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태용의 동명의 수록곡, rd1=SHALALA, anchor1=Virtual Insanity)] ||<-2> '''{{{+1 Virtual Insanit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Virtualinsanity.jpg|width=100%]]}}} || || '''수록 음반''' ||Travelling Without Moving|| || '''발매일''' ||[[1996년]] [[8월 19일]]|| || '''장르''' ||[[펑크(음악)|재즈 펑크]], [[애시드 재즈]]|| || '''재생 시간''' ||5:40^^(앨범 버전)^^[br]4:04^^(싱글 버전)^^[br]3:46^^(라디오 에디트)^^|| || '''레이블''' ||소니 소호 스퀘어|| || '''작사/작곡''' ||제이 케이, 토비 스미스|| || '''프로듀서''' ||알 스톤|| || '''B-Side''' ||Do You Know Where You're Coming From[br]Bullet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4JkIs37a2JE)]}}}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b9Y4TACmvE8)]}}} || || 뮤직비디오 || 앨범 버전 || 1996년에 발매된 [[자미로콰이]]의 노래. 제3집 '움직이지 않는 여행(Travelling Without Moving)'의 2번째 수록곡이다. [[일본]] [[센다이]]의 지하 상점가를 걷다가 영감을 떠올린 곡이라고 한다. 가사는 유전자 조작, [[우생학]] 등의 무분별하게 발전되며 악용될 수 있는 과학과 미래 기술을 비판하는 내용. == 뮤직비디오 == [[조나단 글레이저]]가 감독했다. 글레이저 뮤직 비디오 감독 시절 대표작으로 꼽힌다. 해당 곡의 뮤직비디오는 조명이 있고 사방이 콘크리트 벽인 무미건조한 방에서 보컬 제이케이(제이슨 케이)혼자 춤추고 노래하는 장면으로 진행되는데, 제이케이의 움직임에 따라 바닥의 소파가 움직이고 제이케이도 컨베이어 벨트에 서있는 것처럼 밀려나거나 당겨지거나 한다. 이 건조한 콘크리트 벽 세트의 디자인은 일본의 건축가 [[안도 타다오]]가 1976년에 만든 연립 주택의 디자인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세기말]]이 다가오던 시절인지라 가사와 어울러져 당시로써는 굉장히 신선한 뮤직비디오로 호평받으며 97년 [[MTV]] 어워드에서 여러 부문에 후보로 올라 '올해의 뮤직비디오 상', '최우수 비주얼 이펙트', '최우수 촬영상' 을 수상했다. 뮤직비디오에서는 마치 바닥이 움직이면서 소파가 벽으로 밀려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방의 벽 자체가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컨베이어 벨트 식으로 만들면 아무래도 티가 나기 때문에 벽이 통째로 움직이게 만든 듯. [* 영상 내에서도 벽 자체가 움직이고 있다는 걸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바로 0:55 부근 제이케이랑 다른 사람들이 밀려나는 (실은 벽이 뒤로 물러나는) 장면인데, 벌레가 있는 방바닥을 보여주고 틸트 업 하면서 해당 벽이 등장한다. 또한 해당 장면을 자세히 보면 화면 끝에 제이케이가 첫 등장했던 출구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벽이 고정되고 바닥이 움직였다면 힘들었을 장면.] 소파는 벽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가 볼트를 풀고 벽을 움직이면 마치 소파가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고 한다. 중간에 나오는 벌레도 CG가 아니라 진짜 벌레를 스튜디오에 풀어놓고 아무렇게나 기어가게 만든 것이다. [[https://youtu.be/nY6YwZzKzTI|관련 영상]] == 가사 == ※ ''이탤릭체''로 표시된 가사는 뮤직비디오 버전에서 생략된 부분이다. ||<:> '''{{{+4 Virtual Insanity}}}''' Ooh, hey-hey, aw What we're livin' in? 우리는 어디에 살고 있는가? Let me tell ya 내가 알려 주지 And It's a wonder man can eat at all 뭐든 먹을 수 있다니 인간은 정말 놀라워 When things are big that should be small 작아야 할 것들이 너무 커져버렸는데 Who can tell what magic spells well be doing for us 우리가 스스로 무슨 마법을 걸었는지 누가 장담할 수 있겠어 And I'm giving all my love to this world 나는 이 세상에 내 모든 사랑을 주고 있는데 Only to be told 듣는 것밖에 할 수 없어 I can't see 난 볼 수 없고 I can't breathe 숨조차 쉴 수 없고 No more will we be 아무것도 할 수 없어 And nothing's going to change the way we live 어느것도 우리의 삶의 방식을 바꾸진 못해 'Cause we can always take but never give 우린 항상 얻어내기만 하고 주는 건 없으니까 And now that things are changing for the worse see 그러니 모든 게 항상 나빠지기만 하지, Woah, its a crazy world we're living in 이거 봐, 우리가 사는 세상은 정말 미쳤어 And I just can't see that half of us immersed in sin 우리 중 절반은 죄악에 빠져가고 Is all we have to give these 이런 걸 물려줘야 한다니 차마 볼 수가 없어 Futures made of virtual insanity now 가상의 광기로 만들어진 미래 Always seem to, be governed by this love we have 우리가 가진 사랑으로 지배되는 것처럼 보이지 For useless, twisting, of our new technology 쓸모없고 뒤틀린 우리의 신기술을 위해 Oh, now there is no sound, for we all live underground 이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아, 우린 모두 지하에서 살고 있으니까 And I'm thinking what a mess we're in 우리가 얼마나 엉망인지 생각하고 있었어 Hard to know where to begin 어디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어 If I could slip the sickly ties that earthly man has made 지구에 사는 인간이 만든 병든 관계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면 And now every mother, can choose the colour 모든 어머니들은 피부색을 정할 수 있겠지 Of her child 자신의 아이들의 That's not natures way 그건 자연의 방식이 아니야 Well that's what they said yesterday 그건 어제도 했던 얘기들이니까 There's nothing left to do but pray 이젠 기도할 수밖에는 없어 I think it's time I found a new religion 지금이 새로운 종교를 창시할 때야 Woah it's so insane 와, 정말 미쳤어 To synthesize another strain 또다른 변종을 합성한다니 There's something in these 우리가 말한 이런 미래에는 Future's that we have to be told. 무언가가 있겠지 Futures made of virtual insanity now 가상의 광기로 만들어진 미래 Always seem to, be governed by this love we have 우리가 가진 사랑으로 지배되는 것처럼 보이지 For useless, twisting, of our new technology 쓸모없고 뒤틀린 우리의 신기술을 위해 Oh, now there is no sound, for we all live underground 이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아 우린 모두 지하에서 살고 있으니까 Now there is no sound 이젠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아 If we all live underground 우리가 모두 지하에서 살고 있다면 And now it's virtual insanity 이게 바로 가상의 광기야 Forget your virtual reality 가상의 현실은 잊어버려 Oh, there's nothin' so bad 그렇게 나쁘지는 않아 I know yeah ''(take it to the dance floor)'' 난 알아 ''Ooh, I know I can't go on'' ''나는 이렇게 살 수 없다는 걸 알아'' ''Ooh, of this virtual insanity we're living in'' ''우리가 살고 있는 이 가상의 광기라는 것'' ''Has got to change, yeah'' ''바뀌어야만 해, 그래'' ''Things will never be the same'' ''모든 것은 예전 같지 않겠지'' ''And I can't go on while we're living in, oh'' ''나는 이렇게 살 수는 없어'' ''Oh, virtual insanity'' ''가상의 광기에서'' ''Oh, this world has got to change'' ''이 세상은 바뀌어야만 해'' '''Cause I just, I just can't keep going on'' ''나는 이렇게 살아갈 수는 없으니'' ''In this virtual, virtual insanity'' ''이런 가상의 광기에서'' ''That we're livin' in, that we're livin' in'' ''우리가 살고 있는, 우리가 살고 있는'' ''And a virtual insanity is what it is'' ''가상의 광기, 바로 그거야'' ''Yeah, ooh'' Futures made of virtual insanity now 가상의 광기로 만들어진 미래 Always seem to, be governed by this love we have 우리가 가진 사랑으로 지배되는 것처럼 보이지 For useless, twisting, of our new technology 쓸모없고 뒤틀린 우리의 신기술을 위해 Oh, now there is no sound, for we all live underground 이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아 우린 모두 지하에서 살고 있으니까 ''Oh, futures made of, now, virtual insanity'' ''가상의 광기로 만들어진 미래'' ''Now we all, we seem to be governed by a love'' ''우리가 가진 사랑으로 지배되는 것처럼 보이지'' ''For these useless twisting of our new technology'' ''쓸모없고 뒤틀린 우리의 신기술을 위해'' ''And now there is no sound, for we all live underground'' ''이제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아 우린 모두 지하에서 살고 있으니까'' ''Yes, we do, oh'' ''그래'' Now, this life that we live in 이제, 이게 우리가 살고 있는 인생이야 it's all goin' wrong 모든 게 다 잘못되었어 Out of the window, you know 창밖에 있는 모든 것들이 that there is nothing worse than 참견하며 사는 것만큼 (Livin' in) a meddling man 나쁜 건 없어 there is nothing worse than 어리석은 사람으로 사는 것만큼 (Livin' in) a foolish man, hey! 나쁜 건 없어 Virtual insanity is what we're livin' in, yeah, yeah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이 가상의 광기 Well, it's alright 모든 것은 괜찮아 [br]|| == 여담 == * [[패밀리 가이]] 14시즌의 한 에피소드에서 작중 등장인물인 [[카터 퓨터슈미트]]가 해당 곡과 뮤직비디오를 패러디한 장면이 2023년 재발굴되며 [[인터넷 밈]]으로 등극했다. [youtube(arnF_g7_TKE)] * 반다이의 [[S.H.Figuarts]] [[https://www.youtube.com/watch?v=rpgcbV2u0RE|자미로콰이 액션 피규어 홍보 영상]]에서도 해당 제품으로 뮤직비디오의 장면을 재현했다. 다만 실사 스톱모션이 아니라 3DCG로 구현한 것으로, 자세히 보면 팔을 치켜드는 동작에서 어깨쪽 부품이 겹쳐 들어가는 [[옥에 티]]를 확인할 수 있다. [[분류:1996년 노래]][[분류:1996년 싱글]][[분류:애시드 재즈]][[분류:인터넷 밈/영미권]][[분류:인터넷 밈/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