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k5ZYSwazzc)]}}} || || {{{-1 '''수록 정보'''}}} ||{{{-1 [[DJMAX RESPECT]]}}} {{{-3 (2017)}}} || || {{{-1 '''장르'''}}} ||{{{-1 [[드럼 앤 베이스#s-5.6.1|Neurofunk]]}}} || || {{{-1 '''BPM'''}}} ||{{{-1 180}}} || || {{{-1 '''작곡'''}}} ||{{{-1 [[Paul Bazooka]]}}} || || {{{-1 '''BGA'''}}} ||{{{-1 [[Lepusnette|RK]]}}} || == 개요 == {{{#!wiki style="padding: 0 10px; border-left: 3px solid #383333; font-weight: bold" {{{#616264 '''We're all gonna die.'''[br]Anyway, may as well enjoy yourself.}}}}}} [[DJMAX 시리즈]]의 수록곡으로, [[Paul Bazooka]]가 [[Don't Die]], [[Kung Brother]], [[Nevermind(DJMAX)|Nevermind]]와 함께 제공한 [[DJMAX RESPECT]]의 신곡. 약칭 '''고너다이''', '''거너다이'''. --[[Don't Die|다른 곡에서는 죽지 말라더니]]-- --아니, [[Never Die|안 죽는다더니]]-- --이러다 다 죽어-- 처음 작곡가 라인업 공개 당시에 '''가장 커다란 충격을 안겨준 곡이다.''' 이전까지 디맥 시리즈에서 전혀 나온 적이 없었던 다크 고아 트랜스풍의 전개와 동시에 [[Nihilism]]의 [[EZ2ON]] BGA를 연상하게 하는 흑백 BGA까지 맞물려[* 실제로 둘 다 BGA 제작자가 같다. 즉 '''니힐리즘 VER.2.''' 이러한 연결고리 때문이었는지, 이후 Nihilism도 EZ2ON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DJMAX에 수록되었다.] '''이거 엄청 심상치가 않은 녀석이 분명하다'''는 반응을 이끌어냈다. 제목도 제목인 만큼 더더욱. 그리고 7월 12일 티저 사이트에 음원이 올라왔다. 같은 날에 BGA까지 공개된 [[The Obliterator]]도 고레벨 포스가 엄청난데, '''이건 더하다.''' 작곡가 라인업에서 보여준 부분은 그냥 인트로에 불과했고 실제로는 Paul Bazooka가 참여한 곡 중 가장 격렬한 전개를 보여준다. 공개된 장르는 [[드럼 앤 베이스]]의 하위 장르인 뉴로펑크. Paul Bazooka가 직접 밝히기로는 [[BEXTER]]가 직접 '''그냥 다 죽여버릴 그런 곡을 만들어 달라'''고 의뢰했다고 한다. 보통 일주일 정도만에 곡 작업이 끝나는데, 1달 반동안 미친듯이 곡을 썼다고 하며, 곡이 완성되자 제목은 저절로 정해져있었다고.[[https://twitter.com/PaulBazooka/status/895274848838078464|#]] 비주얼 아티스트인 [[Lepusnette|RK]]가 말하기로는 곡을 받고 가히 '미쳤다'는 느낌을 받아 '미친 사람 컨셉'으로 접근하다가, 스스로 미쳐서 아트를 만들어 보고 싶었다고 한다. ~~그리고 마침내 굳이 미친 척 안해도 원래부터 본인은 미친자였다는걸 깨달았다고 한다.~~ 이 BGA에서 잠깐 등장하는, 그림으로 그린 소녀가 나중에 [[https://store.playstation.com/ko-kr/product/HP1804-CUSA08621_00-AVATAR0000000002|PS4 전용 아바타]]로 등장했다. 리스펙트 신곡들의 등장인물들로 구성된 아바타는 일단 다른 곡들은 어느 정도 예상 가능했다 치더라도 이것만은 의외라는 반응이 꽤 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e're All Gonna Die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We're All Gonna Die}}}'''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1.13 패치에서 7 → 8로 상향.] [br] {{{-5 497}}}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68}}}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4 [br] {{{-5 1096}}}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469}}}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7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1.22 패치에서 12 → 13으로 상향.] [br] {{{-5 926}}} || -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html 15}}}''' [br] {{{-5 1469}}}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78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br] {{{-5 1025}}}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277}}} || [[파일:djmaxsc15.png|width=16]] {{{#purple,#f21cc7 '''14'''}}} [br] {{{-5 1479}}}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8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3[* 1.22 패치에서 12 → 13으로 상향.] [br] {{{-5 943}}}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5 [br] {{{-5 124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5.svg|width=16]] '''{{{#!html 15}}}''' [br] {{{-5 1900}}} || ||<-5> 특수 패턴 || || {{{-1 XB SP}}} ||<-4> [[DJMAX RESPECT/미션#s-2.10.6|RESPECT FOR PLAYERS]][br][[DJMAX RESPECT/미션/DLC#s-6.2.6|Enter the Rocky Studio]] || || {{{-1 TB SP}}} ||<-4> [[DJMAX RESPECT/미션/DLC#s-4.2.6|Conqueror]]^^PS4^^ / [[DJMAX RESPECT V/미션/DLC#s-7.1.5|Specialist]]^^V^^ || || {{{-1 4B FX}}} ||<-4> [[DJMAX RESPECT V/미션/DLC/V EXTENSION#s-4.2.6|VV]]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해금조건은 44레벨 달성. 곡명에 맞춰 [[4자 금기|의도된 해금조건]]일 가능성이 높다. V에서는 레벨 98 달성 or 프리스타일 '''50만 콤보'''를 달성해야 얻는다. 인게임에서는 BGA의 번쩍거리는 연출이 잦아 눈 아프다는 평이 많다. 이에 민감한 플레이어라면 BGA의 밝기를 낮추거나 아예 끄는 걸 추천. 정식 발매 직후 정말로 '''DJMAX RESPECT의 진 최종보스곡'''으로 군림하였다! 4B, 5B를 제외한 모든 모드에서 '''최고 레벨을 전부 선점했고'''[* 4B는 Trilogy DLC를 통해 [[Ventilator]]가 추가되고 1.07 업데이트를 통해 [[HAMSIN]] MX가 15레벨로 상향되기 전까진 15레벨 패턴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는 4B에서도 최고 레벨을 차지하고 있었다.]실제로도 말이 안 나오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같은 리스펙트 신곡 15레벨들을 전부 압살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구곡 대표 보스곡 [[Nightmare(DJMAX)|Nightmare]]에 이어 '''신곡 대표 보스곡'''으로서 자리매김을 굳게 했다. 실제 난이도도 Nightmare보다 조금 더 어려운 수준. [* 다만, 본작에서 Nightmare가 '''엄청나게 너프를 먹었다'''는 점을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문제의 그 답이 없는 동시치기 연타를 알약 트릴로 바꿔서 상대적으로 처리하기 더 수월해진 탓이다. 물론 어디까지나 '''상대적이라는''' 것을 인지하자. 만약 DMP2에서의 그 패턴을 다시 그대로 갖다가 이식했다면 리스펙트에서마저도 Nightmare가 진 최종보스곡이 되었을 것은 자명한 일이다.] 기존에도 어려운 패턴으로 무장하고 있던 곡인데, PC 이식 버전인 [[DJMAX RESPECT V]]가 출시되면서 그를 뛰어넘는 SC 패턴이 5버튼과 6버튼에 추가되었다. 그 중 5버튼의 경우 [[Ikazuchi]]와 함께 '''5버튼 내 최고 보스곡'''의 자리를 점하고 있다. 이후 시즌 8 업데이트로 4버튼과 8버튼에도 SC 패턴이 추가되었는데, 8버튼이 5버튼과 마찬가지로 최고 레벨인 '''15레벨'''로 등장하였다. 이후 등장한 15레벨 패턴 [[DIE IN]]이 15레벨 급도 아닌 맥스 콤보조차 힘든 어나더 레벨인걸 감안하면, [[Bamboo on Bamboo]], [[Zero-Break]]과 함께 사실상 8버튼의 3대장 취급받는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lhAjrpiH0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8pwVaOCiTw)]}}}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zUtpnq101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di2Bifusmk)]}}} || 4B HD는 12레벨 지뢰곡. 뮤즈대시 DLC 출시 뒤 밀려났으나 12레벨에서는 악명높은 불렙 중 하나였다. 4B MX는 [[BlythE]]와 함께 4B 보스곡 중 하나였고 4B의 최고 레벨인 14레벨을 꿰차고 있었으나 후의 패치로 HAMSIN 4B MX가 '''15레벨'''로 상승, 이후 DLC가 출시되면서 많은 4B 15레벨 MX 패턴들이 등장하면서 밀려났다. 4B SC는 초반은 4버튼 특유의 겹연타 따닥이, 중반은 잡노트 따닥이가 끼어있는 폭타, 후반은 폭타 위주의 구성으로 짜여져 있다. 후술할 초반 겹연타와 후반의 폭타를 잘 처리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특별히 주의해주어야 할 구간이라면 1:13초 부분의 4번 따닥이와 1:41초 부분의 3-34/34-3 따닥이, [[PUPA/리듬 게임 수록#s-9|PUPA]]에서도 등장한 바 있는 최후살 빅장 3연타 구간 정도가 요주의 구간이 된다. 초반의 겹연타 물량이 상당하지만 다른 겹연타 곡들과 비교했을 때에는 꽤나 정직하게 내려오는 편이고, 후반의 폭타 구성 역시 의외로 손이 꽤 잘 가는 구조로 짜여져 있기 때문에 고수들에게는 모난 데 없이 쉽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다만 이런 패턴의 특성 상 아래부터 올라오는 유저들에게는 정반대로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다고 느껴지는 패턴 양상이기 때문에 후술할 8B SC와 유사한 느낌으로 유저들의 실력에 따라 개인차가 갈린다. 비슷한 종합곡 성향인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와 비교했을 때에도, 우로보로스가 알약 겹계단이나 32비트 트릴같은 일장일단이 존재하는 구간이 있다면 거너다이의 경우 초반부터 후반까지 무난하게 몰아치는 양상의 패턴이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개인차를 배제하고 통상적으로는 [[Ventilator]]보다 조금 쉬운 수준. 15레벨 하위권 수준인 약간의 불렙 패턴으로 취급받는다. === 5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5B TUNES)]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wyijz4z0D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jcaQfVa_ds)]}}}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VL-i4vunX4)]}}} || || 5B NM은 8레벨임에도 불구하고 3번 레이저, 180BPM짜리 16비트 계단, 폭타가 나오는 등 표기 레벨에 비해 지나치게 어렵다. 5B HD는 12레벨치고 판정 내기와 맥스 콤보 달성이 까다로운 패턴이라 지나치게 난이도가 낮게 책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위 영상 1700콤보 부근의 45-33-12-33-45 패턴이 압권. 이 패턴은 심지어 키보드로 처리하기에도 까다롭다. 결국 1.22 패치에서 13으로 상향 조정되었으나 13레벨 내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하는 요주의 패턴. 5B SC 패턴은 6B SC를 5버튼용으로 압축시킨 구성으로, 6버튼처럼 패턴에 규칙성이 전혀 없어 좌우 가변 없이 단순 2/3 내지 3/2 배치로 치기엔 정배 기준 한쪽 손이 지나치게 혹사당하고, 좌우 가변으로 치자니 정배로도 쓰레기 한 뭉텅이로 보이는 패턴을 대체 어느 기준에서 나눠야 하는가 당최 감이 안 온다. 버튼 수가 하나 줄어들었음에도 노트 수마저 6버튼 SC 패턴과 단 10개밖에 차이가 나지 않고, 종합적으로 극악의 난이도로 6버튼 SC보다 훨씬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랜덤으로 중반부와 후반부 난이도를 낮출 수는 있으나, 그 확률이 매우 낮으며 중반부, 후반부가 쉬워지면 초반부는 반드시 어려워지기에 랜덤으로 난이도를 낮추기 힘들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서 [[DIE IN]] SC 등장 이전까지 [[PUPA]]와 [[Ikazuchi]]와 함께 5버튼 보스곡 자리를 맡았으며, SC 난이도 개편에서도 최고 레벨인 15레벨을 받았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NnmGayajF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oRZex5PF4A)]}}} || || {{{#white MX}}} || {{{#white '''SC'''}}}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lU4f8bT4o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ZALx1hXtO0)]}}} || 6B HD는 맥시멈의 열화판. 그러나 열화가 덜 돼서 동 레벨대의 다른 패턴에 비해 지나치게 어렵다. 13레벨로 배정되어 있으나, 13레벨 내에서의 난이도는 최상위권. 6B MX는 6버튼 내에서도 최고난이도 패턴으로, 전체적인 패턴을 읽기조차 까다로운데다가 엄지로 처리하기 상당히 빡세고 간접미스가 나기 쉬운 1-3 패턴이 초반부터 후반까지 잊을 만하면 등장하며, 아예 중반 폭타에선 대놓고 1232132가 16비트로 나오는 등 극한의 엄지컬을 요구하는 난해한 패턴이다. V로 넘어오면서 상위호환격인 SC 패턴이 생기고 DLC에도 더 흉악한 패턴들이 있어서 플스판에 비하면 조금 언급이 줄었지만, 특유의 까다로운 노트 배치와 난해한 박자가 키보드로도 처리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6버튼 MX 패턴들 중 가장 어렵다는 정체성은 여전하며 MX 패턴임에도 불구하고 타 SC 패턴들과 난이도가 비견될 정도로 특유의 위상을 보여주고 있는 패턴이다.[* MX의 난이도 수준이 유독 높은 8B를 제외하면, 이 정도 급으로 어려운 MX 패턴은 SC 13레벨과 비교되는 [[HAMSIN]] 4B MX, [[Rage Of Demon]] 5B MX, [[DIE IN]] 6B MX 정도이다.] 6B SC 패턴은 통상곡 기준으로 6버튼 보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트릴로지 당시 6키 최고 레벨이었던 17레벨 곡들 중 [[Aurora Borealis]] SC보다 어렵고 [[Seeker]] SC보다는 할 만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단, 정박에 패턴만 복잡한 시커와 달리 이 곡은 박자가 매우 난해해 여기에 익숙해지지 않는 유저들은 더 괴로워하기도 한다. 초반부터 박자도 이상한데 배치는 더 이상한 2연타가 동시치기로 튀어나오며, 곡 내내 나오는 모든 패턴의 규칙성이 전혀 없어 6개 손가락 중 어느 하나라도 지력이 부족하면 안 되며, 그나마 규칙성이 생기는 후살은 [[EZ2AC]]나 [[beatmania IIDX]]의 고난이도 패턴과 비교해도 밀리지 않는 매우 까다로운 패턴이다. 클리어가 주 목표가 되는 EZ2AC나 IIDX와 다르게, DJMAX RESPECT가 퍼펙트 플레이가 게이머들의 주 목표가 되는 게임임을 생각한다면, 웬만큼 많은 리듬게임에 통달해 있는 게이머들도 고전하게 만드는 패턴이다. 정식 발매 이후 DLC가 나오면서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In my Dream]], [[ANiMA]] 등 쟁쟁한 보스곡들이 더 나왔지만, 여전히 구 15레벨 중에서는 보스곡 바로 밑 수준의 준보스급으로 취급받았다. 시즌 6 SC 난이도 개편에서도 준보스급에 해당하는 14레벨에 배정되었다. === 8B TUNES === [include(틀:DJMAX RESPECT V/버튼별 보스곡/8B TUNES)]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Ll9UjrUTc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yPZ-Fg5NMCo)]}}} || || {{{#white MX}}}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9UcRdDL_Ss)]}}}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vWHiYK4mrA)]}}} || 8B MX 또한 15레벨들 중에서도 상당히 어려운 위치에 있는 패턴이다. 이쪽 역시 6버튼 마냥 엄지 정타로 처리하기 빡센 배치들이 곳곳에 포진해 있으며, 8버튼 특성상 6버튼과 달리 ↑키와 △키를 범퍼로 할당하는 키 배치를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엄지 피지컬이 안 되면 높은 정확도를 뽑아내는 것이 굉장히 힘들다. 후반 폭타 또한 범퍼 노트의 박자가 상당히 까다롭게 배당이 되어 있어서 아차 하는 순간 판정이 말리기 쉬우며, 최후반 범퍼 롱노트와 함께 등장하는 16비트 트릴 후살의 존재감도 엄청나다. 문제의 8B SC는 6B SC를 상회하는 6버튼 패턴 + 사악하게 끼어있는 트리거 + 쉬는 구간 전무함이라는 3중 시너지 효과로 인해 체력이면 체력, 박자면 박자, BPM이면 BPM, 패턴 리딩까지 덧붙여서 제목 그대로 모든 유저들을 다 죽여버릴 수준의 초극악 채보로 등장했다. 초반은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따닥이와 221과 같은 불편한 배치로 유저들의 체력을 소모시키고, 중반은 난해한 배치의 트리거와 겹계단, 데님이 섞인 폭타로 리딩을 어지럽게 만드는 동시에 최상급의 처리력을 요구하는가 하면, 후반은 앞선 요소들이 다 합쳐진 듯한 모습을 보여준다. 1:46초 등장하는 유사 햄버거/능지 식의 롱노트 패턴도 백미. '''그나마''' 일반 노트를 읽어내기만 하면 되는 최후살 트리거 겹폭타 패턴이 가장 할만하다는 평가다. 일반적으로 [[Fundamental]], [[Nevermind(DJMAX)|Nevermind]]보다는 당연히 어렵고, 기존 8B SC 15 5대장에 비해도 절대 꿀리지 않는 난이도의 패턴이지만, 패턴 자체가 '''기존 디제이맥스에 존재하지 않았던 수준의 처리력을 요구하는 패턴'''이기 때문에 리듬 게임 실력을 [[발광 BMS]]와 같은 타 리듬게임으로 얼마나 단련했느냐가 개인차를 가르는 요소가 된다. 만약 디제이맥스만으로 처리력을 기른 유저라면 기존 8B SC 15 5대장들과 비교하더라도 '''훨씬 더 어렵다'''고 느낄 수 있을 정도의 패턴이지만, [[Xeus]]나 [[Zero-Break]]와 같은 대놓고 손 꼬이라고 유도하는 함정 패턴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 수준의 처리력을 가진 유저들, 즉 해당 패턴을 잘 읽어낼 수 있고 처리력이 따라주는 유저라면 퍼펙트 난이도 자체는 기존 5대장 곡들에 비해 낮다고 평가받는다. 이렇듯 출시 3달 째 아직도 퍼펙트 플레이어가 3명밖에 없는 Zero-Break와는 다르게 퍼펙트 유저들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나오는 중이다.[* 상술한 내용들을 증명이라도 하듯 퍼펙트 플레이를 달성한 유저들이 죄다 리듬게임 씬에서 한 이름값 하는 유저들이기도 하다.] === 특수 패턴 === || {{{#white '''XB SP''' (PS4)}}} || {{{#white TB SP}}}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MenqagXKB8)]}}}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UK0AKguJoY)]}}} || 문제의 XB SP는 '''제목 값 제대로 살린 패턴. DJMAX RESPECT 전 패턴을 통틀어 가장 어렵다!''' 8B MX를 기반으로 일부 구간이 XB 사양에 맞춰 수정된 패턴으로, 리스펙트 최후의 미션인 RESPECT FOR PLAYERS에서 [[BlythE]] 4B MX, [[Seeker]] 5B MX, [[Remains Of Doom]] 6B MX, [[HAMSIN]] 8B MX, [[Nightmare]] 8B MX를 깬 뒤에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곡인데, 미션을 클리어하기 위해선 총 콤보수가 10000 이상, 총 정확도가 '''97% 이상''', '''BREAK 50 미만'''이어야 클리어가 가능하고, 저 괴악한 다섯 곡의 조합 끝에 등판하는 게 이 곡의 XB 패턴이기 때문에 가공할 난이도를 보여준다. [[https://twitter.com/gloryday_/status/1277098511729717249|디렉터 juking의 이야기]]에 따르면, 이 패턴은 PS판의 개발 막바지에 만들어졌는데, 당시 패턴 디자이너였던 [[7 Sequence]]가 개발팀 앞에서 이 패턴을 '''올콤보(!!!)로 '''클리어했다고 한다. PS4에선 [[DJMAX RESPECT/미션/DLC#s-4.2.6|Conqueror]] 미션에서, V에선 [[DJMAX RESPECT V/미션/DLC#s-7.1.5|Specialist]] 미션에서 TB 패턴이 등장한다. == [[TAPSONIC WORLD CHAMPION]] == |||| [[TAPSONIC WORLD CHAMPION|{{{#gold '''TAPSONIC WORLD CHAMPION'''}}}]] || || {{{#0f0 '''BASIC'''}}} || {{{#0f0 4}}} || || {{{#f88 '''PRO'''}}} || {{{#f88 7}}} || || {{{#f8f '''LEGEND'''}}} || {{{#f8f '''10'''}}} || [youtube(OMgyOkpGnpY)] LEGEND '''AP+''' 영상. 집에서 새는 바가지가 바깥이라고 안 샐 리가 있나... '''TWC에서도 보스곡 끝판왕으로 악명을 떨치고 있다.''' == 타사 리듬게임 수록 == === [[Cytus II]] === [include(틀:Cytus II/Graff. J)] ==== 패턴 ==== ||<-4> '''{{{#fff We're All Gonna Die}}}''' || ||<-4> [[파일:WAGDC2.png|width=300]] || || 작곡 ||<-3> [[Paul Bazooka]] || || BPM ||<-3> 180[* 스크롤 속도 ?] || || 연주 시간 ||<-3> 2:10 || ||<|2> {{{#373A3C,#DDDDDD 레벨}}} || '''EASY''' || '''HARD''' || '''CHAOS''' || || 6 || 10 || '''15''' || || 노트 수 || 378 || '''666''' || 906 || || 특이사항 ||<-3> '''DJMAX Vol.1 보스곡''' '''모든 난이도에서 최고레벨''' || ||<-2> '''해금 조건''' || || '''EASY''' ||<|3><:> DJMAX Vol.1 구매 || || '''HARD''' || || '''CHAOS''' || Cytus II와 DJMAX의 콜라보로 수록되었다. ===== EASY ===== ===== HARD ===== [[https://www.youtube.com/watch?v=VqFPGZO2nNo|MM 영상.]] CHAOS 패턴에서 초중반부의 트릴과 홀드가 완화되고 후살이 홀드+단타로 대체되는 등 살이 빠진 패턴이지만, 초중반부에서 여전히 난해한 박자로 나오는 연타 패턴과, 후살의 따닥이 대신 나오는 홀드/오버페이지 홀잡 패턴이 꽤 빠르고 조밀하게 나와서 10레벨 내에서 까다로운 난이도를 지니고 있다. [[Glorious Crown]] HARD와 함께 HARD 난이도 보스곡에 등극했으며, HARD 11레벨 이상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CHAOS ===== [youtube(cQYsn_C9gTw)]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HeavenEGHD. 주로 단타 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따닥이와 난해한 박자, 변형 트릴과 높은 노트 밀집도로 인해 박자 파악이 매우 어려운 편이다. 또한 빠른 BPM으로 인한 체력 소모 또한 상당하며 일부 패턴은 [[VIS::CRACKED]]의 성격을 띠고 있다. 다만, TP를 포기하는 대신 억지로 뭉개면서 처리한다면 MM은 그나마 쉽게 딸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Sickest City]], [[VIS::CRACKED]]와 비슷한 14레벨 불렙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가 4.6버전 패치로 앞의 둘과 함께 15레벨로 상향되었다.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Cytus II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