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Nintendo Switch Online 클래식 게임 전용 컨트롤러, rd1=Nintendo Switch Online/클래식 게임/전용 컨트롤러)] [include(틀:닌텐도 DS · Wii · 3DS · Wii U)] || [[파일:Wii_Classic_Controller_White.jpg|width=3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닌텐도 [[Wii]]의 [[Wii 리모컨]] 확장 컨트롤러 중 하나. Wii 리모컨이나 눈차크와 달리 예전의 [[패미컴]]부터 [[게임큐브]]까지의 컨트롤러를 닮은 패드이다. Wii 리모컨에 비해서는 대응 게임이 많지 않은 별매품이지만, [[버추얼 콘솔]]을 플레이할 때 필수적이며 Wii 리모컨에는 없는 L, ZL, R, ZR 버튼과 4개의 버튼을 사용하는 버추얼 콘솔을 플레이하도록 한 것.[* Wii 리모컨은 버튼이 2개이고 슈퍼 패미컴은 4개이기 때문에 버튼 4개를 사용하는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만들어졌다. (사실 모양부터 그때의 느낌을 살리려한 것이지만...)] 그렇지만 일부 Wii 게임들도 호환이 된다. '''[[마리오 카트 Wii]]''',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몬스터 헌터 트라이]], [[소닉 언리쉬드]] Wii 버전, [[소닉 컬러즈]] Wii 버전 등. 대체로 게임큐브 컨트롤러 지원과 같이 된다. 과거의 향수를 불러오기 위해서인지 현 세대 기종에 많이 존재하는 피스톨 그립 모양의 컨트롤러가 아닌 [[슈퍼 패미컴]]의 컨트롤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슈퍼 패미컴 패드를 그대로 재현한 변종도 있다. 그 외에도 이걸 응용한 [[조이스틱]]도 있다. 유선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Wii 리모컨]]에 연결해야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게임큐브 컨트롤러와는 다르게 진동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다. 현재 쇼핑몰에서 구할 수 있으며, [[마리오 카트 Wii]]가 컨트롤러빨을 많이 타는 게임이고 [[마리오 카트 64]] 등 버추얼 콘솔을 하기 위해 필요하니 Wii를 깊이 플레이하는 용도로 사 두는 것도 나쁘진 않은 편. 후면부에는 악세서리 단자가 있으나 사용된 곳이 없어 결국 Pro 버전에서는 삭제되었다. 또한, 아날로그 트리거가 적용된 닌텐도의 마지막 컨트롤러로, L버튼과 R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Pro 버전에서는 이 또한 삭제. == 클래식 컨트롤러 PRO == || [[파일:attachment/Wii/class_shi.jpg]] [[파일:attachment/Wii/class_shi_shiro.jpg]] || [[몬스터 헌터 트라이]] 출시와 같이 발매된 클래식 컨트롤러의 변형. 기본 색상으로 흰색과 검은색이 있으며, 원판과 달리 한국에는 정식 발매되지 않았다. 잡기에 불편한 감이 있었는지 그립을 추가했다. 또 기본 클래식 컨트롤러는 ZL, ZR 버튼이 L, R 버튼 옆에 위치하여 누르기 불편했지만, PRO에서는 L, R 버튼 밑으로 이동되어 누르기 편해졌다. L,R 버튼에도 변화가 있는데, 오리지널 클래식 컨트롤러가 L, R 버튼이 아날로그식이었다면 프로는 디지털 방식이다. 그러나 대응 소프트 중에서 섬세한 트리거 조절이 꼭 필요한 경우는 없어서, PRO 버전만 사용해도 제대로 플레이 가능하다. 다만 [[게임큐브]] 게임 플레이시에는 애로사항이 생길수 있다. 이 외의 기능은 클래식 컨트롤러와 완전 동일하며, 사용 기기에서도 오리지널과 같은 주변기기로 인식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 [[파일:external/www.nintendofuse.com/ey1NG.jpg|width=200]] || 해외 발매된 [[골든 아이(게임)|골든 아이 007]] [[골든 아이(2010)|Wii판 리메이크]]의 경우 이 게임에 테마를 맞춘 금색 클래식 컨트롤러 PRO를 한정판 번들로 같이 팔기도 하였다. == 호환 기기 == 클래식 컨트롤러는 Wii 전용 컨셉이 강하지만, 사실 Wii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는 기기가 어느 정도 있다. * [[Wii]]: 대표적으로 쓰이는 게임기. [[Wii 리모컨]]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 [[Wii U]]: Wii의 후속기기인만큼 Wii 리모컨에 연결하면 사용은 가능하지만, Wii U PRO 컨트롤러 쪽이 훨씬 사용이 편하고 대응하는 범위도 넓기 때문에 여기서는 활용도가 높지 않다. * [[NES 클래식 에디션]], [[닌텐도 클래식 미니 슈퍼 패미컴]], [[SNES 클래식 에디션]]: 모두 Wii 리모컨의 확장 컨트롤러 단자를 지원하여 클래식 컨트롤러에 대응한다. 여기서 홈버튼이 각 본체의 리셋 버튼 역할을 해기 때문에 기본 컨트롤러를 사용할 때보다 더 편리한 면이 있다. * 그 외 연결을 지원하는 USB 어댑터: 타사에서 판매하는 Wii 리모컨 확장 컨트롤러 연결부가 있는 USB 연결 어댑터를 사용하면 PC나 [[닌텐도 스위치]]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 기타 == * 한 기종 내에서 업계 표준에 특화된 조작 스타일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닌텐도 최초로 [[프로컨]]의 개념에 해당되는 컨트롤러다. 닌텐도는 Wii 리모컨 보다 기본 컨트롤러에 조작부와 기능이 많아진 [[Wii U]], [[닌텐도 스위치]]에 와서도, 기본 컨트롤러보다 게임에 특화된 프로 컨트롤러를 따로 판매한다. * 이름의 경우는 전술 했듯 과거 슈퍼 패미컴과 같은 게임패드를 리모컨을 사용하는 Wii 버전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클래식'이라는 이름이 들어갔다. 때문에 이름이 상당히 잘어울린다는 말이 많은편. || [[파일:Wii_Classic_Controller_White.jpg|width=250]][[파일:Super_Famicom_Controller.jpg|width=350]] || || Wii 클래식 컨트롤러와 슈퍼 패미컴 컨트롤러 외형비교. || * 닌텐도의 게임패드들 중 유일하게 ABXY키가 소문자로 되어있다.[* 소문자로 되어있다는 것만 포함하면 AB가 소문자인 [[게임보이 어드밴스#s-3.3|게임보이 미크로]]도 해당.] == 관련 문서 == * [[Wii 리모컨]]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Wii, version=524)] [[분류:게임패드]][[분류:W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