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Led Zeppelin IV]][[분류:1971년 노래]][[분류:블루스]][[분류:블루스 록]][[분류:레드 제플린 노래]][[분류:하드 록]] [include(틀:Zoso)] ||<#dcd2d1> '''When the Levee Breaks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7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24)]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927)]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레드 제플린 40대 명곡)]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1970년대 명곡, 순위=201)] ---- }}} || ||<#dcd2d1><-2> '''{{{+1 When the Levee Break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JM3fodiK9rY, width=100%, height=200)]}}} || || '''앨범 발매일''' ||[[1971년]] [[11월 8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d2d1; font-size: 1.0em" [[Led Zeppelin IV|[[파일:Zoso.png|height=17]]]]}}} || || '''스튜디오''' ||헤들리 그레인지 || || '''장르''' ||[[블루스]], [[블루스 록]], [[하드 록]] || || '''러닝 타임''' ||7:09 || || '''작사/작곡''' ||[[플랜트-페이지]], [[존 폴 존스]], [[존 본햄]] || || '''프로듀서''' ||[[지미 페이지]] || || '''레이블''' ||[[애틀랜틱 레코드|[[파일:애틀랜틱 레코드.pn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H0-WXUFY2k)]}}} || ||<#dcd2d1> ''' 2022년 버전 ''' || [[영국]]의 록밴드 [[레드 제플린]]의 4집 [[Led Zeppelin IV]]에 수록된 곡 == 상세 == 헤비 메탈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앨범의 마지막 곡으로, 오래된 블루스 고전을 리메이크한 곡이다. 원곡은 [[캔자스 조 맥코이]]와 멤피스 미니가 1929년에 만든 델타 블루스로, 1927년 미시시피 강 대홍수 때의 상황을 노래한 것이라고 한다. [[Led Zeppelin IV|4집]]에서 가장 이색적인 곡으로, 레드 제플린은 1집 시절부터 수많은 블루스 곡을 --표절--리메이크했지만 이 정도로 독특한 분위기의 곡은 찾아보기 힘들다. 그 무엇보다 강력한 존 본햄의 육중한 드럼이 곡을 이끌고 나가며 상승하는듯한 기타 리프와 구슬프게 울리는 슬라이드 기타,날카로운 하모니카와 샤우팅이 곡을 가득 채우고 있다. 단순한 12마디 블루스를 넘어 헤비함까지 보여지는 듯한 사운드이다. 무엇보다 이 곡에서 유명한 점은 역시 드럼 사운드인데, 처음에 잘 들어보면 드럼을 칠때 메아리 치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이 거대한 공간감을 담은 사운드는 지미 페이지의 인터뷰에 따르면 당시 녹음을 하던 헤들리 그레인지 저택의 계단 아래에 드럼을 두자 자연적으로 울리는 잔향음이 굉장히 거대해서 그 위층에 마이크를 매달고 녹음하여서 얻어냈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 사운드 엔지니어였던 앤디 존슨은 이뿐만 아니라 딜레이 이펙터인 빈슨 에코렉 또한 사용했다고 밝혔다.]그러한 공간감에 의지하는 곡이여서 그런지 레드 제플린 활동 시절 단 한번도 라이브로 선보이지 않았던 곡이기도 하다.[* 또한 곡의 중후반부에는 슬라이드 기타가 굉장히 중요하게 나오는데 1기타 체제인 레드 제플린이 이 곡을 라이브에서 완전히 선보이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다만 이후 플랜트 앤 페이지 시절에는 어쿠스틱으로 편곡해서 이 곡을 연주하기도 하였고,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될때는 원곡과 같은 버전으로 연주하였다.[* 이때 로버트 플랜트가 기타를 잡는 것을 볼 수 있다!!] 미국의 힙합 그룹 [[비스티 보이즈]]의 데뷔앨범 <[[Licensed to Ill]]> 의 첫번째 트랙 이 이 곡을 샘플링 한 노래이다. 또한 미국의 힙합 프로듀서 [[닥터 드레]]의 첫 솔로앨범 [[The Chronic]]의 수록곡 도 이 곡을 샘플링 한 노래이다. 이 밖에도 [[에미넴]]이 [[Kim(노래)|이 곡을 샘플링]] 하는 등 수많은 가수들이 100곡이 넘는 곡에 [[샘플링]]을 한 유명한 곡이다.[[https://www.whosampled.com/Led-Zeppelin/When-the-Levee-Breaks/sampled/|출처]] == 가사 == ||<:> ---- '''{{{+2 When the Levee Breaks}}}''' ---- If it keeps on rainin', levee's goin' to break 계속해서 비가 온다면, 둑은 무너질 거라네 If it keeps on rainin', levee's goin' to break 계속해서 비가 온다면, 둑은 무너질 거라네 When the levee breaks, I'll have no place to stay 둑이 무너질 때, 내가 있을 곳은 없지 Mean old levee taught me to weep and moan, Lord 나쁜 낡은 둑은 내가 울고 신음하도록 가르쳤다네, 주여! Mean old levee taught me to weep and moan 나쁜 낡은 둑은 내가 울고 신음하도록 가르쳤다네 It's got what it takes to make a mountain man leave his home 그것은 사냥꾼도 집을 떠나도록 하는 힘을 가졌다네 Oh well, oh well, oh well 어쩌겠나 어쩌겠나 어쩌겠나 Don't it make you feel bad 그걸로 기분을 망치진 말게 When you're tryin' to find your way home 집으로 가는 길을 찾고 있을때 You don't know which way to go? 어느 길로 가야 할지 모르는가? If you're goin' down south 그대가 남쪽으로 내려간다면 They got no work to do 그곳엔 할 일이 없다네 If you're going down to Chicago 그대가 시카고로 간다면 A-ah, a-ah, a-ah Cryin' won't help you, prayin' won't do you no good 울거나 기도해봤자 소용 없지 No, cryin' won't help you, prayin' won't do you no good 울거나 기도해도 소용이 없대도 When the levee breaks, mama, you got to move, ooh 둑이 무너진다면, 그대여, 움직여야 한다네 All last night sat on the levee and moaned 어젯밤 내내 둑에 앉아 울었지 All last night sat on the levee and moaned 어젯밤 내내 둑에 앉아 울었지 Thinkin' 'bout my baby and my happy home 내 아이들과 행복한 고향을 생각하며 Ah-oh Ah, ah, ah, ah Ah, ah, ah, ah Goin' I'm goin' to Chicago 시카고로 간다네 Goin' to Chicago 시카고로 가 Sorry, but I can't take you, ahhh 미안하지만, 그대를 데려갈 순 없네 Goin' down, goin' down now 내려간다, 내려간다네 Goin' down, goin' down now Goin' down, goin' down Goin' down, goin' down Goin' down, goin' down now Goin' down, goin' down now Goin' down, goin' down now Goin' down, goin' down-down-down-down-down ---- [[레드 제플린|[[파일:레드 제플린.png|width=13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