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Warframe/언어)] [include(틀:관련 문서, top1=Warframe/진영/그리니어)] [include(틀:워프레임)] [include(틀:워프레임 언어)] [목차] == 개요 == ||[[파일:warframe_grineer_namuwiki.png]]|| ||<:>그리니어 문자로 표기한 '''NAMUWIKI'''.|| [[Warframe|워프레임]]에서 등장하는 세력인 [[Warframe/진영/그리니어|그리니어]]가 사용하는 [[가공의 언어]] 및 [[가공의 문자|문자]] 체계.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도트 매트릭스 양식]]에서[* '''Dot-matrix Style'''. 일정한 크기의 점들이 [[행렬]](Matrix) 구조로 정렬된 형태를 말한다. 실제로 [[http://warframe.wikia.com/wiki/File:GrineerWk1-1-.jpg|초기 그리니어 문자 콘셉트]]에서는 도트 매트릭스 양식을 그대로 사용한 형태가 있었다. 참고로 현실에서 [[신문]]과 같은 인쇄물을 자세히 살펴보면 제한된 색상을 가진 수많은 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또한 도트 매트릭스 양식을 따르고 있다.] 일부를 잘라 [[바코드]] 모양처럼 구성된 문자 형태가 특징인데, 이는 그리니어가 자신들의 구성원을 거듭된 유전 복제를 통해 늘리고 군수공장을 위시한 '대량생산 체계'인 점과 매우 어울린다. 각 글자의 우측하단 모서리에는 점이 있어 문자가 뒤집히거나 회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니어 문자는 원래 단순한 바코드였으나, 궁극적으로는 좁은 면적의 공간으로 압축되거나 벽과 같은 표면에 붙어 있어도 쉽게 읽을 수 있는 문자로 만들어지게 된 것이다. 다만 이 때문에 인쇄물이 아닌 [[손글씨]]로는 상당히 부적합한 형태이다.[* [[Warframe/언어/오로킨|오로킨 문자]]는 애초에 손글씨에 어울리는 곡선 위주의 형태이고, [[Warframe/언어/코퍼스|코퍼스 문자]]는 현실의 [[로마자]]에서 따왔기 때문에 손글씨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미 게임 상에서도 [[존 프로드맨]] 포스터의 친필 사인을 통해 손글씨로 쓰인 사례가 있다.] == 문자 == ||<:>[[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A.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B.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C.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D.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E.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F.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G.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H.png]]|| ||<:>A||<:>B||<:>C||<:>D||<:>E||<:>F||<:>G||<:>H|| ||<:>[[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I.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J.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K.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L.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M.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N.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O.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P.png]]|| ||<:>I||<:>J||<:>K||<:>L||<:>M||<:>N||<:>O||<:>P|| ||<:>[[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R.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S.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T.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U.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V.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W.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Y.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Z.png]]|| ||<:>R||<:>S||<:>T||<:>U||<:>V||<:>W||<:>Y||<:>Z|| ||<-2><:>[[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Q.png]]||<-2><:>[[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X.png]]||<:>||<:>||<:>||<:>|| ||<-2><:>Q||<-2><:>X||<:>||<:>||<:>||<:>|| ||<:>[[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period.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comma.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question_mark.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number_sign.png]]||<:>[[파일:warframe_grineer_alphabet_@.png]]||<:>||<:>||<:>|| ||<:>.||<:>,||<:>?||<:>#||<:>@||<:>||<:>||<:>|| 그리니어의 문자는 총 24개가 있으며, 각각의 문자는 [[라틴문자]]와 대응한다. Q와 X에 대응하는 그리니어 문자는 없으며 이는 각각 kw와 ks에 해당하는 그리니어 문자로 풀어서 해당 발음의 표기에 사용한다. 각 문자의 발음은 현실에서 라틴문자를 사용하는 언어, 특히 영어와 대체로 비슷하다. 다른 세력의 문자와 마찬가지로 현대 라틴 문자 같은 [[대문자·소문자|대소문자]] 구분은 없다. 특이한 점으로는 별도의 [[문장부호]]가 존재한다는 점인데, 이는 문장부호가 존재하지 않는 [[Warframe/언어/오로킨|오로킨 문자]]나 현실의 문장부호를 그대로 쓰는 [[Warframe/언어/코퍼스|코퍼스 문자]]와는[* 릴레이 내에 상주한 '다르보의 상점' 현수막의 코퍼스 문자로 Darvo's Deals을 표기한 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대조적이다. == 숫자 == [[파일:warframe_grineer_numbers.png]] 그리니어의 [[기수]] 체계는 [[10진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숫자는 현실의 [[숫자|아라비아 숫자]]와 대응한다. 다른 기호와 마찬가지로 바코드와 유사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문자의 홈 부분이 오른쪽에서 들어간다는 차이점이 있다. 발음은 다른 그리니어 언어와 마찬가지로 영어를 기반으로 한 그리니어 고유의 [[브로큰 잉글리쉬]]다. [[Warframe/미션/토벌전/응보의 법칙|응보의 법칙]] 스테이지 2의 발판 퍼즐에서 볼 수 있었던 기호는 모두 그리니어 숫자다. * 1/One = Uk * 2/Two = Tok * 3/Three = Chee * 4/Four = Forr * 5/Five = Fhuve * 6/Six = Shux * 7/Seven = Sevenk * 8/Eight = Ehught * 9/Nine = Nhune == 어휘 == 그리니어 언어는 [[영어]]를 변형시킨 [[브로큰 잉글리시]]다. 영어보다 발음이 거칠고, 모음이 제한되는게 특징이다. 상당수의 어휘가 영어와 무관한 그리니어 고유의 어휘기 때문에, 해석할 수 없는 문장이 많다. [[Warframe/언어/코퍼스|코퍼스 언어]]는 영어 발음과 완전히 다르지만, 규칙성도 있고, 코퍼스 고유의 어휘가 없어서 해석이 쉬운 반면에, 그리니어의 언어는 영어 발음과 얼추 비슷한 어휘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단어도 많아서 해석하기가 매우 어려운 언어다. 과거에는 그리니어도 고유의 언어 체계가 있었지만, 현재는 영어를 변형시킨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사라진 그리니어 고유의 언어는 [[https://www.youtube.com/watch?v=ebZ09b-Ahio&t=|트레일러]]에서 볼 수 있다. ||<:>{{{#FFFFFF '''그리니어'''}}}||<:>'''{{{#FFFFFF '''영어'''}}}'''||<:>{{{#FFFFFF '''그리니어'''}}}||<:>'''{{{#FFFFFF '''영어'''}}}'''||<:>{{{#FFFFFF '''그리니어'''}}}||<:>'''{{{#FFFFFF '''영어'''}}}'''||<:>{{{#FFFFFF '''그리니어'''}}}||<:>'''{{{#FFFFFF '''영어'''}}}'''||<:>{{{#FFFFFF '''그리니어'''}}}||<:>'''{{{#FFFFFF '''영어'''}}}'''|| ||<:>aagaahun||<:>again||<:>aankkler||<:>another||<:>ahgre||<:>are||<:>akre||<:>okay||<:>aktivotoi||<:>activity|| ||<:>akuired||<:>acquired||<:>attaf||<:>attack||<:>beheg||<:>behind||<:>blau||<:>blue||<:>brig||<:>bring|| ||<:>dem||<:>them||<:>do||<:>the||<:>dor||<:>door||<:>eeasy||<:>easy||<:>fanod||<:>enough|| ||<:>feer||<:>help||<:>fkr||<:>for||<:>fosfor||<:>phosphor/flare||<:>gar||<:>you||<:>gar'gre||<:>you're|| ||<:>garr||<:>your||<:>ge||<:>get||<:>get||<:>got||<:>gghuty||<:>pity||<:>git||<:>get|| ||<:>gkk||<:>go||<:>glkry||<:>glory||<:>gon||<:>have||<:>grhuneer||<:>'''Grineer'''||<:>guv||<:>you|| ||<:>gwuwhuzi||<:>anything||<:>hram||<:>him||<:>hu||<:>I||<:>hu'uss||<:>I'll||<:>huh||<:>he|| ||<:>hum||<:>find||<:>humtreshuve||<:>impressive||<:>hut||<:>it||<:>jkhun||<:>join||<:>kf||<:>of|| ||<:>kffegrer||<:>offered||<:>khruig||<:>bring||<:>ki||<:>the||<:>kkkrggse||<:>corpse||<:>klaat||<:>that|| ||<:>kley||<:>the||<:>klhem||<:>them||<:>klos||<:>close||<:>klos||<:>this||<:>klus||<:>it's|| ||<:>kn||<:>on||<:>knddy||<:>only||<:>kne||<:>one||<:>kos||<:>kill||<:>kower||<:>cover|| ||<:>kr||<:>or||<:>krafe||<:>check||<:>krkse||<:>chose||<:>kut||<:>out||<:>kver||<:>over|| ||<:>kwuim||<:>queens||<:>lahk||<:>what||<:>laks||<:>that's||<:>lam||<:>him/them||<:>legger||<:>patrol|| ||<:>les||<:>let's||<:>longannil||<:>company||<:>maakhuig||<:>making||<:>moh'ne||<:>mine||<:>mordda||<:>mortar|| ||<:>mutr||<:>must||<:>na||<:>and||<:>naame||<:>name||<:>nkt||<:>not||<:>noh||<:>no|| ||<:>oghi||<:>okay||<:>os||<:>is||<:>peremeter||<:>perimeter||<:>plaay||<:>play||<:>rahd||<:>red|| ||<:>reaar||<:>dead||<:>reporta||<:>report||<:>rerotin||<:>reloading||<:>rhue||<:>die||<:>rnaa||<:>DNA|| ||<:>ro||<:>oh||<:>rraaggggen||<:>happen||<:>rraas||<:>has||<:>rraay||<:>way||<:>rress||<:>well|| ||<:>rrhukl||<:>will||<:>rrurt||<:>hurt||<:>rum||<:>our||<:>rus||<:>will||<:>sekto||<:>sector|| ||<:>ser||<:>like||<:>skum||<:>scum||<:>spera||<:>spread||<:>spoton||<:>spotted||<:>streigkl||<:>strength|| ||<:>swabawin||<:>swapping||<:>swit||<:>switch||<:>switwuwin||<:>switching||<:>tak||<:>take||<:>targat||<:>target|| ||<:>tk||<:>to||<:>tkk||<:>too||<:>tre||<:>to||<:>tri||<:>try||<:>tuh||<:>my|| ||<:>ug||<:>darn||<:>uus||<:>I will||<:>van||<:>fan||<:>vor||<:>got||<:>wa||<:>them|| ||<:>warfram||<:>warframe||<:>wey||<:>we||<:>zuzpizus||<:>suspicious||<:>||<:>||<:>||<:>|| || [youtube(oIQ__JomPr4)] || || 현재 게임 상에서 들을 수 있는 그리니어 병사 대사 모음 동영상. || == 예시 == 과거, [[캡틴 보어]]는 그리니어어를 사용했으나, 업데이드 13.7 이후 영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유로 캡틴 보어의 대사들은 그리니어 언어를 해석하기에 좋은 예시로 꼽힌다. *Hu see gar! (후 세 가르) *I see you! *찾았다. *Garrg maakhuug klos tkk eaasy. (가르그 마쿵 클로스 트크 에아시) *You're making this too easy. *네놈은 참 찾기 쉽구나. *Aankler reaar Tenno! (앙클레르 레아르 텐노) *Another dead Tenno! *텐노 시체가 하나 더 늘겠군! *Fkr tuh Kwueens! (프크르 투흐 크우엔스) *For my Queens! *여왕을 위하여! *Gar rus chu'nas, kle'ahn krikun (가르 루스 추나스 클레안 크리쿤) *You will join us, one way or another. *네놈은 우리와 같은 편이 될 것이다. 원하든 원치않든 말이야. *Shu deglam, distrak klem! (슈 데글람 디스트라크 클렘) *Shields down... distract them! *쉴드가 소진되었다... 놈들을 교란시켜라! *Klos os ni'sk varr... (클로스 오스 니스크 바르) *This is not over... *아직 끝난 게 아니다... *Tenno skoom! (텐노 스쿰) *Tenno scum! *텐노 쓰레기놈! == 기타 == * 커뮤니티에서 시작되어 현재는 워프레임 세계관의 정식 캐릭터인 [[클렘]]은 해당 캐릭터 본인의 유일하다시피한 어휘인[* 다른 어휘로는 [[Warframe/무기/보조무기#트윈%20그라카타|Grakata]]가 있다.] 'Clem'에서 따온 것인데, 이는 영어의 them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즉, 클렘의 이름을 한국어로 현지화한다면 다름 아닌 '''[[거시기]]'''가 된다. == 외부 링크 == * [[http://warframe.wikia.com/wiki/Grineer_Language#cite_note-:0-0|Warframe Wikia의 "그리니어 언어" 문서]] * [[https://forums.warframe.com/topic/340866-tennobet-font-package-and-understanding|Warframe 세력별 글꼴 파일 다운로드]]: 이곳에서 그리니어 문자 외에도 코퍼스와 오로킨 문자의 글꼴을 다운받을 수 있다. * [[https://clarvel.github.io/TennoTyper/|Warframe 웹 글꼴 입력기]]: 그리니어 문자 외에도 오로킨 문자와 코퍼스 문자를 입력하고 PNG파일로 다운받을 수 있다. [[분류:Warframe]][[분류:나무위키 Warframe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