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Wii 게임]][[분류:닌텐도 게임큐브 게임]] [include(틀:닌텐도 DS · Wii · 3DS · Wii U)] [목차] == 개요 == '''Wiiであそぶセレクション / New Play Control!''' [[닌텐도 게임큐브]]에서 [[Wii]]로 이식된 게임들을 통칭하는 시리즈. 이 네이밍은 해외에서만 사용되었으며, 닌텐도 게임큐브가 정발되지 않아 Wii 게임이 최초의 정식 라인업이었던 한국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총 7개의 게임이 발매되었으며, 이중 세 타이틀은 일본에서만 발매되었다. 공통적으로 16:9 비율의 와이드 스크린을 지원하고, [[Wii 리모컨]]과 눈차크의 모션 조작에 대응하는 대신 [[게임큐브 컨트롤러]]는 사용할 수 없다. 일본에서는 각각 Wii 게임 풀프라이스 5,524엔보다 저렴한 3,619엔에 판매되었다. (소비세 별도 기준) 이 브랜드가 전개된 것에는, 판매 성적이 좋지 않았던 [[닌텐도 게임큐브]]에서 빛을 발하지 못한 게임들을 [[Wii]]로 이식함으로써 부진을 만회하려는 의도가 있었을 것이다. 후대에 [[Nintendo Switch]]로 [[Wii U]] 게임이 많이 이식된 것과 비슷한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게임 일람 == === Wii로 즐기는 [[동키콩 정글 비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키콩 정글 비트)] Wiiであそぶ ドンキーコングジャングルビート / New Play Control! Donkey Kong Jungle Beat * 일본: 2008년 12월 11일 * 북미: 2009년 5월 4일 * 유럽: 2009년 6월 5일 * 호주: 2009년 6월 18일 === [[피크민#피크민(Wii)|피크민(Wi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크민, 앵커=피크민(Wii))] Wiiであそぶ ピクミン / New Play Control! Pikmin * 일본: 2008년 12월 25일 * 유럽: 2009년 2월 6일 * 호주: 2009년 2월 26일 * 북미: 2009년 3월 9일 * 한국: 2011년 10월 27일 Wii로 즐기는 셀렉션 중 유일하게 한국에서 정발되었다. 앞서 설명한대로 한국에서는 Wii 버전이 최초 정식 발매작이기 때문에, 'Wii로 즐기는'은 붙이지 않고 원제 그대로 '피크민'이라고 부른다. === Wii로 즐기는 마리오 테니스 GC === Wiiであそぶ マリオテニスGC / New Play Control! Mario Power Tennis * 일본, 중화권: 2009년 1월 15일 * 유럽: 2009년 3월 6일 * 북미: 2009년 3월 9일 * 호주: 2009년 3월 26일 === [[메트로이드 프라임#Wii로 즐기는 메트로이드 프라임|Wii로 즐기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트로이드 프라임, 앵커=Wii로 즐기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Wiiであそぶ メトロイドプライム * 일본: 2009년 2월 19일 서구권에서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트릴로지]]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 === [[피크민 2#Wii로 즐기는 피크민 2|Wii로 즐기는 피크민 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피크민 2, 앵커=Wii로 즐기는 피크민 2)] Wiiであそぶ ピクミン2 / New Play Control! Pikmin 2 * 일본: 2009년 3월 12일 * 유럽: 2009년 4월 24일 * 호주: 2009년 5월 14일 * 북미: 2012년 6월 10일 === Wii로 즐기는 [[치비로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치비로보!)] Wiiであそぶ ちびロボ! * 일본: 2009년 6월 11일 === [[메트로이드 프라임 2 에코즈#Wii로 즐기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2 다크 에코즈|Wii로 즐기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2 다크 에코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메트로이드 프라임 2 에코즈, 앵커=Wii로 즐기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2 다크 에코즈)] Wiiであそぶ メトロイドプライム2 ダークエコーズ * 일본: 2009년 6월 11일 서구권에서는 [[메트로이드 프라임 트릴로지]]에 수록되어 발매되었다. == 기타 == * Wii 시기는 [[닌텐도]]가 대대적으로 이전 세대의 타이틀을 이식하기 시작한 때이다. 당시 닌텐도는 게임큐브 게임의 이식 뿐만 아니라 [[버추얼 콘솔]]을 통해서도 라인업을 확충했다. 이식을 통해 라인업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Nintendo Switch]] 시기에는 [[Wii U]] 게임의 이식과 각종 고전작의 리마스터, 리메이크가 잦아지면서 이 현상이 특히 더 두드러진다. * 공통적으로 유저들 사이에서 [[게임큐브 컨트롤러]] 비대응을 아쉬워하는 의견이 나타난다. Wii는 기본 버전 기준으로 본체에 게임큐브 컨트롤러 단자가 있기 때문에 게임큐브 컨트롤러 지원이 가능하며, 본 시리즈의 게임들이 Wii 리모컨과 함께 GC컨까지 지원했다면 단순 이식이 아닌 완전판 개념이 되었을 것이다. * 닌텐도 게임큐브 버전과 Wii 버전이 동시에 발매된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와,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메트로이드 프라임 1~3]]의 합본인 [[메트로이드 프라임 트릴로지]]는 이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는다. * 작명이 비슷한 [[Wii로 다함께! 말랑말랑 두뇌교실]] 역시 이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는다. 애초에 이 게임은 [[닌텐도 DS]]로 나왔던 [[말랑말랑 두뇌교실|시리즈 첫 작품]]의 후속작이다. * 닌텐도 프렌차이즈 안에서만 통용되며 타사 프렌차이즈에서는 이 네이밍을 사용하지 않는다. 타사 게임 중 게임큐브 게임이 Wii의 조작에 최적화되어 이식된 대표적인 예로 [[바이오하자드 4]]가 있다. * [[마리오 파워 사커]], [[마리오 스포츠 시리즈#마리오 스타디움 시리즈|슈퍼 마리오 스타디움 패밀리 베이스볼]]처럼 이식작이 아닌 후속작을 통해 게임큐브용 전작의 잠재 수요를 충족한 사례도 있다. == 관련 문서 == * [[Wii/게임 목록]] * [[닌텐도 게임큐브]] *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 * [[메트로이드 프라임 트릴로지]] * [[바이오하자드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