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Undead Raving Scare_고화질.png|width=500]] [목차] == 개요 == > > > >ㅡ 업데이트 예고 영상 및 자켓의 문구 [[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 == 사운드 볼텍스 == [include(틀:HEXA DIVER/채홍의 은막편 )] [[HEXA DIVER]] 채홍의 은막편에 수록되었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5>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MAXIMUM || || 자켓 || [[파일:Undead Raving Scare_NOV.jpg|width=150]] || [[파일:Undead Raving Scare_ADV.jpg|width=150]] || [[파일:Undead Raving Scare_EXH.jpg|width=150]] || [[파일:Undead Raving Scare_MXM.jpg|width=150]] || || 레벨 || 00 || 00 || 00 || 19 || || 체인 수 || 0000 || 0000 || 0000 || 2680 || || 일러스트 담당 ||<-4> Minoru (ゾンビの姿)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4> Secret Scarlet || || 수록 시기 ||<-4> VI 77(2023.09.15) || || [[BPM]] ||<-4> 165-250 || === 채보 상세 === 변속곡이지만 대부분의 변속곡처럼 배속조정할 필요 없이 그냥 220BPM에 맞춰진 그대로 치면 된다. 250BPM구간이 약 1.1배 빨라보이겠지만 그 구간은 짧기 때문에 대개 그 정도는 감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도 고속만 말린다면 속도를 살짝 늦추는 걸 고려해볼 수 있다. [youtube(7ggJAFxmjQk, width=405, height=720)] MXM 채보 영상 첫 220BPM구간은 18레벨에서도 많이 봤을 익숙할 BT 재봉틀이 반겨주는데, 220BPM의 12비트이므로 얼리로 말리지 않게 주의해야 하며 3번째 재봉틀은 왼손이 BT를 다 치면 빠르게 L노브로 빠져나와야 함에 유의해야 한다. 4~6번째 재봉틀은 FX 롱노트가 끼었는데 FX가 낀 재봉틀 6타 뒤에 반대편 BT 혹은 노브가 붙어 있어, 양손 번갈아치기 시 FX와 [[赫焉|반대쪽 손이 첫 BT를 치기 시작해야 하는 손배치 낚시 재봉틀]]이다. 4~5번째는 그나마 손을 넓게 써서 세 BT를 한번에 커버할 작정이면 대처가 되나 6번째는 낚이면 19레벨 적정 기준 손 이동 속도가 모자라다. 체력에 자신이 있다면 3연타-3연타(반대쪽 손 → FX 잡은 손)로 끊거나 2연타-2연타-2연타(FX 잡은 손 → 반대쪽 손 → FX 잡은 손) 등의 변형 손배치도 써볼만하다. 다음 165BPM 구간은 롱잡트릴이 반겨주는데, 165BPM이라는 애매한 속도에 16비트 롱잡트릴이라 19레벨 적정도 말릴 수 있다. 다음 220BPM구간은 쭉 원핸드 구간이다. 평이한 원핸드가 이어지다가 이 곡의 가장 특징적인 구간이 1668체인부터 시작한다. [[88배치]]로 처리해도 될 것처럼 보이던 멜로디 DCBA 계단을 1750체인부터 스산한 효과음을 L노브로 처리하면서 원핸드로 처리해야 함을 경고하고, 이후부터 직각노브와 함께 DCBA 원핸드 계단을 쭉 이어나간다.[* 치기 힘든 배치여서 보니 220BPM의 8비트 A→D가 있어서 겉보기에는 비슷한 거리의 [[Invitation from Mr.C|A노트→R노브]]처럼 준무리배치냐고 물을 수도 있는데, 8비트의 A+C → B+D가 준무리배치가 아니므로 C와 B버튼 동시치기를 뺀 8비트 A→D도 준무리배치가 아니다. 비슷하게 AD원핸드가 있는 [[VILE CAT]]의 경우엔 240BPM에 12비트 간격이기 때문에 이 곡보다 훨씬 빠르다. 아마 VILE CAT은 잘 치는데 이 곡은 말린다면 계단 모양때문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말리지 않기 위해서 B를 칠때부터 A를 치고 D를 갈 준비를 미리 하고 있어야 한다.] 이후에는 킥음을 FX, 그 멜로디를 DCBA로 처리하는 노트구간 이후에 감속한다. 이후 180BPM으로 감속했다가 250BPM까지 가속하며 끝난다. 앞서 말했듯 250BPM 구간에서만 말린다면 속도를 살짝 늦추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으나 배속 조절할 시간이 매우 짧기도 하고, 가속구간의 패턴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기도 해서 아예 고속을 외워버리는 것도 나쁘지 않다. == 기타 == [[분류:사운드 볼텍스 익시드 기어의 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