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60C30 20%, #003478)" {{{#FFFFFF '''W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한국대중음악상|[[파일:KMAlogoblack1.jpg|width=80]]]] || ||<-5> '''{{{#E5D85C 올해의 음악인}}}''' || || 남자: [[이승철]][br]여자: [[이소라(가수)|이소라]][br]그룹: [[클래지콰이 프로젝트]][br](2005년) || {{{+1 →}}} || 남자: [[조규찬]][br]여자: [[이상은(가수)|이상은]][br]그룹: '''W[br](2006년)''' || {{{+1 →}}} || 남자: [[이지형]][br]여자: [[박선주]][br]그룹: [[노브레인]][br](2007년) || ---- }}} || || [[파일:external/music.phinf.naver.net/103717.jpg|width=350]] || || 왼쪽부터 한재원, 배영준, 김상훈. ||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밴드]]. Kona([[코나(가수)|코나]])의 배영준을 중심으로 한재원, 김상훈과 함께 [[2001년]]에 결성한 그룹이다. 1집에서는 코나의 멤버였던 김태영이 객원보컬을 맡았으며, 몇몇 곡엔 정순용, 김상훈 등이 보컬을 맡았다. 이 중 김상훈이 보컬을 맡은 Love라는 작업물에 인상을 깊게 받았는지 본인은 전혀 원하지 않았지만 2집에서는 아예 김상훈이 보컬을 맡는다. 이후에는 [[2006년]] [[웨일(가수)|Whale]]을, [[2012년]] 말에 [[장은아]]를 영입하는 등 객원 보컬을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음악적 색채와 정체성을 감안하면, 여전히 이들 세 명이 밴드의 주축이라 할 수 있겠다. 작곡 및 편곡은 세 멤버가 같이 맡으며, [[작사]]는 배영준이 맡는다고 한다. [[가사]]나 [[제목]]에서 느껴지는 [[덕력]]에서 볼수 있듯, 배영준은 [[만화]]나 [[애니메이션]]을 아주 좋아한다고 한다.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0273457#cb|오마이뉴스 인터뷰 "동시대에 대한 고민이 없으면 진정한 음악도 없다"]] 2집 수록곡 중 소년세계는 동명의 만화 잡지에서, 타이틀 <쇼킹 핑크 로즈>는 야자와 아이의 '[[나나]]'의 대사에서, <만화가의 사려깊은 고양이>는 [[신카이 마코토]]의 '그와 그녀의 고양이에서, <은하철도의 밤>은 [[은하철도 999]]의 모티브가 된 소설 [[은하철도의 밤]]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심지어 Whale과의 1집의 [[제목]]인 Hardboiled는 '''[[은혼]]'''의 [[코제니가타 헤이지|그 Hardboiled 아저씨]]에게서 따왔다고 한다. 수록곡 <오빠가 돌아왔다>에 나오는 [[가사]] '''[[이토 준지|사거리의 미소년]]'''라든지, [[최종병기 그녀]]라든지,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라든지... 특히 신카이 마코토의 엄청난 팬이다. 감독에게 [[언어의 정원]]을 JAS와의 1집의 선행공개곡인 <별을 쫒는 아이>의 뮤직비디오로 쓰게 해달라고 직접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이 노래에 그의 애니메이션이 모두 녹아있다 생각했기 때문이며 결국 허락을 받았다. [[http://music.naver.com/promotion/specialContent.nhn?articleId=4154|네이버 뮤직이 소개한 W]]에 코나 시절부터 W&JAS 1집까지가 충실하게 소개되어 있으니 참고해보자. 플럭서스를 나간 이후에는 인터뷰를 찾기가 힘들다. == 연혁 == === Where The Story Ends (W) === Kona(코나)의 배영준을 중심으로 한재원, 김상훈과 함께 2001년에 결성한 그룹. 코나 시절부터 '우리의 밤은 당신의 낮보다 아름답다', '마녀, 여행을 떠나다.' 등을 히트시키면서 팬들을 모아왔던 배영준은 코나 5집의 세션 작업 중 알게 된 한재원, 김상훈과 함께 2001년에 Where the Story Ends라는 이름의 밴드를 결성하고, 1집 '''<안내섬광>'''을 발표했다.[* http://blog.donga.com/gesomoon/archives/7 이들의 인터뷰 기사인데, 훨씬 더 자세한 내용이 있다.] 당시 생소했던 일렉트로닉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기존의 코나 팬들과 마니아들 사이에서 팬층을 쌓았지만, 대중적으로 인기를 끌지는 못하였다. 음악웹진 100beat에서 2000년대 베스트 앨범 Top100에 꼽기도 했다. [[http://100beat.hani.co.kr/archives/9916W|리뷰 보기]] 2005년에 밴드 이름을 W로 간단히 줄이고,[* 멤버들의 부모님들이 밴드 이름을 어려워해 하는 것을 보고, 이름을 바꿔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2집 ''''''을 발표했다. 평단의 반응은 굉장히 호의적이어서,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2007년에 음악전문 웹진 가슴네트워크에서 선정한 리스트.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에 뽑히기도 했고,[* 97위. 이 리스트에서 상대적으로 일렉트로니카 계열은 약세를 보이는데, 이 앨범과 함께 같이 뽑힌 일렉트로니카 계열의 앨범이 바로 [[클래지콰이]] 1집 . 재미있는 점은 둘다 플럭서스 레이블 소속이다.] 2006년 제3회 [[한국대중음악상]] 그룹 부문 올해의 가수상, 최우수 팝 앨범상을 받는 등, 평단과 대중 양쪽에서 호평을 받아내는데 성공한다. 앞에 말한 2000년대 베스트 음반 TOP 100에도 꼽혔다. 2집 타이틀 곡인 "쇼킹 핑크 로즈(Shocking Pink Rose)"는 TV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의 O.S.T에 사용되기도 했다. 2015년 8월 20일 홍대 라이브클럽데이에서 남성 객원보컬 Why와 2집의 수록곡으로 무대를 꾸며 상당히 좋은 반응을 이끌어내었다. 2016년 EP앨범 에서 타이틀곡 <미식가>의 보컬을 Why가 맡았다. 2016년 3월 11일 W 3인 체제로는 8년만에 EP 앨범 을 발표했다. W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Whale과 Jas를 비롯하여 오디션을 통해 새롭게 객원보컬로 합류한 Why, W가 프로듀싱을 맡았던 밴드 [[안녕바다]]의 보컬 나무, 밴드 망각화의 보컬 양주영, 호란이 앨범 내 각수록곡의 보컬로 참여했다. 앨범 선공개곡으로 호란이 보컬로 참여한 와 Whale이 보컬을 맡은 <카우걸을 위한 자장가는 없다>를 공개했다. === W&Whale === [[파일:external/image.bugsm.co.kr/80023263.jpg|width=500]]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새로운 [[보컬]] '''[[웨일(가수)|웨일]]''' [[내 이름은 김삼순]] 등의 각종 [[OST|O.S.T]] [[앨범]]에 참여하며 활동을 이어가던 중, MBC 드라마 [[케세라세라(드라마)|케세라세라]] OST 내 '월광(月狂)'이라는 곡을 통해 새로운 [[보컬]] Whale을 처음 선보였다. 그리고 [[2008년]] W&Whale이라는 이름으로 1집 '''<[[Hardboiled]]>'''를 발표하였다. [[SK브로드밴드]] 광고음악으로 1집 수록곡인 '[[R.P.G. Shine]]'을 개사한 CM송이 사용되어, 대중들에게 상당히 친숙해진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앨범]]에 수록된 'Dear my friend'는 극장판 포켓몬스터 DP [[기라티나와 하늘의 꽃다발 쉐이미]]의 주제곡으로 쓰였다.[* 후에 이 영향을 받아 그룹에서 나온 웨일은 [[비크티니와 영웅 시리즈]] 한국판 주제곡을 부르게 된다.] 이듬해 1집의 리믹스 버전격인 ''''''를 발매했고, 이후 1곡의 [[싱글]]과 2011년 [[미니앨범]]인 ''''''를 발매했다. [[음악여행 라라라]]에서 [[편곡]]하여 부른 [[동방신기]]의 Mirotic이 유명하다. [[http://www.dailymotion.com/video/x9n1p7_w-whale-mirotic-dbsk-cover_music|보러가기]] 2012년 2월 Whale의 [[트위터]]를 통해 W와 Whale이 이별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트윗 상으로 보면, 어떤 갈등이 있었다기보다는 Whale과 플럭서스 레이블과의 계약 만료와 솔로 활동에 대한 의지에 의한 자연스러운 과정인 듯하다. [[피처링]] 요구가 있다면 기꺼이 함께 하겠다는 멘션으로 볼때 W&Whale은 아니더라도, 언제든지 같이 작업할 여지는 충분히 있어 보인다. 2015년 8월의 홍대 라이브클럽데이에서 '오빠가 돌아왔다', 'R.P.G. Shine' 등을 부르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2016년 3월 19일자 [[유희열의 스케치북]]에 W&Whale로 잠깐 모여 ‘R.P.G. Shine’을 부르고 W가 26일자 신곡 ‘카우걸을 위한 자장가는 없다(feat.Whale)’을 홍보했으며 Whale도 곧 솔로앨범을 발표할 예정이라 밝혔다. 스케치북에서 제목의 의미는 현대를 고달프게 살아가는 여성들을 위한 응원가로 밝혔지만 뮤직 비디오의 연출과 제목의 '카우걸'을 보았을 때 애니메이션 [[카우보이 비밥]]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 분명해보인다. 2017년 5월 14,21일 [[복면가왕]]에서 웨일이 [[주먹쥐고 노래해 포카혼타스]]라는 가명으로 참가해서 준결승에 올랐다. === W&JAS === [[파일:external/www.fluxusmusic.com/437_a.jpg]] 세 번째로 새로 영입된 보컬 '''[[장은아]]'''(JAS) 네이버 [[온스테이지]][[http://music.naver.com/onStage/onStageReview.nhn?articleId=4323|영상]] 웨일의 탈퇴 이후 활동이 뜸했던 W는 2012년 12월 17일, 공식 트위터[[http://twitter.com/WnJAS|#]]에 새로운 보컬의 영입과 함께 W&JAS라는 새로운 프로젝트 밴드의 결성을 발표했다. 보컬은 바로 장은아. 영화 [[국가대표]] OST이기도 했던 [[러브홀릭|러브홀릭스]]의 싱글 [[Butterfly(러브홀릭스)|Butterfly]]의 보컬 중 한명이었고, 동 밴드의 1집[* [[지선(가수)|지선]]의 탈퇴 이후 발매한 앨범의 1집을 말한다.] 타이틀 곡인 '아픔'의 보컬을 맡기도 했으며, 뮤지컬 배우이기도 하다. 아마 대중들에게는 [[보이스 코리아]]에서의 모습이 더 익숙할 것이라 생각된다. 2012년 12월 18일 JTBC 드라마 [[우리가 결혼할 수 있을까]]의 OST 싱글 음원을 통해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한편 2014년 6월, 플럭서스에서 골드에이트미디어로 소속사를 옮겼다. 2019년 1월 20일 복면가왕에서 [[코드네임 불난 위도우]]라는 가명으로 참가해 94대 가왕으로 등극하였다. == 디스코그래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밴드)/디스코그래피)] [각주] [[분류:W(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