M1866|윈체스터 M1873]] [[ZiS-3]] * 스팀판으로 발매된 후부터 업데이트된 총 1.[[콜트 리볼버#콜트 워커|콜트 워커]] 1.[[AKS-74U]] 1.[[SPAS-12]] 1.[[FP45 리버레이터]] 1.[[Auto-5]] 1.[[http://www.imfdb.org/wiki/Winchester_Model_21|윈체스터 모델 21]] 1.[[TAR-21]] 1.[[H&K USP]] 1.[[나강 M1895]] 1.[[M2 브라우닝 중기관총]] 1.[[FN Five-seveN]] 1.[[브라우닝 하이파워]] 1.[[B&T MP9]] 1.[[발터 P99]] 1.[[콜트 M1903#s-3|콜트 M1903 포켓 해머]] 1.[[M79]] 1.[[VSS 빈토레즈]] 1.[[스테츠킨 기관권총]] 1.[[AS Val]] 1.[[SA80#s-3.3|L86A2 LSW]] 1.[[KRISS Vector]] 1.[[레밍턴 M700]] 1.[[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 1.[[스털링 기관단총]] 1.[[웨블리-포스베리]] 1.[[MG3]] 1.[[라티 L-35|L-35(M/40)]] 1.[[PTRD-41]] 1.[[베레타 Px4 Storm]] 1.[[H&K G3|G3A3]] 1.[[DShK]] 1.[[CZ52|CZ-52]] 1.[[남부 권총]] 1.[[PTRS-41]] 1.[[MAS-36]] 1.[[M3 기관단총]] 1.[[스프링필드 M1903]] 1.[[SVT-40]] 1.[[FN SCAR#s-2.1.1|Mk.16 Mod.0]] 1.[[SIG Pro#s-4.3|SIG SP2022]] 1.[[USAS-12]] 1.[[AR-18]] 1.[[데그탸료프 기관단총]] 1.[[아리사카]] [[99식 소총]] 1.[[판코르 잭해머]] 1.[[K31]] 1.[[PSS 소음권총]] 1.[[S&W M500]] 1.[[Vz.58]] 1.[[MP-443]] 1.[[OSV-96]] 1.[[윈체스터 M1897]] 1.[[http://www.imfdb.org/wiki/Protector_Palm_Pistol|프로텍터 팜 피스톨]] 1.[[PPS-43]] 1.[[마스 권총]] 1.[[Saiga-12]] 1.[[레밍턴 R51]] 1.[[데그탸료프 경기관총|RPD]] 1.[[H&K MP7]] 1.[[H&K MP5#MP5K|H&K MP5K]] 1.[[베르크만-바야르 권총|베르크만-바야르 모델 1910]] 1.[[오웬 기관단총]] 1.[[루거 정밀소총|루거 프레시전 라이플]] 1.[[베레타 93R]] 1.[[갈릴|갈릴 ARM]] 1.[[FG42]] 1.[[http://www.imfdb.org/wiki/Mannlicher_Model_1905|만리허 M1905]] 1.[[브렌 경기관총]] 1.[[마드센 경기관총]] 1.[[칼라시니코프 경기관총#s-3.1|PKM]] 1.[[FN F2000]] 1.[[르맷 리볼버]] 1.[[S&W]] [[http://www.imfdb.org/wiki/Smith_%26_Wesson_4006|모델 4006]] 1.[[헨리 소총|헨리 레버액션 옥타곤 프론티어]] 1.[[레밍턴 M1858|레밍턴 1858 카빈]] 1.[[게베어 43]] 1.[[M249]] 1.[[발터 기관단총|발터 MPL]] 1.[[H&K P7]] 1.[[쇼샤]] 1.[[PP-2000]] 1.[[호치키스 M1909]] 1.[[아스트라 권총|아스트라 400]] 1.[[M1941 존슨 소총]] 1.[[KP/-31]] 1.[[CZ 스콜피온 EVO 3|스콜피온 Evo 3 A1]] 1.[[슈타이어 M1912]] 1.[[NRS-2]] 1.[[표도로프 자동소총]] 1.[[SIG P210]] 1.[[AN-94]] 1.[[밀코 MGL|밀코 MGL Mk.1L]] 1.[[PP-19]] 1.[[칼 구스타프 m/45]] 1.[[FN FNC]] 1.[[마카로프 권총|마카로프 PB]] 1.[[FN M1903]] 1.[[AR-7|아말라이트 AR-7]] 1.[[M240 기관총]] 1.[[H&K PSG1]] 1.[[H&K VP9]] 1.[[MAS-49|MAS-49/56]] 1.[[울티맥스 100]] 1.[[Mk.17 SCAR-H]] 1.[[SIG P226#s-3.3|P226 X-Five]] 1.[[베레타 ARX-160|베레타 ARX-100]] 1.[[http://www.imfdb.org/wiki/Arsenal_Firearms_USA_Stryk-B|Stryk B]] 1.[[프로머 슈토프]] 1.[[르벨 M1886]] 1.[[글록#s-5|글록 17 에어소프트건]] [* 우리가 생각하는 그 BB탄 맞다(...) 정확히는 [[이산화 탄소|CO,,2,,]]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가스건]]. [[VFC]]사에서 사이버건 브랜드로 만든 GBB 권총으로 설명에 보면 훈련용으로 나온거라고 나와있다.] 1.[[FN CAL]] 1.[[윈체스터 M1895]] 1.[[게베어 1888]] 1.[[Mini-14]] 1.[[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1.[[SIG SG510]] 1.[[RSC 소총]] 1.[[베레타 AR70]] 1.[[하이-포인트|하이포인트 C-9]] 1.[[89식 척탄통]] 1.[[http://www.imfdb.org/wiki/Steyr-Pieper_M1909|슈타이어-피퍼 M1909]] 1.[[H&K P9|H&K P9S]] 1.[[H&K HK416|HK416]] 1.[[https://en.wikipedia.org/wiki/TOZ-34|TOZ-34]] 1.[[https://www.youtube.com/watch?v=i9Km5KaeO7I|Collier Flintlock Revolver]][* [[https://en.wikipedia.org/wiki/Elisha_Collier|엘리샤 헤이든 콜리어]]라는 공학자가 1819년에 만들어낸 [[플린트락]]에 [[리볼버]]의 회전탄창을 결합한 권총. 1820년부터 산탄총 형태와 카빈 형태로도 나왔는데 부싯돌의 신뢰성이 영 좋지 않아 부싯돌을 자주 갈아줘야 했고 저질 화약을 사용하면 오발 확률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져서 1만정을 생산하겠다는 계획은 225정만 만들어진 채 1824년에 단종되었고 현재는 150정만 남아있는 희귀한 총이 되었다. 이 총에서 영감을 받은 총이 바로 '''[[콜트 리볼버#콜트 패터슨|콜트 패터슨]]'''이다.] 1.[[PM-63]] 1.[[바렛 MRAD]] 1.[[https://en.wikipedia.org/wiki/Schwarzlose_Model_1898|슈발츠로즈 M1898]] 1.[[CZ-805|CZ-805 S1]][* CZ-805의 민수용 버전이다.] 1.[[H&K HK417]] 1.[[베르단|베르단 소총 No.2]] 1.[[샤프스 소총]] 1.[[H&K HK33|HK33A3]] 1.[[몬드라곤 소총]] 1.[[H&K VP70#VP70M|VP70M]] 1.[[베레타 M12|베레타 PM-12S]] 1.[[슈타이어 GB]] 1.[[M1895 콜트-브라우닝]] 1.[[PSM]] 1.[[베넬리 B76]] 1.[[OTs-14]] 1.[[개틀링 기관총]] 1.[[https://youtu.be/kTSaZAOCla0|열쇠 화승총]][* 말 그대로 화승총을 중세 시대에 쓰일 법한 열쇠로 위장시킨 물건이다. 방아쇠 없이 뇌관 넣고 화약 넣고 총알 넣고 심지 박고 불 붙인 후 조준하면 끝. 암살용으로 썼을 것으로 추정되나 화승총 특유의 메커니즘 특성상 암살에 적합하지 않아서 이게 도대체 어떻게 쓰였는가에 대한 기록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다. 다만, 독일에는 [[https://de.wikipedia.org/wiki/Schl%C3%BCsselb%C3%BCchse|Schlüsselbüchse]]로 불리우는 아이들용 간이 [[불꽃놀이]]용 [[공포탄]] 총이 존재했다.] 1.[[EM-2]] 1.[[Ag m/42|라시드 카빈]] 1.[[FN M1905|FN M1906]][* FN M1906은 유럽에서 생산된 [[FN M1905]]으로 첫 생산 연도만 달라졌기 때문에 세부적인 성능은 1905나 1906 모두 동일하다.] 1.[[https://www.imfdb.org/wiki/File:220px-Pepperbox_Lefaucheux_tula.JPG|Lefaucheux Pepperbox]][* 프랑스의 건스미스 '[[https://en.wikipedia.org/wiki/Casimir_Lefaucheux|카쉬미르 르파체우스]]'란 사람이 만든 [[핀파이어 탄약]]을 쓰는 중절식 페퍼박스 리볼버, 총열 없이 실린더에서 바로 총알이 쏴지는 '르파체우스 메커니즘'을 사용했으며 처음엔 종이 탄피를 사용했으나 후에 금속 탄피로 개량했다.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암살]]하기 위해 사용한 총으로 유명하다.'''] 1.[[11년식 경기관총]] 1.[[https://www.taurususa.com/revolvers/raging-hunter/raging-hunter-44-mag-two-tone-8-37-in|레이징 헌터]] 1.[[MAT-49]] 1.[[Boberg Arms XR|Boberg XR9-S]] 1.[[마골린 권총|Margolin Pistol]] 1.[[FMG#s-4|PP-90]] 1.[[마우저 HSc]] == 프리미엄 모델 == AK-47의 게임 모드를 클리어하면 열리는 항목. 각각의 모델은 50 Credit이란 거금을 줘야 플레이할 수 있지만 DLC를 구매하면 즉시 해금된다. [[https://vignette.wikia.nocookie.net/gundisassembly/images/4/4d/Bonus_map.jpg|테크 트리]] === 차량 === 차량 DLC를 구매하면 즉시 해금된다. || [[셸비 코브라 AC 시리즈]] || || 커스텀 || || [[핫로드]] || || [[DMC-12 드로리안]] || || [[케이터햄 세븐|로터스 세븐]] || === [[골격계]] === 골격계 DLC를 구매하면 즉시 해금된다. || [[인간]][* 골격계 항목에서 기본 해금된 모델.] || [[알로사우루스]] || || [[고릴라]] || [[말(동물)|말]] || || [[사자]] || [[늑대]] || === [[오토바이]] === [[할리 데이비슨]] [[캡틴 아메리카]] [[두카티]] 916 === 군용 장비 === [[BMP-3]] [[험비]] A2 [[보우트 F4U 콜세어]] [[T-72]] == 여담 == 총기분해 시뮬레이터임에도 불구하고 가끔씩 자잘한 [[창작물의 반영 오류|재현 오류]]가 나올때도 있다. 대표적으로 Operations 모드에서 약실에 1발 장전된 상태에서 재장전을 하면 탄창에서 총알이 1발 빠져있어 기존 장탄수+1발을 만들수가 없다. 그리고 USAS-12는 조정간을 연사로 맞추고 1번만 쏴도 무조건 최소 2발이 발사된다.Operation 모드에서 부착하는 광학장비는 모양만 만들어져있고, 조준에 쓸 수 없다.게다가 기계식 조준기의 가늠자의 구멍/홈은 실총에 비해 너무 조그만해서 사격장모드를 제외하고 정조준을 시도하는건 포기하는게 좋다.이외에도 [[M1911]]의 분해핀을 제거할때 반달모양 홈에 맞추지 않는다든지, [[LR-300]]을 X-RAY모드로 볼때, 쏠 때(Fire)는 오토시어가 움직이는데 노리쇠를 당길때(Unload)는 안움직이거나 [[TAR-21]]를 쏠때는 파이어링 핀이 회전하지 않는데, 노리쇠를 당길때는 파이어링 핀이 회전노리쇠처럼 회전하거나(볼트와 파이어링 핀은 "한 덩어리"가 아니기 때문에 모델링 오류다.)등등의 사소한 오류를 찾아볼 수 있다. 분해순서가 너무 획일화되고 직선적이라 실총에서 가능한 분해방식중 하나만 된다던지...(이게 순서에 고정관념이 생길 수 있어서 유튜브를 통해 시뮬레이션이 아닌 실제 영상을 참고하거나 더 자유로운 조작이 되는 Weapon stripping 앱을 구글 스토어에서 다운받으면 도움이 된다.[* 월오건과 왜폰 스트리핑의 차이점이라면 월오건은 총을 쏘는거랑 분해와 조립 따로 따로인데 왜폰 스티리핑은 총쏘는거에 분해하거나 분해할때 총을 쏠수도 있기도 하는 등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모델에 관한 성의도 천차만별이다. M4는 인게임 가장 많은 부착물 수중 하나를 자랑하지만, 같은 AR-15인 M16A1은 오퍼레이션시 위버 레일은 커녕, M203이나 30발 스타나그도 안준다! 총검과 가늠자 조정, 방아쇠울 열기만 지원한다... 총기 작동에 관심이 있다면 어지간한 애정총이 아닌 이상 모델을 알아보고 구매를 추천. 게임내에 퀴즈의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45초 동안 총기 사진을 보여주고 6개의 총기 이름중에서 정답을 고르면 되는 방식이다. 한 문제당 받을수있는 경험치는 200. 하지만 이게 난이도가 있는데, 일단 퀴즈는 정해진 문제가 아닌, 랜덤으로 문제가 생성이 되고, 총기사진이 하필 흑백이라서 흩어보는걸로는 제대로된 이름을 고를수가 없다. 그래서 6개의 답중에서 같은 회사 계열의 비슷비슷한 이름을 가진 무기라던가, 총덕에게도 생소한 무기라던가, 외형이 비슷비슷한 권총계열[* 특히 리볼버는 외형이 거기서 거기인지라 문제중에서 가장 함정에 빠지기 쉬운 문제들이 있다.]이 나올 때 정답을 헷갈리게 될 수 있다. 그리고 한번이라도 틀리면, 몇개를 맞추었든 간에 '''경험치는 1도 받을 수 없다'''. 그리고 퀴즈가 끝나면 일정량의 경험치를 소비하지 않는 이상, 30분을 기다려야된다. 약간의 팁을 주자면, * '''서두르지 말 것.''' 확인도 신중히, 선택도 신중히 하면서 플레이하는 것이 안전하다. * '''정답을 모르겠다면 건들지 말 것.''' 틀려서 아무것도 받지 못하는 것보단, 경험치를 조금이라도 받는 것이 더욱 이득이다. * '''시작하기 전 사전 조사를 할 것.''' [[https://steamcommunity.com/sharedfiles/filedetails/?id=1651966367|월오건 스팀 가이드]]에서, 퀴즈에서 나오는 무기들의 이름이 정리 되어있으니, 퀴즈를 시작하기전에 몇번씩 보거나, 창모드로 따로 켜놓고 검색하면서 퀴즈를 하는게 좋다. 이렇게 어느정도 퀴즈에 익숙해져서 자신이 있어진다면 퀴즈 한번에 경험치 5000 이상은 쉽게 받을수 있게된다. 2019년에는 최초로 실총이 아닌 [[에어소프트건]] 이 추가되었다! CO,,2,, 사용 글록17으로, GLOCK17 AIRSOFT 라는 이름으로 추가되었다. 일부 총기의 경우 타 게임에서 빌려온 소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 예시로 [[바렛 M82]]를 격발하면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특유의 --시원한-- 격발음이 난다. 나무위키의 몇몇 총기 문서들에서도 작동 방식 영상과 분해 조립 영상으로 이 게임의 영상들이 게시되었다. [[분류:2014년 게임]][[분류:시뮬레이션 게임]][[분류:우크라이나 게임]][[분류:퍼즐 게임]][[분류:Windows 게임]][[분류:macOS 게임]][[분류:모바일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