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The Supremes]]의 싱글}}}''' || || "[[Run Run Run(슈프림스)|Run Run Run]]"[br](1964) ||<|2> → || '''Where Did Our Love Go'''[br](1964) ||<|2> → || "[[Baby Love]]"[br](1964)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9)]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2> '''{{{+1 {{{#ffffff Where Did Our Love Go}}}}}}''' || ||<-5><:> [[파일:Where_Did_Our_Love_Go.jpg|width=340]] || ||<:><#7d7d7c> {{{#ffffff '''수록 음반'''}}} ||<(> [[Where Did Our Love Go(음반)|Where Did Our Love Go]] || ||<:><#7d7d7c> {{{#ffffff '''아티스트'''}}} ||<(> [[The Supremes]] || ||<:><#7d7d7c> {{{#ffffff '''B-Side'''}}} ||<(> "He Means the World to Me" || ||<:><#7d7d7c> {{{#ffffff '''발매일'''}}} ||<(> 1964년 6월 17일 || ||<:><#7d7d7c> {{{#ffffff '''녹음 기간'''}}} ||<(> 1964년 4월 8일 || ||<:><#7d7d7c> {{{#ffffff '''스튜디오'''}}} ||<(> [[모타운|히츠빌 U.S.A. 스튜디오 A]]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 || ||<:><#808080> {{{#ffffff '''장르'''}}} ||<(> [[팝 음악|팝]], [[소울 음악|소울]] || ||<:><#808080> {{{#ffffff '''재생 시간'''}}} ||<(> 2:33 || ||<:><#808080> {{{#ffffff '''레이블'''}}} ||<(> [[Motown]] || ||<:><#808080> {{{#ffffff '''송라이터'''}}} ||<(> Holland–Dozier–Holland || ||<:><#808080> {{{#ffffff '''프로듀서'''}}} ||<(> Brian Holland, Lamont Dozier || [목차] [clearfix] == 개요 == [[슈프림즈]]의 싱글이며 같은 해에 발매된 이들의 2집 앨범 [[Where Did Our Love Go(음반)|Where Did Our Love Go]]의 네번째 싱글로 1964년 6월 17일에 발매되었다. == 상세 == 밝은 멜로디의 모타운 사운드 위로 [[다이애나 로스]]의 달달한 보컬이 올라간 사랑 노래이다. 이 곡의 대히트로 [[슈프림즈]]는 인기 정상에 올랐고 미국 음악계에서 모타운의 입지가 더 커지기 시작했다. == 오디오/비디오 == || '''오디오''' || ||[youtube(pbW6ekaTaUs)] [youtube(dfl3EYFjHJU)]|| || '''비디오''' || ||[youtube(_pS0vbqMLqk)] [youtube(qTBmgAOO0Nw)]|| == 가사 == ||<:> '''{{{+4 Where Did Our Love Go}}}''' Baby, baby 자기야, 자기야 Baby don't leave me 자기야 날 떠나지 마 Ooh, please don't leave me 오, 제발 날 떠나지 마 All by myself 혼자서 말이지 I've got this burning, burning 난 지금 불타고 있어 Yearning feelin' inside me 내 안에 갈망해 Ooh, deep inside me 내 깊은 마음이 And it hurts so bad 그리고 너무 아파 You came into my heart 넌 내 마음에 들어왔어 So tenderly 부드럽게 With a burning love 불타는 사랑으로 That stings like a bee 벌처럼 쏘는 Now that I surrender 이제 내가 항복했으니 So helplessly 무력하게 You now wanna leave 넌 이제 떠나고 싶겠지 Ooh, you wanna leave me 오, 넌 나로부터 떠나고 싶겠지 Ooh, baby, baby 오, 자기야, 자기야 Where did our love go? 우리의 사랑은 어디로 간 거야? Ooh, don't you want me 오, 넌 날 원하지 않아 Don't you want me no more 더 이상 날 원하지 않아 Ooh, baby 오, 자기야 Baby, baby 자기야, 자기야 Where did our love go? 우리의 사랑은 어디로 간 거야? And all your promisses 그리고 자기의 모든 약속 Of a love forever more 영원한 사랑의 약속 I've got this burning, burning 난 지금 불타고 있어 Yearning feelin' inside me 내 안에 갈망해 Ooh, deep inside me 오, 내 깊은 마음이 And it hurts so bad 그리고 너무 아파 Before you won my heart 네가 내 마음을 이기기 전에 You were a perfect guy 너는 완벽한 사람이었지 But now that you got me 하지만 이제 네가 나를 얻었으니 You wanna leave me behind 넌 날 내버려두고 싶겠지 (Baby, baby) ooh, baby (자기야, 자기야) 오, 자기야 Baby, baby don't leave me 자기야, 자기야 날 떠나지 마 Ooh, please don't leave me 오, 제발 날 떠나지 마 All by myself 혼자서 말이지 Ooh, baby, baby 오, 자기야, 자기야 Where did our love go? 우리의 사랑은 어디로 간 거야? [[파일:슈프림즈로고.jpg|width=100]]|| == 차트 성적 == [include(틀:빌보드 핫 100 1위 곡, 전번_곡=Everybody Loves Somebody, 전번_아티스트=딘 마틴, 전번_1위_기간=1주, 이번_곡=Where Did Our Love Go, 이번_아티스트=슈프림즈, 이번_1위_기간=2주 연속, 후번_곡=The House of the Rising Sun, 후번_아티스트=애니멀스, 후번_1위_기간=3주 연속)] [[빌보드 핫 100]]에서 2주 연속 1위를 기록했다. [[1964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선 10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586위에 올랐다. [[분류:슈프림즈]][[분류:모타운 음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1964년 노래]][[분류:1964년 싱글]][[분류:팝]][[분류:소울 음악]][[분류:홀랜드-도지어-홀랜드]][[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