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hite '''{{{+3 Wolf Ultramatic Mod. LV}}}'''[br]''Gabriel & Vojta Wolf Ultramatic Mod. LV''}}}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istole-ultramatic-wolf-mod.-lv-kal.-9-mm-para-471331.jpg|width=100%]][br][[파일:17982260.jpg|width=100%]]}}}|| || '''종류''' ||[[자동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오스트리아)]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생산''' ||Gabriel & Vojta Sportwaffen GmbH || || '''생산년도''' ||[[1995년]]~[[1998년]] || || '''단가''' ||2000달러[* 1995년~1998년 기준.]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9×19mm 파라벨럼]][br].38 Super[br][[.40 S&W]][br][[.45 ACP]] || || '''급탄''' ||18발들이 탄창[* 9×19mm 기준으로 추정.] || || '''작동방식''' ||[[더블 액션]], [[노리쇠#s-2.2|블로우백]] || || '''총열길이''' ||152.4mm (6인치) || || '''전장''' ||254mm (10인치) || || '''중량''' ||1kg 이상 || || '''유효사거리''' ||50m 이상으로 추정[* 총열길이가 125mm인 [[베레타 M9]]의 유효 사거리가 50m이다.]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Qw6gSIbeEXQ)] 오스트리아의 Gabriel & Vojta Sportwaffen GmbH에서 제작한 [[자동권총]]. == 상세 == 대부분 자동권총들은 격발할 때 쇼트 리코일로 총열이 고정되지 않거나[* [[루거 Mk 시리즈]], [[하이-스탠다드 HDM|HDM]], [[FN Five-seveN|FN57]], [[H&K UCP]], [[마카로프 권총]], [[스테츠킨 기관권총]]처럼 9mm보다 장약량이 적은 탄환을 호환하거나 [[H&K P7]], [[슈타이어 GB]], [[베넬리 B76]]처럼 작동 방식을 바꿔서 특별한 블로우백으로 작동하는 권총도 있다. 다만 [[H&K VP70]]은 예외적으로 9mm를 호환하는 데다 작동방식도 별 다른 구조 변경이 없는 단순 블로우백이다.] [[기계식 조준기]]가 슬라이드에 부착되어 가늠자와 가늠쇠가 움직이기 때문에,[* [[루거 P08]], [[94식 권총]], [[발터 P38]], [[오토매그]], [[IMI Desert Eagle|데저트 이글]], [[킴벌 권총]]을 비롯해서 [[루거 Mk 시리즈]], [[하이-스탠다드 HDM|HDM]], [[우즈맨]], [[마골린 권총]]을 포함한 일부 [[.22 LR]] 권총들은 왕복하는 슬라이드가 아닌 쪽에 부착된다.] 소총 등의 다른 총기들과 다르게 상대적으로 명중률에 불리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자동권총은 두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설계했으며 경기용을 목적으로 제작되었고 대부분 자동권총들보다 높은 명중률과 중량덕에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블로우백의 방식은 [[MG42]]의 작동방식을 참고하여 설계되었다. 그러나 이 높은 중량 때문에 사수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단점으로 돌아왔고, 높은 명중률을 위한 복잡한 작동방식 때문인지 부품의 여분공간이 부족해서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 탄피 배출 불량등의 고장이 잦아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고, 또한 이 복잡한 작동방식으로 인해 가격이 무려 2000달러[* 총이 처음 생산되었다고 알려진 1995년 기준. 2023년 10월 기준 가치로 환산 시 4,039달러가 된다.]로 비싸[* 2016년 9월에 프랑스 국방부가 [[헤클러 운트 코흐|H&K]]와 계약했던 [[H&K HK416|HK416F]]의 가격이 1823.53달러(약 1000유로)라는 걸 생각해보면 권총치곤 터무니없이 비싼 셈이다.] 생산한지 얼마 안 돼 총기시장에서 빠르게 사장되어 단종되었다. 어떻게 보면 [[6 Unica]], [[웨블리-포스베리]], [[Medusa M47]]처럼 이론상으로 매우 좋은 신기술과 새로운 기능을 가졌다 해도 결코 판매 실적에 비례하지 않은 사례 중 하나일 듯 하다. 한편 이후에 같은 목적으로 설계된 [[에일리언 피스톨]]이 등장했는데 이 권총은 큰 호평을 받아 각광을 받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권총 역시 2020 샷쇼에서 5000달러라는 높은 가격으로 판매했었는데 500정 모두 완판되었다. 지금도 4680유로라는 비싼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다.] == 바리에이션 == 연장 총열을 부착한 바리에이션도 있으며 [[https://www.dorotheum.com/fileadmin/lot-images/39W141213/normal/pistole-wolf-ultramatic-3175141.jpg|#]][[https://www.dorotheum.com/fileadmin/lot-images/39W141213/normal/pistole-wolf-ultramatic-a-3175141.jpg|#]] 반대로 총열의 길이를 줄인 바리에이션도 있다. [[https://dygtyjqp7pi0m.cloudfront.net/i/11425/11706823_1.jpg?v=8CE9480DF3E1090|#]] 이외에도 [[컴펜세이터]]를 부착한 것도 있다. [[https://www.hermann-historica-archiv.de/auktion/images51_gr/51467.jpg|#]] 처음부터 경기용을 목적으로 제작되어 총열과 기계식 조준기 모두 고정된 특성 덕분인지 상부에 레일을 탑재해서 조준장비를 부착하기도 한다. [[https://www.dorotheum.com/fileadmin/lot-images/39W140301/normal/pistole-wolf-ultramatic-4975967.jpg|#]][[http://www.waffenwesen.com/html/k_bilder/bild-k-40-2.jpg|#]][[https://www.ingunowners.com/rimg.php?referer=https%3A%2F%2Fwww.ingunowners.com%2Fforums%2Fshowthread.php%3Ft%3D320342&src=http://i41.tinypic.com/2959wtd.jpg|#]] == 관련 링크 == [[https://military.wikia.org/wiki/Ganzstahl_Sportpistole_Wolf_Ultramatic_Mod._LV|#]] [[분류:자동권총]][[분류:1995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