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The Beatles)] ||<#fff> '''While My Guitar Gently Weeps의 수상 내역'''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135, 연도=2004, 순위2=136, 연도2=2010)]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곡, 순위=38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비틀즈 100대 명곡)] ---- [include(틀:NME 선정 비틀즈 100대 명곡)]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247)]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화이트 앨범 명곡 순위)] ---- [include(틀:기타 월드 선정 100대 기타 솔로 명곡)] ---- }}} || ||<-2><#fff> {{{+1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FDg-pgE0Hk, height=250, width=100%)]}}} || || '''앨범 발매일''' ||[[1968년]] [[11월 22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9D9B9C; background: #FFFFFF; font-size: .9em" [[The Beatles|{{{#9D9B9C '''The Beatles'''}}}]]}}} || || '''장르''' ||[[하드 록]], [[블루스]] || || '''재생 시간''' ||4:46 || || '''작사/작곡''' ||[[조지 해리슨]] || || '''프로듀서''' ||[[조지 마틴]] || || '''스튜디오''' ||[[애비 로드 스튜디오|EMI]] || || '''레이블''' ||[[애플 레코드|애플]]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록밴드]] [[비틀즈]]의 1968년 노래. [[The Beatles]] 앨범의 7번 트랙으로 수록되어 있다. [[조지 해리슨]]이 작곡한 노래로 '''조지 해리슨의 최고의 명곡 중 하나'''로 반드시 꼽히며 화이트 앨범 최고의 명곡 중 하나로 꼽힌다. 비틀즈 노래 중 기타 솔로가 돋보이는 편인데, 조지의 친구인 [[에릭 클랩튼]]이[* 이 당시 에릭은 크림 소속으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었다.] 스튜디오에 와서 연주해달라는 연락을 받고 기타 솔로를 연주해 주었다. [* 에릭 클랩튼은 처음에 제안을 받았을 때 '왜지? '''비틀즈의 리드 기타리스트'''인 사람이 왜 나한테 이런 제안을?'이라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동시에 이런 제안을 받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나, 라는 생각도 하면서 작업에 참여했는데, 조지가 에릭을 별 말 없이 스튜디오로 데려간 후에 제안을 해서 조지에게 기타를 빌려서 녹음했다고 한다.] 비틀즈 멤버가 아닌 아티스트가 곡의 녹음에 직접 참여한 것은 당시로서는 거의 최초로 있는 일이었다.[* 이후 [[빌리 프레스턴]]이 Let It Be 세션에 참가하며 이 기록은 깨졌다. 다만 화이트 앨범 세션 도중 [[도어즈]] 소속으로 유명한 [[짐 모리슨]]이 [[Happiness Is a Warm Gun]]의 코러스 보컬을 맡아달라는 부탁을 받았다가 거절한 일은 있었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싱글로 발매되기도 했다. 훗날 조지 해리슨이 사망한 이후 그를 추모하기 위해 열린 콘서트에서 에릭 클랩튼이 리드보컬을 맡았다. == 배경 == 조지 해리슨이 어머니의 집에 있을때 작곡했다. 모든 것은 우연이 아니라 연결되어 있다는 <[[주역]]>을 접한 조지가 책을 펼쳐 무작위로 나온 글귀를 소재로 작곡해보기로 했는데, Gently Weeps라는 구절[* 원문은 주역의 중부괘에 관한 설명인 것으로 보인다.「六三, 得敵, 或鼓或罷, '''或泣'''或歌。」("육삼(六三)은 적을 만났는데, 혹은 북을 울렸다가 혹은 그만두었다가, '''혹은 울었다가''' 혹은 노래했다가 한다.") 중부괘는 마음을 비운 경지를 상징한다. 여기서 육삼은 자신과 비등한 역량을 지닌 적수를 상징한다. 이 괘가 나왔다면 부정한 육삼(六三)과의 관계를 단절하고, 진실한 구오(九五)를 따름으로써 올바른 신뢰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이 나와 제목이 붙여지게 되었다. 화이트 앨범 녹음 당시 [[존 레논]]과 [[폴 매카트니]]는 자신들의 곡만 녹음하느라 조지의 녹음에 시큰둥했는데, 조지가 에릭 클랩튼을 불러오자 스튜디오 분위기가 화기애애해졌다고 한다. == 가사 == ||<-2><#fff> ---- {{{+2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 I look at you all, see the love there that's sleeping 난 당신들을 보고, 잠자고 있는 사랑을 보아요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내 기타가 부드럽게 흐느끼는 동안 I look at the floor and I see it needs sweeping 난 바닥을 보고, 그것을 쓸어야 한다는 걸 알아요 Still my guitar gently weeps 아직도 내 기타는 부드럽게 흐느껴요 I don't know why nobody told you 왜 아무도 당신에게 말해 주지 않았을까요 How to unfold your love 당신의 사랑을 어떻게 여는지 I don't know how someone controlled you 어떻게 누군가가 당신을 통제했을까요 They bought and sold you 그들은 당신을 사고 팔았죠 I look at the world and I notice it's turning 나는 세상을 보고, 그것이 바뀌고 있단 걸 알아채요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내 기타가 부드럽게 흐느끼는 동안 With every mistake we must surely be learning 모든 실수를 통해 우리는 반드시 배워야 해요 Still my guitar gently weeps 아직도 내 기타는 부드럽게 흐느껴요 I don't know how you were diverted 어떻게 당신이 바뀌었을까요 You were perverted too 당신은 도착되기도 했죠 I don't know how you were inverted 어떻게 당신이 뒤바뀌었을까요 No one alerted you 아무도 당신에게 알리지 않았죠 I look at you all, see the love there that's sleeping 난 당신들을 보고, 잠자고 있는 사랑을 보아요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내 기타가 부드럽게 흐느끼는 동안 Look at you all 당신들을 봐요 Still my guitar gently weeps 아직도 내 기타는 부드럽게 흐느껴요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o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yeah, oh, ooh ---- [[파일:비틀즈 로고.svg|width=100]] || == 기타 == [youtube(VJDJs9dumZI)] *[[Anthology 3]]에 어쿠스틱으로 연주한 버전이 실려있다. 이 버전을 기반으로 [[Love(비틀즈 음반)|Love]] 앨범에서는 스트링 세션이 추가되어 한 번 더 편곡을 거쳤다. 비틀즈 공식 [[VEVO]] 채널에는 원곡이 아니라 이 버전의 뮤직비디오가 올라와있다. *일본 만화 [[죠죠의 기묘한 모험]] 5부 [[황금의 바람]]의 등장인물 [[기아초]]의 기술 이름의 모티브가 되었다. 기아초의 스탠드 이름도 앨범 이름에서 따온 [[화이트 앨범(죠죠의 기묘한 모험)|화이트 앨범]]. * 2016년 개봉한 [[쿠보와 전설의 악기]]에서 엔딩곡으로 쓰였다. 원곡이 아닌 [[레지나 스펙터]]가 리메이크한 버전이다. [youtube(CrTMc2i6Lzc)] * 조지의 추모 콘서트 격인 'Concert for George'에서 무려 [[폴 매카트니]]와 [[에릭 클랩튼]]이 듀엣으로 부른다. 또한 조지 해리슨의 아들 다니 해리슨도 이 무대에 참가하여 기타 연주를 보여주었다.--아무리 봐도 아버지랑 똑같이 생겼다.--노래를 부르지는 않지만 [[링고 스타]]가 드럼을 연주하며, [[일렉트릭 라이트 오케스트라]]의 제프 린도 기타를 연주하는 모습이 보인다.[* 이외에도 레이 쿠퍼, 짐 카팔디, [[톰 페티]], 아누슈카 샹카르([[라비 샹카르]]의 딸이자 시타르 연주자) 등이 이 콘서트에 등장하였다.] [youtube(dWRCooFKk3c)] * 조지 해리슨이 2004년에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면서, [[프린스(음악가)|프린스]]가 기념 공연 차 기타를 연주했는데, 이는 역대 최고의 기타 명연주 중 하나로 손꼽힌다. 놀라운 점은 당시 프린스는 별 준비도 하지 않고 기타를 들고 올라가서 즉흥적으로 위의 솔로를 연주했다고 한다. 프린스는 이 연주에 [[텔레캐스터]]를 사용했는데,[* [[Fender]] 사의 텔레캐스터는 아니고, H.S.Anderson 사에서 만들고 Hohner 사의 큰 은색 로고가 박힌 Mad Cat 텔레캐스터이다. 당시 이 모델의 텔레캐스터 중 호너 사의 로고가 박혀서 출시된 것은 불과 몇 백 대에 불과했는데, 그 중에 하나가 우연히 프린스의 눈에 띄어서 함께하게 된 것. 이후에 프린스 시그니쳐 기타로 몇 번 리이슈되기도 했지만 헤드의 호너 로고 형태가 프린스가 실제로 쓴 것과는 조금 다르다.] 보면 알겠지만 무대를 끝내고 이 기타를 관객들에게 '''[[기부|던져버렸기]]''' 때문에 이후 이 기타의 행적을 두고 흥미로운 기사도 나왔다.[[https://www.thecurrent.org/feature/2018/03/15/what-happened-to-princes-guitar-after-while-my-guitar-gently-weeps|#]] [youtube(h9JZWhjQDvc)] *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의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에 수록된 She's Electric은 후렴구에서 이 곡의 멜로디를 살짝 변형해 가져다 썼다. * [[에미넴]]의 정규 4집 앨범인 [[The Eminem Show]] 수록곡인 Haile's song은 본래 이 곡을 샘플링하려 했으나 작곡자 조지 해리슨의 유족이 거절해서 무산되었다. 그래서 멜로디가 최소한의 표절시비가 안붙을 만한 선에서 비슷한 것. [[분류:블루스 록]][[분류:1968년 노래]][[분류:비틀즈 노래]][[분류:The Beat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