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T91rngj2pc)]}}} || || {{{-1 '''수록 정보'''}}} ||{{{-1 [[DJMAX RESPECT]]}}} {{{-3 (2017)}}} || || {{{-1 '''장르'''}}} ||{{{-1 Piano}}} || || {{{-1 '''BPM'''}}} ||{{{-1 168[* 실제 게임 내에선 1/2인 84로 적용]}}} || || {{{-1 '''작곡'''}}} ||{{{-1 [[Nauts]]}}} || || {{{-1 '''BGA'''}}} ||{{{-1 [[https://twitter.com/ddoollhh|ddoollhh]](원화) / Gunzo(모션)}}} || == 개요 == [[Nauts]]가 [[Far East Princess]]와 함께 제공한 [[DJMAX RESPECT]] 신곡이다. BGA는 세상의 흐름과 동떨어져 고요함만을 벗삼아 살아가던 '탑에 갇힌 아이'와 탑의 주인인 '영주의 아들'의 만남과 헤어짐을 다루고 있다. 둘은 검술 연습을 하거나 이야기를 나누며 어울려지냈지만 이윽고 무장한 사람들이 찾아와 헤어지게 되고 많은 세월이 흐르게 된다. 이후 성장한 청년이 소녀를 찾아온다. 그 뒤 두 사람이 엇갈리는 컷이 나온 후 아이는 바깥에서 성이 불타오르는 것을 본다. 내용에 모호한 부분이 많은 편인데 한계상 탑의 아이 시점에서 묘사되어 보여지지 않은 뒷이야기가 있다고 한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HY_1.png|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405, #f86873)" '''{{{#6c5002 RESPECT}}}'''}}} || ||<-4>'''{{{+5 WHY}}}''' || || 모드 || NM || HD || MX || '''SC''' || ||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187}}}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32}}}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3'''}}} [br] {{{-5 591}}}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7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560}}} || - || -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241}}}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35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10 [br] {{{-5 615}}} || -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72}}}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582}}} || - || [[파일:djmaxsc5.png|width=16]] {{{#purple,#f21cc7 '''5'''}}} [br] {{{-5 598}}}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88e8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2022 DPC 당선 패턴들이 추가 SC 패턴으로 수록되었다. 4/8버튼 모두 ANTi가 제작하였다.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5-hET-DlL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XS6CUN5cv8)]}}}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LssB2bivaQ)]}}} || || 4B SC는 중간중간 노트 밀도가 높아지는 구간이 있으나 3레벨치고는 쉽다. 그냥 물렙 수준을 넘어 4B SC의 모든 패턴 중 가장 쉽다고 평가받으며, 건반형 리듬 게임 기본기가 있다면 초견에 퍼펙트를 딸 수도 있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zLLc7A6Zo4)]}}}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UfMVSIe8aw)]}}} ||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66ivbHFyrM)]}}}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OJqGzOqnKo)]}}} || || {{{#white MX}}}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tS__vpHBwI)]}}} || ||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1SISKTjSfY)]}}}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uL1kwhemq4)]}}} || || {{{#white '''SC'''}}}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FHhLaPuBJo)]}}} || || 8B SC는 5라는 표기 레벨에 비해 패턴 구성이 간단하고 노트 밀도도 낮다. 실제 체감 난이도는 유일한 1레벨 SC인 [[고백, 꽃, 늑대]] SC와 비슷하다는 평가가 다수. 퍼펙트 난이도까지 고려하면 오히려 고꽃늑이 더 어렵다는 평가까지 나오는 희대의 물렙 패턴이다. == [[P의 거짓]] == [youtube(Ly5K4GWYcA0)] 같은 회사의 게임, [[P의 거짓]]에서 어레인지 버전이 수록되었다. 원곡보다 더 애절한 분위기에 아코디언을 더해 게임의 분위기에 맞게 바뀌었다. 어레인지 담당은 DJMAX에서도 다양하게 활동 중인 사운드팀인 Studio LAY-BACK. [[분류:DJMAX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