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fff '''What a Wonderful World{{{#fff 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8)]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171, 연도=2021)] ---- }}} || ||<-2> '''{{{+1 What a Wonderful Worl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Brd_3VMC3c, width=100%, height=250)]}}} || || '''발매''' ||[[1967년]] [[9월 1일]]|| || '''녹음''' ||[[1967년]]|| || '''녹음실''' ||[[미국]] [[네바다 주]] [[라스베가스]] 유나이티드 레코딩|| || '''장르''' ||[[팝 음악|전통 팝]], [[재즈]]|| || '''길이''' ||2:21|| || '''작사/작곡''' ||밥 티엘, 조지 데이비드 와이스|| || '''프로듀서''' ||밥 티엘|| || '''레이블''' ||ABC|| [목차] [clearfix] == 개요 == [[1967년]] 발표된 [[루이 암스트롱]]의 노래. 아름다운 세상에 대해 찬사를 바치는 곡이다. [[미국]]에서는 크게 히트하지 못했지만 [[영국 차트|영국 싱글 차트]]에서는 1위를 기록했다. == 가사 == ||<#3E93D0><:> ---- '''{{{+2 What a Wonderful World}}}''' ---- I see trees of green, red roses too 초록 나무와 빨간 장미를 보았네 I see them bloom for me and you 나와 너를 위해 피어나는 모습이여 And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나는 생각하네, 이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I see skies of blue and clouds of white 푸른 하늘과 하얀 구름을 보았네 The bright blessed day, the dark sacred night 밝고 은혜로운 낮과 어둡고 거룩한 밤 And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난 다시 생각하네, 이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The colors of the rainbow so pretty in the sky 저 하늘 위의 아름다운 무지개가 Are also on the faces of people going by 지나가는 사람들의 얼굴에도 피었네 I see friends shaking hands saying how do you do 친구끼리 악수를 하며 '잘 지내느냐' 묻는 걸 봤네 But they're really saying, 'I love you.' 하지만 진실은 '너를 사랑한다'는 뜻이지 I hear baby's cry, and I watched them grow 아기들이 우는 것을 듣고, 자라가는 것을 봤네 They'll learn much more than I'll ever know 녀석들은 내 평생의 앎보다 더 많은 걸 배울 테지 And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나는 생각하네, 이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Yes,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그래, 나는 생각하네, 이 얼마나 멋진 세상인가 ---- || == 커버 == * [[https://www.youtube.com/watch?v=wRMrAQuccEo|펑크록 버전]]. [[라몬즈]]가 [[커버(음악)|커버]]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BbqGmY9FII|영상]]. [[Windows Vista]] 홍보용 노래로 쓰였다. * [[https://youtu.be/1ah96-6aOng|The Innocence Mission 버전]]. [[https://youtu.be/Ipwsm0e33Qk|일회용품 공익광고]]에서 쓰였다. * [[https://www.youtube.com/watch?v=sBbqGmY9FII&t=15s|영상]]. [[Windows Vista]] 홍보용 노래로 쓰였다. * [[https://www.youtube.com/watch?v=EJC0FhA8gJM|Viva!! 버전]]. 이쪽은 [[https://youtu.be/oL_Vach2Z2Q|두산 광고]]에서 쓰였다. * [[https://youtu.be/qOZb7KeJUQ8|CDZA]] 16가지 서양음악의 장르들로 리메이크했다. * [[https://youtu.be/xrzXLwrfppY|What a Wonderful World]]: 밴드 [[못(밴드)|못]]의 리메이크 곡 * [[비선형(음반)]]: 밴드 [[못(밴드)|못]]의 1집 2번 트랙으로, 이 곡이 커버되었다. 원곡의 희망차고 감동적인 면모를 180도 뒤집어 밴드 특유의 음울하고 침잠한 분위기를 살린 편곡이 인상적이다. == 특징 == 이 곡을 부를 때의 [[루이 암스트롱]]의 목소리를 흉내낼 때 [[인두음]]과 비슷한 소리가 난다. == 대중매체 == 세상의 아름다움을 찬탄한 노래인지라 전술한 광고들과 같은 자연, 환경 관련 영상에 쓰이는 경우가 많다. 반면 아름다운 멜로디와 가사가 오히려 [[상황과 배경음악의 부조화|역설]]적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 종종 참혹한 현실 상황에 삽입곡으로 들어가서 보는 이의 멘탈을 부숴놓곤 한다. [youtube(FzFIDTs3WtI)] 1987년작 [[굿모닝 베트남]]의 명장면. 베트남 전쟁의 참혹함을 이보다 더 목가적으로, 역설적으로 표현한 적은 없다는 평을 받았다. 개봉 이후 미국 빌보드 23위에 진입했다. [youtube(4zxQ9_axkGo)] [[마다가스카]]에서도 역설적으로 사용되었다. [[볼링 포 콜럼바인]]에 삽입된 [[https://www.youtube.com/watch?v=om4NJoZaPac|장면(성인인증)]]. * [[HOTEL SINCE 2079]]: 이 곡이 인용되었다. 탑의 관제 AI의 이름이 루이스인데 이 노래를 부른 [[루이 암스트롱]]에서 따 온 것이다. * 시사묵시록: [[딴지일보]]의 '신짱' 기자가 2007년에 만든 시사풍자 매드무비로, 원곡과 락 어레인지 버전이 함께 사용되었다. *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스톤 오션]]: 마지막화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다. 그래서 유튜브에 쳐보면 이 노래를 배경음악으로 한 마지막 회에 대한 영상들이 나온다. * [[프리파라]]: 이 제목을 패러디한 〈What a Wonder[[프리파라|Pri]] World〉라는 곡이 있다. 광고 음악으로도 활용되었다. * OB맥주 - OB 수퍼드라이 * LG생활건강 - 카이저(화장품) [[분류:영화 음악]][[분류:트레디셔널 팝]][[분류:재즈]][[분류:1967년 노래]][[분류:1967년 싱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