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버투스.프로}}}''' || ||<-2> '''Virtus.pro''' || ||<-2> [[파일:Virtus.pro_2019.png|width=300]] || || '''창단''' ||[[2003년]] [[11월 1일]] || || '''소재지''' ||[include(틀:국기,국명=러시아)] || || '''CEO''' ||니콜라이 페트로샨 || || '''투자자''' ||아람 카라마누캰 || ||<|6> '''종목''' ||[[카운터 스트라이크 2]] || ||[[도타 2]]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Free Fire]] || ||[[워페이스]] || || '''링크''' ||[[https://virtus.pro/en/| [[파일:Virtus.pro_2019.png|width=20|height=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irtuspro, 크기=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VPProdigy, 크기=20)][* VP.Prodigy.] [[https://www.instagram.com/virtuspr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www.virtus.pr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br][[https://www.youtube.com/virtuspr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channel/UCAb7C5_GWYjm1J6hbGRh9eQ|[[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VP.Prodigy.]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3년 창단한 [[러시아]]의 [[e스포츠]] 프로게임단으로 창단 이래로 50명 이상의 선수가 거쳐갔고, 러시아 국내외에서 10가지 이상의 종목에서 100개의 금메달, 170개의 은메달 220개의 동메달을 획득한 것을 자랑스럽게 홈페이지에 걸어놓는 팀이다. 당연히 이로 인해 불리는 별명은 '''러시아 e스포츠의 기둥'''. 버투스 프로 홈페이지에서는 팀 소개뿐만 아니라 러시아어로 진행되는 게임 방송 및 게임 전략 소개란 등도 있어 [[팀리퀴드]]처럼 일종의 커뮤니티 역할도 하고 있다. == 운영 중 == [include(틀:Virtus.pro)] === [[카운터 스트라이크 2]]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irtus.pro/카운터 스트라이크)] === [[도타 2]] === [include(틀:도타2 프로게임단)] ==== 개요 ==== [[The International 2014]] 이후 2팀을 창단해 2팀 체제를 갖췄으나 정작 [[Xenics|1팀이던 Virtus.Pro가 해체되고 2팀이던 ASUS.Polar 선수들을 영입하면서]] 지금의 로스터가 만들어졌다.[* 원래 ASUS.Polar에 소속되어 있던 Mag이 탈퇴하고 Virtus.Pro 1팀 소속이던 God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어쨌든 ASUS.Polar 시절 성적을 바탕으로 TI5에 초청받는데에 성공했다. [[The International 2015]]의 Group Stage에서 2승 3무 2패 승점 9점으로 Upper Bracket 끝자락에 걸치는가 했지만 동률이었던 [[Team Empire]]와의 타이브레이커에서 패배함으로서 Main Event에 Lower Bracket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여곡절 끝에[* 팀의 미드레이너 God 선수가 구토때문에 퍼즈를 하는 상황도 있었다.] Fnatic., compLexity Gaming, Team Secret 을 차례로 잡아내며 선전했고 현재 TI5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유럽, CIS 팀이 되었다. 타 프로 팀에 비해 특이한 캐리픽을 자주 하는 편이다. 그러나 [[The International 2016]] 본선 진출에 실패한 뒤 2016년 7월 1일자로 해체되었다...인줄 알았으나 8월 4일에 새로운 로스터를 발표했다. 해체는 아니었던 듯. 대신 기존에 있던 선수 전원은 나갔고, 5명 모두 새로운 선수들로 영입했다. 이 때부터 VP의 상승세가 시작되었는데, 보스턴 메이저에서 8강, 그리고 키예브 메이저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TI 우승후보로 급부상하였다. 그러나 [[TI7]]에서는 LFY와 Team Liquid에게 연달아 패배하고 5-6위에 머물렀다. 그리고 TI7이 끝나고 새로 시작된 Dota Pro Circuit(DPC) 2017-2018에서 압도적인 활약을 펼치면서 포인트 12372를 적립하고 1위로 [[TI8]]에 직접 초청되었다. 덕분에 이번엔 정말로 TI를 우승하는 팀이 될 것이란 전망도 많이 나왔고, 아무리 못해도 TOP3에는 들어갈 것이란 평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모두의 기대와 달리, 승자조에서 PSG.LGD에게 완패를 당하고 패자조로 떨어졌다. 패자조에서 Mineski와 Optic Gaming을 꺾고 계속 올라갔지만, 결국 Evil Geniuses에게 무기력하게 패배하면서 2015년과 2017년에 이어서 또 5-6위에 그쳤다. 5-6위는 분명 뛰어난 성적이다. 하지만 2018년엔 다른 어느 때보다 강력한 모습을 보였고, 실제로 대회 성적도 엄청났던 VP였기 때문에 TI8에서의 성적은 실망스러울 수 밖에 없다. TI9에서도 그룹 스테이지에서는 가까스로 승자조에는 올라갔으나 메인 스테이지 개막전에서부터 PSD.LGD에게 무기력하게 패배하고 패자조로 내려갔다. 그리고 패자조에서도 RNG에게 2대0으로 석패하면서 TI9에서도 결국 광탈을 하면서 TI7이후 이어지는 TI 잔혹사를 이어갔다. 2020년 말에 자체 유스팀인 VP.Prodigy 멤버를 전부 VP로 옮기면서 젊은 팀으로 변신했다. 이후 2021년 내내 CIS 1위팀으로 군림했고, 메이저 2번에서는 별 성적을 내지 못했지만 여름에 열린 2번의 ESL에서 2위, 3위를 기록하며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TI10에서는 나름 선전했지만 메인 이벤트 승자조 4강에서 압도적인 포스를 자랑하던 LGD에게 무난히 패배하고, 패자조에서 벌어진 Team Spirit과의 CIS 내전에서도 Team Spirit의 자신감 넘치는 플레이에 명장면만 대량으로 헌납하고 패배하며 또 5-6위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심지어 Team Spirit은 Na'vi 이후 처음으로 CIS 팀으로서 TI10 우승까지 차지하면서 VP 입장에서는 CIS 팬들의 관심마저도 빼앗기고 말았다. 선수 명단 * Nightfall (Egor Grigorenko/러시아) - 캐리 * gpk (Danil Skutin/러시아) - 미드 * DM (Dmitry Dorokhin/러시아) - 오프레인 * Save- (Vitalie Melnic/몰도바) - 4번 서포터 * Kingslayer(Illias Ganeev/러시아 - 5번 서포터 ==== VP.Prodigy ==== [[파일:VP.Prodigy logo.png|width=300]] 2020년 4월 1일 VP에서 2군팀 창단을 발표했다. [[https://virtus.pro/en/articles/virtus-pro-launches-second-dota-2-roster-vp-prodigy|#]] === [[레인보우 식스 시즈]]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irtus.pro/레인보우 식스 시즈)] ===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 === [[Free Fire]] === === [[워페이스]] === == 해체 == === [[월드 오브 탱크]] === * Dmitry Kasatkin (KycoK_Ov4arku/러시아) * Ivan Fefelov (Break_neck/러시아) * Maxim Sinichkin (Dellight/러시아) * Sergei Osipenko (JustCauz/러시아) * Andrey Kasparov (koreetz/루마니아) * Ivan Fokin (Vors1k/러시아) * Victor Novokhatskiy (bishop/루마니아) * Roman Pavlenko (povel/우크라이나) ===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 [include(틀:히어로즈 프로게임단/해체)] 2015년 6월 28일 아마추어팀 '''Team ASH'''을 인수해 창단했다.[* [[https://www.facebook.com/www.virtus.pro/photos/a.420763317988241.98978.420750671322839/909225825808652/?type=1&theater|참조]]] 창단 이후 메이저 대회에서 항상 중하위권에만 머물렀으며 결국 [[DreamHack AllStars Tours 2016]]를 끝으로 해체했다. ==== 해체 당시 멤버 ==== * '''우세볼로드 데미야넨코(Всеволод Дем'яненко / 우크라이나) (CEBKAJE)''' - Carry * 올레흐 본다렌코(Олег Бондаренко / 우크라이나) (PowerOfDreams) - Tank * 블라디슬라프 젤린스키(Владислав Зелински / 러시아) (Neon) - Flex ==== 전 멤버 ==== * 스테판 질린(Степан Жилин / 러시아) (Kunichan) * 알레나 슈시판니코바(Алена Шушпанниковa / 러시아) (Gela)[* 히어로즈 프로게임계에서 세계적으로 유이한 여성 프로게이머로 활약하고 있다. 게다가 여느 남성 프로게이머 못지 않은 실력도 갖추고 있어 인기가 많다.] * 안드레이 피시코프(Андрей Пишиков / 러시아) (AndyLendi) * 일리야 그리고리예프(Илья Григорьев / 러시아) (Unnstable) * 아르투르스 흘리보우스(Arturs Hlibovs / 라트비아) (bkbgrnrjefek) - [[Team Liquid]]로 이적 * 예브게니 예브도키모프(Евгений Евдокимов / 러시아) (Lunarn) - Support === [[스타크래프트 2]] === [include(틀:SC2 프로게임단)] 스타2팀은 2011년 12월 1일 창단했지만 2014년 7월 1일 해체하였다. 대신 [[리그 오브 레전드]] 팀에 초점을 맞춘다고 발표하였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irtus.pro/리그 오브 레전드)] === [[팔라딘스]] === === [[Apex 레전드]] === === [[포트나이트/배틀로얄]] === ==== 멤버 ==== |||| {{{#black '''Virtus.pro'''}}} || || {{{#white 선수}}} || Artur Kurshin(7ssk7)[br]Jamal Saydaev(Jamside) || ==== 전 멤버 ==== * Dmitriy Geynts(HURMA) * Seid-Magomed Edil'gireev(FiveSkill) === [[배틀그라운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Virtus.pro/배틀그라운드)] 12월 14일 [[Northern Lights(e스포츠 팀)|Nothern Lights]] 팀 선수들을 통째로 인수했다. == 로고 변천사 == [[파일:Virtus_Pro_Original_Logo.png]] 2003년 ~ 2011년 [* 카스 전문팀 시절.] [[파일:294px-Virtus_Pro_Logo_2012.png]] 2012년 ~ 2012년 11월 [[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Virtus.png|width=250]] 2012년 11월 ~ 2018년 8월 초 [[파일:Vp-megafon-style.png|width=250]] 2018년 8월 초 ~ 2018년 12월 31일 [[분류:e스포츠 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