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단편영화]][[분류:루니 툰]][[분류:1957년 영화]][[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선정 영구 보존 영화, 연도=1992)] [youtube(2TrLexTGHkg)] [목차] == 개요 == 1957년 7월 6일 개봉한 단편 애니메이션. 시간은 6분 53초로, [[루니 툰]](메리 멜로디즈 단편)의 에피소드이며 훗날 [[척 존스]]의 걸작으로 재조명을 받은 작품이기도 하다. == 설명 == 제목의 대사를 유추해 보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듯, [[벅스 버니]]가 주역인 에피소드이며 상대역은 엘머 퍼드인 보통 루니 툰과 다르지 않은 구성이다. 작품의 숨겨진 의의는 전반적으로 [[리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의 '지그프리트'와 '신들의 황혼')에 줄거리를 맞추어 서사를 루니 툰 본연의 전개와 최대한 흐트러지지 않게끔 벅스와 엘머의 캐릭터 동작을 결합시킨 점과 이로 인한 오페라의 [[오마쥬]]가 곳곳에 숨겨져 있음에도 그다지 어색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전에 한 차례 니벨룽의 반지가 나온 에피소드는(Herr meets hare, [[선전 애니메이션]]) 있었지만, 아주 짤막하게 나왔으며 전개도 코미디풍에 가까운 연출이라 이 단편처럼 돋보이는 전개는 아니었다. 이 작품을 제작하기 위해 척 존스는 보통 단편 제작보다 6배의 시간과 비용이 필요했다고 하며, 제작 시간을 비밀리에 재배정했다고 발언하였다. 제작자 에드워드 셀저는 원래 5주 제작 예정이던 기간을 스탭들이 2주 가량 더 작업 기간을 늘려 제작한 단편이라고 언급했는데, 이전에 만들던 [[로드러너(워너브라더스)|로드 러너]] 단편 zoom and bored 시간 카드를 미리 제작한 것처럼 배치하는 등 꼼수를 썼었다고 한다. 척 본인에 의하면 로드 러너 단편을 만드는 데는 제작 시간이 빠르고 만드는 예산도 저렴해서 애니메이터들이 시간과 제약 내에 What's Opera, Doc?의 모든 제작 작업을 마칠 수 있었다고 한다. 개봉 당시에는 현재와 같은 주목을 받진 못했지만 1992년 [[미 국립영화등기부]]에서 할리우드 메이저 스튜디오 제작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로썬 첫번째로 등재되는 공적을 얻었으며, 1994년 발매한 [[최고의 카툰 50선]]의 (애니메이션 전문가 1천 명의 투표 결과를 종합해 정리한) 메인 리스트 1번작으로 당당히 선정된 바 있다. == 스태프 == * 애니메이션 감독 : [[척 존스]] * 스토리 작가 : 마이클 멀티즈(Michael Maltese) * 제작자 : 에드워드 셀저(Edward Selzer) * 애니메이터 : 켄 헤리스(Ken Harris), 리처드 톰슨(Richard Thomson), 에이브 르비토우(Abe Revitow) * 레이아웃 : 모리스 노블(Maurice Noble) * 배경 : 필립 드가드(Phillip De Guard) * 음악 : 밀트 프랭클린(Milt Franklyn) - 리하르트 바그너 원작, 마이클 멀티즈 삽입곡 작사 * 애니메이션 제작사 : 워너브라더스 카툰즈 * 배급 : [[워너 브라더스]] == 여담 == * 카툰네트워크 코리아에선 <뭔 오페라셔?>로 번역해 방영하였다. * 초반부와 후반부에 자연재해를 일으키는 엘머의 모습은 [[환타지아(애니메이션)|환타지아]]의 악역 [[체르노보그]]를 패러디하였다. * [[http://cartoonresearch.com/index.php/cartoons-considered-for-an-academy-award-1957/]] 애니메이션 역사가 제리 벡(Jerry Beck)이 카툰리서치 닷컴에 업로드한 링크 이미지(아카데미상 단편 카툰 제출 목록 자료)를 보면 [[아카데미상|아카데미 위원회]]에서도 후보군으로 선별했던 작품들 중 1편에 속했음을 알 수 있다. * 다른 관점으로 본다면 [[텍스 에이버리]]가 연출한 [[A Wild Hare]]의 [[정신적 후속작]]으로도 평가할 수 있는데, 두 단편의 스토리 전개도 여러모로 닮은 점이 많으며 2012년 공개된 (에이버리를 주제로 다룬) [[다큐멘터리]] King Size Comedy의 인터뷰 영상들 중에 제리 벡이 그러한 취지로 발언하며 언급한 장면이 있다. == 노래 가사 == 성우는 [[멜 블랭크]], 아서 Q. 브라이언이 맡았다. 한국판은 [[강수진(KBS 성우)|강수진]], [[장승길]]. ||<(> 엘머: Be very quiet, I'm hunting wabbits(모두 조용해... 난 토끼 [[사냥꾼]]) (절벽에서 내려와 사뿐히 길을 걸으며) (토끼 발자국을 발견하고) Wabbit tracks!(토끼 발자국이네!) ([[창]]을 토끼 구멍에 마구 들쑤시며) Kill the wabbit! Kill the wabbit! Kill the wabbit!(토끼를 죽여, 토끼를 죽여, 토끼를 죽여!) 벅스: Kill the wabbit?(토끼를 죽여??) 엘머: YO HO HO! YO HO HO! YO HO...(야홋호호, 야홋호호, 야호...) 벅스: Oh mighty warrior of great fighting stock(오, 힘 세고 위대한 [[전사(직업)|전사]]시여...) Might I inquire to ask eh... what's up doc?(한 가지 물어 볼게요... 뭔 일이셔..?) 엘머: I'm going to kill the wabbit!(난 [[토끼]]를 죽일 것이다) 벅스: O mighty warrior, 'twill be quite a task How will you do it, might I inquire to ask? 엘머: I will do it with my spear and magic helmet.(나의 창과 [[마법]] 투구를 쓸 것이다!) 벅스: Spear and magic helmet?(당신의 창과 마법 [[투구]]?) 엘머: Spear and magic helmet.(창과 마법 투구!) 벅스: Magic helmet?(마법 투구?) 엘머: Magic helmet!(마법 투구!!) 벅스: Magic helmet.(마법 투구래요) (절벽 꼭대기로 올라가며 마법의 시전을 준비하며) 엘머: Yes, magic helmet, and I give you a sample!(그래, 마법 투구, 내 실력을 보여 주마!) (마법을 체감하고 재빠르게 달려가는 벅스를 바라보다) 엘머: That was the wabbit!(아잇, 토끼였잖아!) (전장에 브룬휠드로 변장한 벅스를 발견하고) 엘머: Oh, Bwoonhilda, you're so wovely.(오, [[브룬휠트|브룬휠드]], 아름답소...) 벅스: Yes, I know it, I can't help it.(네, 알아요… 타고났죠.) 엘머: Oh, Bwoonhilda, be my wove!(오, 브룬휠드.. 내 사랑이 되주오!) (둘 간의 발레가 끝난 이후) 엘머: Weturn, my wove, a fire burning inside me. 벅스: Return my luv, I want you always beside me.(이리.. 와요, 난 당신을 항상 그렸죠) 엘머: Wove wike ours must be(사랑은 아름다워..) 벅스: Made for you and for me.(우릴 위해 있죠..) 엘머: Return, won't you return my love... for my love is yours.(어서, 돌아와 내 사랑.. 사랑은 우리 것...) (벅스가 한눈팔고 도망간 걸 알아채고 분노하며) 엘머: I'll KILL the wabbit!(난 토끼를 죽일 거다!!) 엘머: North winds bwow, south winds bwow. typhoons, Hurricanes...([[폭풍]]아 일어나라! 북풍아 불어라, 남풍아 불어라! [[태풍]], [[허리케인]], [[지진]]도..) SMOG![* 이 부분 한정으로 아서 Q. 브라이언의 음성이 쓰이지 않았다.]([[스모그]]여!!!) 엘머: Thunder, wigtning, stwike the wabbit!(번개여, 쳐라!! 토끼를 쳐라!!) (온갖 [[천재지변]]이 사라지고 초토화된 산마당을 보며) 엘머: What have I done? I've killed the wabbit. Poor wittle bunny(내가 무슨 짓을? 내가 토낄 죽였어.. 작고 귀여운 토끼를.. 작고 귀여운 토끼를..) . 벅스: Well, what did you expect from an opera, a happy ending?(에, 오페라는 항상 이래요. 설마 [[해피 엔딩]]이요? 꼴까닥) (직후 That's all Folks 타이틀 카드로 전환되며 막이 내린다.) || == 비슷한 에피소드 == 작품의 전개와 동일한 [[뮤직 비디오]]적인 스토리가 진행되는 루니 툰 에피소드들을 정리했다. * A Corny Concerto * Baton Bunny * Rabbit of Seville * Rhapsody Rabbit * [[One Froggy Evening]] == 관련 항목 == * [[루니 툰]] * [[National Film Reg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