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7636212416_4312cb4e6c_b.jpg|width=100%]]}}} || || '''[[영국해외항공]][* 1974년에 [[영국유럽항공]]과 합병되어 지금의 [[영국항공]]으로 개편되었다.], VC10-1151, [[PFLP 동시다발 하이재킹 사건 |G-ASGN]]'''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국공군VC10.jpg|width=100%]]}}} || || '''[[영국 공군]], VC10 C1K, XR808''' || [목차] == 개요 == '''Vickers VC10''' 빅커스 VC10은 [[영국]] [[비커스(기업)|빅커스]]가 개발한 4발 장거리용 [[협동체]] [[제트기|제트]] [[여객기]]이다. [[1962년]] [[7월]] 초도 비행을 하였으며 [[1964년]] [[4월 29일]] 영국 [[BOAC]]에서 첫 상업비행을 시작했고, [[1970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 개발 == [[영국항공|BOAC]]는 [[DH-106 코멧]]의 [[코메트 여객기 추락 사고|잦은 사고]]로 인하여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빅커스가 고속 화물 [[수송기]]로 개발 중인 [[V-1000]]을 개량한 모델인 [[VC7]]을 해외 [[식민지]] 국가를 연결하는 장거리 [[여객기]]로 대체할 계획을 세웠지만 [[V-1000]]에 [[STOL|단거리 이, 착륙]]이랑 자체 화물 하역 기능을 요구한 [[영국 공군]]의 요구에 빅커스는 난색을 보이며 VC-1000과 VC-7이 개발이 취소되어 버려 [[BOAC]]는 매우 곤란한 상황이 되었고 이에 차선책으로 [[보잉 707]]을 15대 도입하여 [[아프리카]]와 [[아시아]] 등의 [[식민지]] 지역에 투입하였다. 하지만 더운 날씨로 인하여 [[아프리카]], [[인도]]-[[동남아]] 노선에서 운항할 경우 [[엔진]]의 성능 한계를 드러냈는데, 특히 [[파키스탄]]-[[싱가포르]] 노선에는 [[엔진]] 추력이 심각하게 떨어졌고 [[나이지리아]]의 [[카노]], [[케냐]] [[나이로비]]는 [[해발고도]]가 높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가져왔고 [[BOAC]]는 승객과 화물을 줄이는 임시 조치를 취했지만 버틸 수 없어서 [[영국]]의 항공기 업체에 [[아시아]]-[[아프리카]] 노선용 [[제트기|제트]] [[여객기]]의 개발을 문의했는데 [[핸들리 페이지]], [[비커스(기업)|빅커스]]를 포함한 3개 업체가 흥미를 보였는데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에서 고성능을 발휘하는 안을 제시한 빅커스의 제안이 채택되어 VC10이 개발되게 된다. 개발은 순조로웠고 [[1962년]] [[7월]] 초도비행에 성공하여, [[1964년]] [[4월]]부터 [[런던]]-[[라고스]]에 취항하기 시작했다. == 특징 == VC10은 최대한 많은 [[양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날개]] 전체 폭을 걸쳐 [[플랩]]을 설치했고, 객실 소음 저감을 위하여 동체 후방에 [[엔진]]이 장착된 것이 특징인데 이 덕분에 조용하고 안락한 비행이 가능했다. 특히 고온고지 비행에 최적화된 점 덕분에 VC10은 이착륙 성능이 우수하고 순항속도가 높아 성능이 우수한 [[항공기]]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여담으로 [[소련]] [[일류신]]의 [[Il-62]]가 VC10을 모체로 개발되었다. == 최후 == 고온고지 [[STOL|이, 착륙 성능]]에 중점을 둔 VC10은 당시 [[BOAC]]의 주력 노선에 투입하기에는 비경제적이어서 경쟁력이 부족했고 이로 인하여 해외 판매량도 영 좋지 못했다. 결국 비커스는 연비를 높힌 슈퍼 VC10을 내놓았지만 [[보잉 707]]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결국 [[영국]]에서 55대, [[가나 항공]], [[동아프리칸 항공]]에서 9대의 수주가 다였던 VC10은 [[1970년]] 생산이 중단되었고 [[영국]]에서 [[군용기|군용 사양]]으로 사용하던 [[항공기]]는 [[2013년]]까지 운용되고 현재 전량 퇴역하였다. [[분류:항공기]][[분류:비커스(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