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호이류]] [include(틀: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WWII 시리즈)] ||<-2>
[[파일:민병창.jpg|width=399]] || ||||<#000> '''{{{#fff WWII 민주주의의 병기창 ver1.34}}}''' || || '''{{{#000000 게임 장르}}}''' || {{{#000000 [[스타크래프트]] - [[호이류]]}}} || || '''{{{#000000 플레이 인원}}}''' || {{{#000000 총 7명[* 추축 진영 3명, 연합 진영 4명.]}}} || || '''{{{#000000 제작자}}}''' || {{{#000000 alffuqrns}}} || [목차] [clearfix] == 개요 == > ww2 민주주의의 병기창이라는 맵 제목은 [[FDR|루즈벨트]]의 "미국은 민주주의의 병기창이 되어야 한다."라는 발언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맵의 컨셉과 같이 미국은 지속적으로 연합국에게 전쟁수행에 필요한 자원[* [[베스핀 가스]]의 형태]을 공급하며, 연합국은 [[무기대여법|미국으로부터 지원받은 자원]]으로 전쟁을 수행합니다. 추축국은 게임 초반 강력한 군사력으로 연합국을 수세에 몰아넣을 수 있지만, 연합국의 방대한 전쟁수행능력이 발휘되는 것을 방관한다면 전쟁에서 패배하게 될 것입니다. 2차 세계대전을 테마로하는 [[호이류]] 유즈맵. 주로 민병창 또는 병기창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맵 상단의 미국동부-대서양-유럽 지역과 하단의 미국서부-태평양-아시아 지역으로 분리되어 게임이 진행된다. 맵 여기저기에 두지역을 이어주는 항로나 운하 등이 텔레포트를 통한 비콘으로 구현되어 있어 두 지역을 연결하고 있다. 이를 활용하여 전략적으로 다른 전선에 개입하는 선택이 가능하다. == 플레이 국가 == [[파일:병기창 맵.png|width=250]] 연합국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54f8; font-size: .9em" [[미국|{{{#FFFFFF '''미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c; font-size: .9em" [[영국|{{{#FFFFFF '''영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2500; font-size: .9em" [[소련|{{{#FFFFFF '''소련'''}}}]]}}}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fff5; font-size: .9em" [[중화민국|{{{#000000 '''중국'''}}}]]}}} *승리조건: 승리 점수[*VP , Victory Point] 375 이상 확보 or 1949년 6월까지 추축국 보다 더욱 많은 승리 점수 확보 *게임 시작 시점 연합국 승점 합계: 285 추축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51b23; font-size: .9em" [[나치 독일|{{{#FFF '''독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4400e; font-size: .9em" [[이탈리아 왕국|{{{#FFF '''이탈리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85; font-size: .9em" [[일본 제국|{{{#000000 '''일본'''}}}]]}}} *승리조건: 승리 점수 325 이상 확보 or 1949년 6월까지 연합국보다 더욱 많은 승리 점수 확보 *게임 시작 시점 추축국 승점 합계: 205 기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e9ca; font-size: .9em" [[중립국|{{{#000000 '''중립국'''}}}]]}}} [*AI 위 맵에서는 연두색상] * [[유고슬라비아 왕국|유고슬라비아]], [[그리스 왕국|그리스]], [[팔라비 왕조#s-2.2.1|이란]], [[네덜란드령 동인도|동인도 제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인도차이나 반도]], [[태국/역사#s-4.1|시암]] / 대부분 향후 이벤트에 따라 플레이어의 영역으로 전환된다. 추가적으로 실제 직접 전쟁이 벌어지지 않은 중립국은 통과불능 형태의 타일로 구현되어 있다.[* 스페인, 포르투갈~~얜 연합국 아니었나~~, 스웨덴, 터키, 멕시코 등 ] {{{#!folding [ 국가별 시작시점 보유 IC ] [b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54f8; font-size: .9em" [[미국|{{{#FFFFFF '''미국'''}}}]]}}} (50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800c; font-size: .9em" [[영국|{{{#FFFFFF '''영국'''}}}]]}}} (23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2500; font-size: .9em" [[소련|{{{#FFFFFF '''소련'''}}}]]}}} (37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fff5; font-size: .9em" [[중화민국|{{{#000000 '''중국'''}}}]]}}} (74) [br]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51b23; font-size: .9em" [[나치 독일|{{{#FFF '''독일'''}}}]]}}} (388)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4400e; font-size: .9em" [[이탈리아 왕국|{{{#FFF '''이탈리아'''}}}]]}}} (11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85; font-size: .9em" [[일본 제국|{{{#000000 '''일본'''}}}]]}}} (180) }}} == 맵 설명 == 기본적으로 시스템적이나 개념적으로나 다른 [[호이류]] 유즈맵과 공유하는 요소가 많다. 동시에 병기창만의 독특한 게임 요소도 존재하고 있다. 그래도 호이류 유즈맵에 익숙한 게이머라면 어렵잖게 적응할 수 있는 정도이다. === 타이머 === 1939년 10월[* 대략 영국본토항공전이 마무리에 접어들며 서부전선이 일단락되는 시점]에서 1949년 6월까지 진행된다. 1턴 당 타이머는 60초로 1달에 해당된다. 타이머가 갱신될 때마다 각 플레이어는 보유 IC에 따라 미네랄과 가스를 획득 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 시점이나 달성조건에 따라 이벤트나 메시지가 출력된다. === IC와 산업 === IC[*income =수입, 또는 산업능력]은 국가지역(서플라이 디팟, 4IC)과 산업지대(아카데미 10IC)에서 얻을 수 있다. 1IC 당 미네랄 5에 해당된다. 산업지대인 아카데미는 추가로 건설이 가능하다. 서플라이 디팟에 퀸 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800의 비용으로 아카데미하나를 최대 12기까지 건설할 수 있다. 다만 비용도 상당하고 건설 시간이 길기 때문에, 신중히 선택해야한다. ~~사실상 미국 전용~~ 몇몇 국가지역에는 VP, 승리 점수가 부여되어 있다. 연합과 추축 합산으로 계산되며 일정점수 이상을 획득하면 게임에서 승리하게 된다. 다른 [[호이류]] 유즈맵에서 가스는 고급 기술과 유닛을 단계적으로 해금시켜주는 '기술력'의 개념이다. 이와 다르게 병기창 맵에서 가스는 산업을 굴리는데 필요한 ''''천연자원''''의 개념으로 기술력과는 별개의 게임 컨텐츠이다. 매 턴 마다 플레이어가 가지고 있는 가스 중 1IC 당 10의 가스가 소비된다. 즉 150IC를 보유중인 플레이어는 매턴마다 1500가스가 소비된다. 가스가 만일 고갈되어버린다면 미네랄 수급에 페널티를 입는다. 가용 IC의 2/3 에서 절반 정도만 획득할 수 있고 여기에 200 미네랄이 추가로 감소되는 무시무시한 타격을 입는다. IC가 가장 작은 중국 같은 경우는 가스마저 고갈되면 한 턴에 보병 유닛 하나 뽑기도 어려울만큼 쪼달리게 된다. 가스는 자원지대(리파이너리, 매턴 500가스)를 확보하거나, 본국 항구로 이동 중인 수송선(오버로드)이 도착하면 획득할 수 있다. 게임진행 경과에 따라 새로운 가스통을 지을 수 있게되거나(중립건물 해제), 합성석유공장(머신샵)[* 40미네랄 →200가스로 변환, 최대 3기까지 건설 가능]을 건설하여 가스 수급을 보충할 수 있다. === 기술 개발 === 기술은 1925년,~~사실상 중국 전용~~ 34년, 36년, 38년, 39년, 40년, 41년, 4년, 43년, 44년, 45년, 46년 기술로 단계적으로 개발된다. 기술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이전에 생산하지 못했던 고급 건물 및 유닛을 생산할 수 있고, 기존의 보병사단, 전투기, 급강하폭격기 유닛 역시 성능과 스펙이 더욱 강화된다. 기술 개발은 자동으로 진행된다. 41년도 기술이 개발된 경우, 연구소를 추가하여 개발 속도를 더 빠르게 할 수 있다. 연구소 유닛(인페스티드 테란)은 최대 3기까지 추가 가능하며 한 기당 2000미네랄의 비용이 소모된다. === 유닛 === ==== 지상군 ,,(배럭스),, ==== *보병 유닛 *보병사단(고스트) [[파일:SC_Mineral.gif]] 450 {{{#!folding [ 연도별 스탯 ] || 연도 || 체력 || 아머 || 공격력 || ||25년||600||0||8|| ||36년||800||1||11|| ||41년||950||2||13|| ||43년||1075||2||16|| ||45년||1125||3||19|| }}} *해병사단(파이어벳) [[파일:SC_Mineral.gif]] 1000 *기동 유닛 *기계화보병사단(마린) [[파일:SC_Mineral.gif]] 1050 *경전차사단(벌쳐) [[파일:SC_Mineral.gif]] 1500 *중형전차사단(시즈탱크) [[파일:SC_Mineral.gif]] 2300 *중전차사단(드라군) [[파일:SC_Mineral.gif]] 3100 *포병 유닛 *포병여단(하이템플러) [[파일:SC_Mineral.gif]] 1050 *대전차포병여단(히드라리스크) [[파일:SC_Mineral.gif]] 900 *방공여단(골리앗) [[파일:SC_Mineral.gif]] 800 ==== 해군 ,,(스타게이트),, ==== (체력 방어력은 59, 실드 방어력은 61) 미사일 터렛의 데미지가 58이라 해군유닛, 특히 전함은 '''생각보다 잘버틴다.''' 대신 해안포대에는 순삭(...) 방어타워 철거시에는 캐리어 인터셉터로 먼저 어그로를 끈 다음 공략하거나 해안포대가 있으면 공군이 몸을 대고 반대로 방공포대는 해군이 몸빵을 대주는 식으로 하면 어느정도 공략이 편리하다. *구축함(스카웃 ,,디텍터,,) [[파일:SC_Mineral.gif]] 1200 [[파일:SC_Icon_HP.png|height=16]] 10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1 *순양함 전대(배틀크루저) [[파일:SC_Mineral.gif]] 2100 [[파일:SC_Icon_HP.png|height=16]] 15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1 *전함(배틀크루저) [[파일:SC_Mineral.gif]] 3600 [[파일:SC_Icon_HP.png|height=16]] 23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2 *항공모함(캐리어) [[파일:SC_Mineral.gif]] 4100 [[파일:SC_Icon_HP.png|height=16]] 20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2 *잠수함(디바우러 ,,클로킹,,) [[파일:SC_Mineral.gif]] 1000 [[파일:SC_Icon_HP.png|height=16]] 5 *군수지원함(프로브) [[파일:SC_Mineral.gif]] 400 [[파일:SC_Icon_HP.png|height=16]] 20 *수송선(드랍쉽) [[파일:SC_Mineral.gif]] 600 [[파일:SC_Icon_HP.png|height=16]] 16 [[프로토스 보호막|[[파일:SC_Icon_Shield.png|height=16]]]] 1 ==== 공군 ,,(스타포트),, ==== *전투기 편대(레이스) [[파일:SC_Mineral.gif]] 1000 {{{#!folding [ 연도별 스탯 ] || 연도 || 체력 || 아머 || 공격력 || ||34년||29||54||59|| ||41년||33||54||59|| ||43년||37||54||60|| ||46년||40||54||61|| 참고로 터렛의 경우 데미지가 58 }}} *급강하 폭격기 편대(뮤탈리스크) [[파일:SC_Mineral.gif]] 1750 *전술폭격기 편대(가디언) [[파일:SC_Mineral.gif]] 2500 *전략폭격기 편대(아비터) [[파일:SC_Mineral.gif]] 3500 *뇌격기(발키리 ,,디텍터,,) [[파일:SC_Mineral.gif]] 1750 *공수사단(사라 케리건) [[파일:SC_Mineral.gif]] 2000 ==== 기타 ==== *공병(SCV) [[파일:SC_Mineral.gif]] 250 *임시정부(커멘드센터) [[파일:SC_Mineral.gif]] 500 *합성석유공장(머신샵) [[파일:SC_Mineral.gif]] 1000 *자원지대(리파이너리) [[파일:SC_Mineral.gif]] 2000 *핵시설(뉴클리어 사일로) [[파일:SC_Mineral.gif]] 3000 [[파일:SC_Gas.gif]] 2000 *해안포대(포토캐논) [[파일:SC_Mineral.gif]] 800 *방공포대(미사일터렛) [[파일:SC_Mineral.gif]] 655 *레이더기지(컴셋스테이션)[[파일:SC_Mineral.gif]] 600 *참호(벙커)[[파일:SC_Mineral.gif]] 500 *민병사단(사라 케리건) *주둔사단(사라 케리건) *방어요새(건트랩) *화물선(오버로드) *해역호위함(스카웃) === 군사 교리 === 시작 시점부터 국가별로 고유한 군사교리가 부여되어 있다. 교리 변경 등의 기능은 지원되지 않고 있다. 기술 개발 문단에 볼 수 있듯이 병기창 맵에서 각 국가 유닛은 XX년형 보병사단, XX년형 전투기 등의 이름을 달고 있어서 국가별 특수유닛 대신 공통의 유닛을 사용한다. 대신 각 국가별로 연구속도나 진행상황이 다르고 무엇보다 교리를 통해 국가별의 개성을 구현하고 있다. *전격전) 독일 보병유닛의 공격, 방어 1업 부여, 기갑유닛에 실드 생성 *대전략) 일본, 영국, 이탈리아 참호(벙커)와 주둔군에 실드 생성 *화력전) 미국 공군의 공격 1업 부여 *지연전) 소련 보병 2기 파괴시, 보병 유닛 1기를 수도에 소환.[* 타 교리는 모두 3기 파괴 당 1기 소환], 경전차(벌쳐) 및 중형전차(탱크) 2기 파괴시 해당 전차유닛 1기를 수도에 소환 *인력전) 중국 보병 1기 파괴시 민병 1기를 수도에 소환 == 기타 == EUD 기술이 많이 적용되다 보니 종종 자주 튕기는 상황이 발생한다. 특히 리마스터를 사용하지 않는 유저가 있을 경우가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