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Eyemedia의 곡 == === [[Cytus]] === [include(틀:Cytus/Chapter0)] ||<-3> '''Violet''' || ||<-3>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0-9.png|width=240]] || || 작곡 ||<-2> Eyemedia || || 보컬 ||<-2> - || || 일러스트 ||<-2> - || || BPM ||<-2> 152 || || 연주 시간 ||<-2> 1:34 || || || EASY || HARD || || 레벨 || 3 || 9 || || 노트 수 || 291 || 607 || || '''특이사항''' ||<-2> '''챕터 P 보스곡 1''' || [youtube(0fqanGrGsIc)] Hard레벨의 채보를 분석해보자면, Cytus 전체 수록곡 중 네 번째로 짧은 매우 짧은 곡의 길이와 시작한지 30초만에 전체 노트 중 1/3을 쏟아붓는 [[초살#s-2.1]]곡인데, 쉴 틈 없이 쏟아지는 트릴과 숨 돌릴 틈 없이 튀어나오는 지그재그 드래그의 압박이 심하다. 처음 수록되었을 때는 화면이 작은 비타전용 챕터에 수록된 곡이라 까다로웠지만, 이후 6.1 업데이트로 아이패드로 플레이가 가능해지면서 [[Blue Eyes(Rayark)|Blue Eyes]]와 함께 상당히 위상이 낮아지고 있다. [[Megaera]]보다 밀리언 마스터가 많은 정도라고... 심지어 그것도 TP 100들이 대부분이다. 심지어 [[http://youtu.be/oa70DZ2k64w|한 손으로 TP 100을]] 찍는 [[Eugene Kua|플레이어]]도 나왔다. 오히려 아이패드 유저들에겐 [[Megaera]]가 더 어렵다는 평이 나올 정도. 반대로 폰으로 이 곡을 플레이하면 보스곡 포지션 답게 딱 보스곡이다. [[Blue Eyes(Rayark)|Blue Eyes]], [[Megaera]]와도 난이도에 대한 이견이 갈리는 편인데 그 특유의 가두리패턴이 생소한 패턴이라 개인차를 좀 타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Eyemedia가 작곡한 4곡[* [[Holy Knight]], [[Requiem(Rayark)|Requiem]], [[Bloody Purity]], Violet.] 전부 다 트릴 위주의 곡이었다. === [[VOEZ]] === * [[VOEZ/수록곡]] ==== 채보 ==== ||<-4> '''Violet''' || ||<-4> [[파일:voez_cytus2_violet.png|width=300]] || || 작곡 ||<-3> eyemedia || || BPM ||<-3> 152 || || || Easy || Hard || Special || || 레벨 || 6 || 15 || 14 || || 노트 수 || 223 || 704 || 587 || 8월 25일에 업데이트된 Cytus 팩 2의 수록곡이다. ===== Easy ===== [youtube(tV6hEMShb3w)] AP 영상 무난한 6렙의 곡이다. ===== Hard ===== [youtube(mcCcPK_rFoA)] AP 영상 1분 30초간 700개의 노트를 쏟아붓는 채보. 슬라이드의 비중도 적은 편이다. 시종일관 빠른 트릴을 떨어뜨려서 플레이타임에 비해 체력 소모가 큰 편이며, 한 손 엇박 트릴, 라인이 교차하는 트릴 등 점수를 떨어트리는 패턴도 산재해있어 스코어링 또한 만만치 않다. 트릴 처리력이 좋지 않으면 체감 난이도가 더욱 올라간다. ===== Special ===== [youtube(W5ctvEVT_DA)] AMP 영상 하드와는 다르게 롱노트와 슬라이드의 비중을 대폭 늘리고, 뻘미스를 유도하는 패턴으로 무장했다. 초, 중반부는 14레벨 치고는 무난하게 넘어올 수 있지만, 문제는 후반부. 라인장난을 하며 떨어지는 롱노트 동시치기부터 시작해서, 4개의 라인 위로 우수수 떨어지는 슬라이드, 최후반의 배배 꼬인 롱노트, 단타로 FC를 어렵게 한다. 위 영상처럼 여러개의 손가락으로 처리하지 않으면 제대로 처리해내기 매우 어렵다. 후살이 심한 14레벨 채보. 그래도 노래가 짧고 박자도 정박이니 AMP가 어렵지는 않다. == Yohei Kimura의 곡 == [youtube(FnC56GmqD1Y)] 일본의 기타리스트 기무라 요헤이가 Cytus II에 투고한 노래이다. 사용된 기타 모델은 [[Carvin]] DC800. === [anchor(C2)][[Cytus II]] === [include(틀:Cytus II/Xenon)] ==== 채보 ==== ||<-4> '''{{{#fff Violet}}}''' || ||<-4> [[파일:Violet (cytus II).jpg|width=300]] || || 작곡 ||<-3> Yohei Kimura || || BPM ||<-3> 190[* 스크롤속도 95~190] || || 연주 시간 ||<-3> 2:53 || ||<|2> 레벨 || '''{{{#fff EASY}}}''' || '''{{{#fff HARD}}}''' || '''{{{#fff CHAOS}}}''' || || 2 || 7 || 14 || || 노트 수 || 206 || 743 || 1305 || || 특이사항 ||<-3> '''챕터 Xenon 보스곡''' || ||<-2> '''{{{#fff 해금 조건}}}''' || || '''{{{#fff EASY}}}''' ||<|3> Xenon Lv.40 달성 || || '''{{{#fff HARD}}}''' || || '''{{{#fff CHAOS}}}''' || ===== Easy ===== ===== Hard ===== ===== Chaos ===== [youtube(Y9vBiIW75Rk)] '''TP100''' 영상. 플레이어는 musicgames tiace. 대부분의 구간의 난이도 자체만 봤을 때는 13레벨 중위권 정도로 물렙 수준이다. BPM이 190으로 상당히 빠르긴 하지만, 오히려 빠른 BPM 때문에 트릴을 뭉개서 처리해도 판정이 웃어주고, SAMURAI의 핵심 패턴과는 다르게 정박 위주의 처리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손꼬임만 조심하면 그렇게 어렵진 않다. 기습적으로 등장하는 저속 패턴도 몇 번 하다보면 저절로 박자가 익혀지기 때문에 그렇게 위협적이지는 않다. 하지만 보스곡이 된 결정적인 이유는 1102 콤보를 기점으로 갑작스레 [[Sickest City]][* 물론 이쪽은 12비트 양손 동타지만, 터치수는 똑같다.]를 떠올리게 하는 '''24비트 트릴'''이 나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TP작 난이도는 껑충 올랐고, 체감 난이도가 13 중상위권 급에서 14 상위권으로 느껴질 수도 있을 만큼 개인차가 심한 채보가 되었다. 실제로 24비트 트릴만 제외하면 13레벨 중위권과 비슷한 난이도이기도 하고 TP작도 더 쉽기 때문에 SAMURAI보다 쉽다는 의견도 있지만, 24비트 트릴의 인상이 상당히 강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의견은 14레벨 중~중상급의 Xenon 챕터의 보스곡으로 좁혀진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Violet(Cytus II), version=8)] [[분류:Cytus의 수록곡]][[분류:VOEZ의 수록곡]][[분류:Cytus II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