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NCAA)] ||<#c41e3a><-2><:>[[파일:150px-USC_Trojans_logo.svg.png|width=50%]] ||<-2><:>[[파일:new-usc-trojan-logo.png|width=60%]] || ||<-2><:> 모자 로고 ||<-2><:> 구단 로고 || ||<-4><#c41e3a><:> '''{{{#ffef00 {{{+1 USC 트로전스}}}}}}''' || ||<-4><#000066><:> '''{{{#ffffff {{{+1 USC Trojans}}}}}}''' || ||<#c41e3a><:> '''{{{#ffef00 연고지}}}''' ||<-3><(>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 ||<#c41e3a><:> '''{{{#ffef00 소속 리그}}}''' ||<-3><(> '''{{{#c41e3a Pac-12}}} (1959~현재)''' || ||<#c41e3a><:> '''{{{#ffef00 풋볼 스타디움}}}''' ||<-3><(>'''[[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c41e3a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Los Angeles Memorial Coliseum)''' || ||<#c41e3a><:> '''{{{#ffef00 농구 아레나}}}''' ||<-3><(>'''{{{#c41e3a 게일런 센터}}} (Galen Center)''' || ||<#c41e3a><:> '''{{{#ffef00 야구 스타디움}}}''' ||<-3><(>'''{{{#c41e3a 드두 필드}}} (Dedeaux Field)''' || ||<#c41e3a><:> '''{{{#ffef00 축구 스타디움}}}''' ||<-3><(>'''{{{#c41e3a 매칼리스터 필드}}} (McAlister Field)''' || ||<#c41e3a><:> '''{{{#ffef00 약칭}}}''' ||<-3><(><#c41e3a> '''{{{#ffef00 {{{+1 USC}}}}}}''' || ||<#c41e3a><:> '''{{{#ffef00 체육부장}}}'''[* 현지 직함은 'Athletic director'.] ||<-3><(> 제니퍼 코헨 (Jennifer Cohen) || ||<#c41e3a><:> '''{{{#ffef00 대표팀}}}''' ||<-3><(> 21개 종목 || ||<#c41e3a><:> '''{{{#ffef00 홈페이지}}}''' ||<-3><(> [[https://usctrojans.com/|[[파일:150px-USC_Trojans_logo.svg.png|height=35]]]] || [목차] [clearfix] == 개요 == [[USC]]의 체육팀. [[Pac-12]]에 참가한다. [[NCAA]] 대학 스포츠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스포츠 명문이다. 인기 종목인 [[미식축구]] 외에도 수많은 다양한 종목에서 성공을 거두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전 종목 통틀어 수 많은 챔피언십을 차지하며 NCAA에서 3번째로 많은 내셔널 챔피언쉽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위의 두 학교는 같은 Pac-12의 [[스탠퍼드 카디널]]과 [[UCLA]]. 이 셋 때문에 Pac-12는 가장 많은 우승 컨퍼런스가 되었다.] 그 면모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총 '''134'''개의 내셔널 챔피언십을 차지했으며 그중 110개는 [[NCAA]] 챔피언십이다. 이는 [[스탠퍼드 대학교]], [[UCLA]]에 이어서 세번째로 많은 수치이다. *남성팀은 98개의 내셔널 챔피언십(NCAA는 85개)을 차지했으며 이는 '''전미최다'''이다. *여성팀은 36개의 내셔널 챔피언십(NCAA는 26개)을 차지했으며 이는 세번째로 많은 수치이다. *NCAA 남자 개인 타이틀은 '''302'''개를 따냈으며 이또한 '''전미최다'''이다. 미국에서 대학 스포츠란 단순히 아마추어 스포츠만으로 보기엔 워낙 인기와 저변이 어마어마하여 이 스포츠 명문이란 타이틀이 학교 위상에 큰 기여를 하기도 한다. 거기다 학교 재정에도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는데, 예를 들어 '''[[미식축구]] 팀이 전미 1위라도 하면 그 해의 학교의 동문 기부금은 대박난다.''' 게다가 USC처럼 사립대학교인 경우 재학 중인 학생이나 동문들이 재력이 어느 정도 있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USC에서의 미식축구는 좀 더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실제로 2000년대 초중반에는 동문 기부금이 전미에서 [[하버드 대학교]]에 이어 2위를 차지한 적도 있다! 그리고 USC 부흥의 원천에는 엄청난 동문 기부금이 한 몫 하고 있다는 사실 역시 부정할 수 없다. UCLA와 함께 2024시즌부터 [[Big Ten]] 소속으로 변경된다. Pac-12 소속팀간 중계권료 수입 분배를 놓고 갈등이 있었으며 2022년 7월 Big Ten은 USC 및 UCLA의 가입을 승인하였다. == 역대 체육부장 == * 윌리스 O. 헌터 (1925~1957) * 제스 힐 (1957~1972) * 존 맥케이 (1972~1975) * 딕 페리 (1975~1984) * 마이크 맥기 (1984~1993) * 마이크 가렛 (1993~2010) * 팻 헤이든 (2010~2016) * 린 스완 (2016~2019) * 데이브 로버츠 직무대행 (2019) * 마이크 본 (2019~2023) * 제니퍼 코헨 (2023~) == 미식축구 == ||<-4><#c41e3a><:> '''{{{#ffef00 {{{+1 USC 트로전스 미식축구팀}}}}}}''' || ||<-4><#000066><:> '''{{{#ffffff {{{+1 USC Trojans football}}}}}}''' || ||<#c41e3a><:> '''{{{#ffef00 창단}}}''' ||<-3><(> [[1888년]] ^^([age(1888-01-01)]주년)^^ || ||<#c41e3a><:> '''{{{#ffef00 연고지}}}''' ||<-3><(>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 ||<#c41e3a><:> '''{{{#ffef00 소속 리그 및 지구 변천}}}''' ||<-3><(> 독립리그 (1888~1921) [br] PCC (1922~1959) [br] '''{{{#c41e3a Pac-12}}} (1959~현재)''' [br] [[FBS/Big-10|Big-10]] (2024 예정~)|| ||<#c41e3a><:> '''{{{#ffef00 홈 구장}}}''' ||<-3><(>'''[[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c41e3a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Los Angeles Memorial Coliseum, 1923~)''' || ||<#c41e3a><:> '''{{{#ffef00 약칭}}}''' ||<-3><(><#c41e3a> '''{{{#ffef00 {{{+1 USC}}}}}}''' || ||<#c41e3a><:> '''{{{#ffef00 감독}}}''' ||<-3><(> 링컨 라일리 (Lincoln Riley) || ||<#c41e3a><:> '''{{{#ffef00 홈페이지}}}''' ||<-3><(> [[https://usctrojans.com/sports/football|[[파일:150px-USC_Trojans_logo.svg.png|height=35]]]] || ||<-4><#000066><:> '''{{{#ffffff 우승 기록}}}''' || ||<#c41e3a><:> '''{{{#ffef00 내셔널 챔피언십}}}'''[br]{{{#ffef00 (11회)}}} ||<-3><(> '''1928, 1931, 1932, 1939, 1962, 1967, 1972, 1974, 1978, 2003, 2004''' || ||<#c41e3a><:> '''{{{#ffef00 컴퍼런스 챔피언십}}}'''[br]{{{#ffef00 (39회)}}} ||<-3><(> 1927, 1928, 1929, 1931, 1932, 1938, 1939, 1943, 1944, 1945, 1947, 1952, 1959, 1962, 1964, 1966, 1967, 1968, 1969, 1972, 1973, 1974, 1976, 1978, 1979, 1984, 1987, 1988, 1989, 1993, 1995,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17 || ||<#c41e3a><:> '''{{{#ffef00 하이스먼 트로피 수상자}}}'''[br]{{{#ffef00 (8명)}}} ||<-3><(> 마커스 앨렌, [[O. J. 심슨]], 마이크 개럿, 찰스 화이트, 맷 레이나르트, 레지 부시, 칼슨 파머, [[케일럽 윌리엄스]] || ||<-4><#000066><:> '''{{{#ffffff 프랜차이즈 팀 기록}}}''' || ||<#c41e3a><:> '''{{{#ffef00 올타임 기록}}}''' ||<-3>'''878–354–54 (.704)''' || ||<#c41e3a><:> '''{{{#ffef00 볼 기록}}}''' ||<-3>'''34–20 (.630)''' || ||<#c41e3a><:> '''{{{#ffef00 [[NFL]] 드래프트 픽}}}''' ||<-3>'''510명''' - 전미 최다 || ||<#c41e3a><:> '''{{{#ffef00 라이벌리}}}''' ||<-3>vs'''[[노터데임 대학교]]'''[br]vs'''[[UCLA]]''' || 전미 1위를 총 11번 기록한 미국 서부 풋볼, 아니 미국을 대표하는 풋볼 명문으로, [[노터데임 대학교#s-10.1|노터데임 파이팅 아이리시]],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 [[오클라호마 대학교#s-10.1|오클라호마 수너스]]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팀[* 알기 쉽게 유럽 축구로 비교하자면 레알, 바르샤, 맨유, AC밀란, 인테르, 바이에른 뮌헨 이정도 급이라고 보면 된다.]이며 특히 가장 많은 [[NFL]] 드래프트 지명 선수와 가장 많은 [[NFL]] 명예의 전당 선수들을 배출한 학교로 더 유명하며 이곳에서 키워진 유망주들이 선수 외에 지도자, 구단 사무국, 대학 체육부 등지에 뿌리내리기도 한다. 말하자면 '''대학 풋볼의 연예인.''' 우선 학교 자체부터가 문화계 쪽에 강세를 보이며 특유의 남가주의 이미지와 팀 전통, 무수한 [[NFL]] 스타 선수들과 경기를 찾는 셀럽들로 대학 풋볼팀들 중에서 유독 화려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때문에 매년 특급 유망주들이 자기 발로 걸어오는 인기팀이다. 타 학교와 경쟁이 붙더라도 레지 부시같은 레전드가 발벗고 나서서 USC를 선택하라고 리크루팅하기도 한다고. 주로 스타 [[러닝백]]을 많이 배출해 러닝백 사관학교로도 불린다. 언급한 레지 부시가 하이스만 트로피 수상자로 [[대학 풋볼]] 역대 최고의 러닝백으로 꼽힐 뿐만 아니라 [[OJ 심슨]]같은 전설적인 러닝백들도 USC를 나왔다. [[대학 풋볼]]의 아이콘 [[노터데임 대학교]]와 치루는 라이벌전이 대학 풋볼 최대 경기 중 하나로 유명하다. Jeweled Shillelagh라 불리는데 승팀은 이름처럼 보석박힌 곤봉을 받는다. (...) 대체로 다른 유명 대학 풋볼 라이벌전들이 지역, 컨퍼런스 관계로 형성된 열기를 띈다면 이 경기는 FBS의 상징적 두 팀이 정기적으로 맞붙는다는데서 두드러진다. [[UCLA]]와의 라이벌리도 최대 라이벌전으로 꼽힌다. LA지역을 대표하는 두 팀의 대결로 사실상 동교 학생들은 이 경기 승리에 더 목숨걸기도. 이 두 라이벌전과 관련해서 "A Perfect Day"라는 것이 있는데 USC가 이긴 날 저 두 학교가 패배하면 이렇게 부른다고 한다. 최근에는 2000년대 초중반에 걸쳐 7년 연속 [[FBS/Pac-12]] 우승과 내셔널 챔피언십 우승 2회를 이뤄냈었다. 그러나 2010년 초 학교 최악의 흑역사가 터지게 되니 우승 당시 감독이던 [[피트 캐롤]] 전 감독과 러닝백 레지 부쉬의 뇌물수수혐의로 시즌 몰수와 2년간 볼게임 출전정지의 징계를 먹고, 2005년도 챔피언십 트로피와 승리 기록 등이 말소되었으며 장학금 규모 대폭 축소, 선수 리크루트 제한, 벌금 납부, 레지 부시의 유니폼-동상 철거 및 10년간 학교 출입금지 등의 징계을 받아 치명타를 먹었다. 하지만 이보다도 후임 헤드코치였던 레인 키핀이 문제였는데 프리시즌 랭킹 1위로 출발한 2012년은 초반 [[스탠퍼드 카디널]]에게 잡힌 뒤 후반기를 처참하게 망쳤으며 2013년 시즌은 라이벌 UCLA전에도 패하고 지구 3위로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결국 2년 연속으로 메이저 볼게임에도 진출 못한 채 시즌을 마감하게 되자 키핀이 해고된다. 이후에도 뚜렷한 성적은 나오고 있지 않지만 계속해서 좋은 리크루팅 클래스를 모으며 전력을 올리고 있다. 오클라호마 대학교 감독을 맡던 링컨 라일리가 2022년 시즌을 앞두고 지휘봉을 잡았다. === 상징적 인물 === ==== 감독 ==== [[파일:external/assets.sbnation.com/Howard_Jones.jpg]] 12대 감독 하워드 존스 (1925~1940 재임. 1941년 작고). - 내셔널 챔피언 4회 (1928, 31, 32, 39), 로즈 볼 5회 우승(1929, 31, 32, 38, 39)[* 시즌별 기준.]. [[파일:external/bloguin.com/anthony-davis.jpg]] 17대 감독 존 맥케이 (1960~1975 재임. 2001년 작고.) - 내셔널 챔피언 4회 (1962, 67, 72, 74), 로즈 볼 5회 우승 (1962, 67, 69, 72, 74), [[파일:external/a.espncdn.com/la_g_robinson_b3_300.jpg]] 18, 21대 감독 존 로빈슨 (1976~1982/1993~1997 재임. 현재 생존.) - 로즈 볼 4회 우승 (1976, 78, 79, 95), 내셔널 챔피언 (1978) [[파일:external/www3.pictures.gi.zimbio.com/Pete+Carroll+USC+v+Virginia+2ysi4K62u6fl.jpg]] 23대 감독 [[피트 캐롤]] (2001~2009 재임. 현재 [[시애틀 시호크스]] 감독으로 재직중.) - 내셔널 챔피언 획득 (2003, ~~04~~[* 후술될 비리 행위로 인해 삭제.]), 로즈 볼 4회 우승 (2003, 06, 07, 08), 오렌지 볼 우승 (2002, ~~04~~). 24대 감독 레인 키핀 (2010~2013 재임) USC에서 2001~2006년 코치를 역임하고 [[NFL]] [[오클랜드 레이더스]]에서 2년간(2007~2008년) 감독을 맡았지만 2009년 다시 칼리지 풋볼계로 복귀했다. . 2013년 시즌 도중 해임됐다. USC로 올때도 [[테네시 대학교]]에서 상당히 논란을 일으키며 왔는데 결국 USC에서도 망치며 최악의 이미지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해고 뒤 2012 우승팀이자 테네시의 라이벌인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앨라배마]]의 [[닉 세이반]]이 오펜시브 코디네이터로 데려가 재기에 성공한다. --이길 수 없다면 합류해라-- 닉 세이반은 키핀의 후임이었던 스티브 사키지언이 음주 문제로 USC에서 해고된 다음에는 사키지언을 OC 키핀 아래의 OA(offensive analyst)로 영입했다.--이거 뭐지??--[* 닉 세이반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세이반은 선수 뿐만 아니라 코치들의 육성에도 일가견이 있다. 그의 밑에서 공/수 코디네이터 등 코칭 스태프로 재직하다가 타 학교 감독으로 옮겨간 케이스들이 많다. 2022년 1월에 있던 [[조지아 불독스]]와의 내셔널 챔피언전에서 조지아의 41년만의 정상 등극을 이끈 커비 스마트는 닉 세이번 감독 밑에서 수비 코디네이터로 재임했다.] 25대 감독 에드 오제론 (2013년 재임) USC에서 2010~2013년 코치를 역임하고 2013년 레인 키핀 감독의 시즌 중 해임으로 정규시즌 종료까지 감독대행을 역임했다. 그러나 대행 꼬리표를 떼지 못했고 2015년 [[LSU]] 감독직으로 옮겨갔다. 26, 28대 클레이 헬튼 (2013년 볼게임, 2015~2021년 재임) USC에서 2010년부터 코치 생활을 했다. 2013년과 2015년 두 번의 감독대행 생활을 했으며 결국 정식 감독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2021년 시즌 도중 해임됐다. 27대 스티브 사카시안 (2014~2015년 재임) 2015년에 무기한 감독직을 떠났다가 결국 해임됐는데 사유는 [[알콜중독]]이었다. 팀 회의, 팀 연습에 무단 불참한것도 모자라 경기 도중 선수들이 사카시안 감독에게서 술냄새가 풍겼다고 할 정도였다. 레인 키핀처럼 [[닉 세이반]]이 이끄는 [[앨라배마 크림슨 타이드]]에 코치로 합류하여 코칭 경험을 더 쌓았고 2021년부터 [[텍사스 롱혼스]]의 감독으로 재임중이다. 29대 단테 윌리암스 (2021년 재임) 2020년부터 USC에서 코치를 맡았으며 클레이 헬튼의 2021년 중도 하차로 인해 2021년 감독대행으로 3승 7패를 기록했다. 링컨 라일리가 감독으로 부임하면서 다시 코치직으로 돌아갔다. 30대 링컨 라일리 (2022년~현임) [[오클라호마 대학교]]의 링컨 라일리 감독이 2022년 시즌을 앞두고 부임했다.[* 오클라호마 수너스는 [[FBS/Big-12]]에서 2025년 [[FBS|SEC]]로 라이벌 [[텍사스 롱혼스]]와 함께 옮기는 데 이 결정을 라일리는 탐탁치 않아 했다.] 개막전 승리를 시작으로 6연승을 내달리며 AP Poll Top 10까지 진입했다가 제7경기 [[유타 대학교]] 원정경기에서 42-35로 앞서던 중 경기 종료 51초를 남기고 터치다운(6점) 및 투-포인트-컨버젼(2점)을 연달아 내주며 42-43으로 패하며 연승행진을 마감했다. 비록 1패를 기록했지만 팀을 성공적으로 재건하고 있다. ==== 선수 ==== [[파일:external/media.gettyimages.com/running-back-reggie-bush-of-the-usc-trojans-poses-with-the-2005-picture-id56412871?.jpg|width=600]] 날쌘돌이 레지 부시 == 야구 == ||<-4><#c41e3a><:> '''{{{#ffef00 {{{+1 USC 트로전스 야구팀}}}}}}''' || ||<-4><#000066><:> '''{{{#ffffff {{{+1 USC Trojans baseball}}}}}}''' || ||<#c41e3a><:> '''{{{#ffef00 창단}}}''' ||<-3><(> [[1888년]] ^^([age(1888-01-01)]주년)^^ || ||<#c41e3a><:> '''{{{#ffef00 연고지}}}''' ||<-3><(>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 ||<#c41e3a><:> '''{{{#ffef00 소속 리그}}}''' ||<-3><(> '''{{{#c41e3a Pac-12}}} (1959~현재)''' || ||<#c41e3a><:> '''{{{#ffef00 홈 구장}}}''' ||<-3><(>'''{{{#c41e3a 드두 필드}}} (Dedeaux Field)''' || ||<#c41e3a><:> '''{{{#ffef00 약칭}}}''' ||<-3><(><#c41e3a> '''{{{#ffef00 {{{+1 USC}}}}}}''' || ||<#c41e3a><:> '''{{{#ffef00 감독}}}''' ||<-3><(> 제이슨 길 (Jason Gill) || ||<-4><#000066><:> '''{{{#ffffff 우승 기록}}}''' || ||<#c41e3a><:> '''{{{#ffef00 내셔널 챔피언십}}}'''[br]{{{#ffef00 (12회)}}} ||<-3><(> '''1948, 1958, 1961, 1963, 1968, 1970, 1971, 1972, 1973, 1974, 1978, 1998''' || ||<#c41e3a><:> '''{{{#ffef00 컴퍼런스 챔피언십}}}'''[br]{{{#ffef00 (38회)}}} ||<-3><(> 1930, 1932, 1935, 1936, 1939, 1942, 1946, 1947, 1948, 1949, 1951, 1952, 1953,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0, 1961, 1963, 1964, 1966, 1968, 1970, 1971, 1972, 1973, 1974, 1975, 1977, 1978, 1991, 1995, 1996, 2001, 2002 || ||<-4><#000066><:> '''{{{#ffffff 프랜차이즈 팀 기록}}}''' || ||<#c41e3a><:> '''{{{#ffef00 올타임 승률}}}''' ||<-3>'''.704''' || ||<#c41e3a><:> '''{{{#ffef00 올타임 승리}}}''' ||<-3>'''2589승''' || 13대 감독 로드 디듀스(Rod Dedeaux) (1942~1986(1942, 1946~1950년까지는 샘 배리와 공동 역임) 재임. 2006년 작고.) - 칼리지 월드시리즈 11회 우승 (1948, 58, 61, 63, 68, 70~74, 78) [[파일:external/www.usc.edu/pic1_12489.jpg]] 14대 감독 마이크 길레스피 (1987~2006 재임. 현재 [[UC 어바인]] 감독.) - 칼리지 월드시리즈 우승 (1998) 그 다음 유명한 것은 [[야구]]. 2000년대 이후는 대학야구 자체가 다소 침체된 가운데 칼리지 월드시리즈 우승과는 거리가 있었지만 우승을 12번 기록했으며 메이저리그에 수많은 스타플레이어를 배출한 야구명문팀이다. 빅 맥 [[마크 맥과이어]]와 빅 유닛 [[랜디 존슨]],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뉴욕 메츠]]출신의 투수 [[톰 시버]], [[보스턴 레드삭스]]에서 신인왕과 MVP를 동시에 차지했던 외야수 프레드 린 등 메이저리그의 스타플레이어들이 많이 배출된 팀. 그외에 [[마크 프라이어]], [[배리 지토]] 등의 선수도 USC를 거쳐간 선수이다. 현재 제이슨 길이 감독을 맡고 있다. == 남자 농구 == ||<-4><#c41e3a><:> '''{{{#ffef00 {{{+1 USC 트로전스 남자농구팀}}}}}}''' || ||<-4><#000066><:> '''{{{#ffffff {{{+1 USC Trojans men's basketball}}}}}}''' || ||<#c41e3a><:> '''{{{#ffef00 창단}}}''' ||<-3><(> [[1888년]] ^^([age(1888-01-01)]주년)^^ || ||<#c41e3a><:> '''{{{#ffef00 연고지}}}''' ||<-3><(>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 ||<#c41e3a><:> '''{{{#ffef00 소속 리그}}}''' ||<-3><(> '''{{{#c41e3a Pac-12}}} (1959~현재)''' || ||<#c41e3a><:> '''{{{#ffef00 홈 구장}}}''' ||<-3><(>'''{{{#c41e3a 게일런 센터}}} (Galen Center)''' || ||<#c41e3a><:> '''{{{#ffef00 약칭}}}''' ||<-3><(><#c41e3a> '''{{{#ffef00 {{{+1 USC}}}}}}''' || ||<#c41e3a><:> '''{{{#ffef00 감독}}}''' ||<-3><(> 앤디 엔필드 (Andy Enfield) || ||<-4><#000066><:> '''{{{#ffffff 우승 기록}}}''' || ||<#c41e3a><:> '''{{{#ffef00 NCAA 엘리트 8}}}'''[br]{{{#ffef00 (4회)}}} ||<-3><(> 1940, 1954, 2001, 2021 || ||<#c41e3a><:> '''{{{#ffef00 NCAA 스위트 16}}}'''[br]{{{#ffef00 (5회)}}} ||<-3><(> 1954, 1961, 2001, 2007, 2021 || ||<#c41e3a><:> '''{{{#ffef00 컨퍼런스 챔피언십}}}'''[br]{{{#ffef00 (1회)}}} ||<-3><(> 2009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m_Barry.jpg]] 11대 감독 샘 배리 (1929~1941/1945~1950 재임. 1950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 (1940) [[파일:external/x.pac-12.com/640x360_Screen_Shot_2013-03-12_at_2.36.46_PM_1363127078.jpg]] 15대 감독 포레스트 투굿(Forrest Twogood) (1950~1966 재임. 1972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4강 진출 (1954) [[파일:external/graphics.fansonly.com/boyd-usc-hof.jpg]] 16대 감독 밥 보이드(Bob Boyd) (1966~1979 재임. 2015년 작고.) - NCAA 토너먼트 진출 (1979) [[파일:external/www.insidesocal.com/RAVE.2.jpg]] 18대 감독 조지 라벨링(George Ravelling) (1986~1994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32강 진출 (1992) [[파일:external/a.espncdn.com/g_bibby_i.jpg]] 19대 감독 헨리 비비[* 마이크 비비의 아버지.] (1996~2004 재임. 현재 생존.)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 (2001) 22대 감독 앤디 엔필드(Andy Enfield) (2013~현재 재임중) - NCAA 토너먼트 8강 진출 (2021) 남자 [[농구]]는 한국 대표팀과의 친선경기를 통해 알려졌지만, 캘리포니아 지역에서 농구는 [[UCLA]]가 강세이며 팀 최고기록이 토너먼트 4강진출(1940, 1954) (64강 토너먼트 확립 이후로 따진다면 8강 진출(2001, 2021))이 최고이며 그나마도 역사상 몇번 되지도 않던 약팀이었으나, 2005년부터 NBA 감독 경력도 지닌 베테랑 지도자 팀 플로이드 감독을 영입하는 등 농구 프로그램의 강화 노력을 통해 점차 성적을 내고 있는 중이다. 본교를 거쳐간 전직 농구인으로는 텍스 윈터, [[거스 윌리엄스]], '베이비 조던' 해롤드 마이너, [[O.J. 메이요]], [[닉 영]] 등이, 현역 NBA선수로는 [[더마 드로잔]], [[타지 깁슨]], [[니콜라 부세비치]], [[에반 모블리]] 등이 있다. == 기타 종목 ==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American_universities_with_Olympic_medals|미국의 역대 대학생 올림픽 메달리스트 현황]] USC의 운동부는 [[올림픽]]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는데, 재학 중인 학생들이 역대 올림픽에 나가서 따온 메달만 2017년 기준 309개(금 144,은 93,동72)로 역대 대한민국 올림픽 총 메달수인 270개에 조금 모자랄 뿐인 수준이고, 심지어 그 메달의 절대 다수가 하계올림픽에서 나왔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대한민국의 역대 하계올림픽 총 메달수인 215개보다 '''많다!''' 미국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를 배출하는 대학중 4곳이 캘리포니아에 위치해있으며(2위 [[스탠퍼드 대학교]], 3위 [[UCLA]], 4위 [[UC 버클리]]. 이들 4학교의 역대 획득 메달을 합치면 메달 1000개, 금메달 500개를 넘는다.) 이들중에서도 가장 앞서가는 곳이 USC이다. 또한 1912년 올림픽 이래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재학생이 금메달을 최소 1개 이상씩 획득해 왔으며 영문 위키에 따르면 '''USC가 단독 국가로 출전했다면 금메달 수 기준 역대 올림픽 출전 국가중 8위'''에 해당한다고 한다. 그 중 수영에서 유명한 선수들이 많이 나왔다. 1988년 서울 올림픽때 일명 풍차돌리기 영법으로 세계신기록을 세우며 3관왕이 된 재닛 에번스나 미국 대표선수로는 최초의 아시아계 금메달리스트가 된 새미 리(1948년 런던 올림픽)등이 유명하다. 또한 대학교 수영장인 맥도널드 수영 경기장(McDonald’s Swim Stadium)은 1984년 LA올림픽에서 공식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다이빙 시설까지 완비된 올림픽 규격을 갖추고 있는 야외 수영장이다. 덕분에 제일 얕은 곳도 수심이 2미터가 넘어가기 때문에 수영 초보는 반드시 보조장구를 갖춰야만 입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지만, 올림픽에서 사용된 지 20년이 지난 지금에도 관리가 잘 되어 매우 훌륭한 시설을 유지하고 있다. 여름이 가까워질수록 선탠을 즐기는 학생들이 수영장에 늘어나며 (캘리포니아의 특성인지 굳이 수영장이 아니어도 날씨 좋아지면 학교 잔디밭에서 헐벗고 [[일광욕]]하는 학생들은 대부분의 학교에서 볼 수 있다.) 물론 재학생들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UCLA]]와의 [[라이벌]]전 == 근처에 위치한 [[UCLA]]와의 [[라이벌]] 관계로도 유명하다. 자세한건 [[UCLA]] 항목 참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남 캘리포니아 대학교,version=49)] [[분류:대학 미식축구]][[분류: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분류:로스앤젤레스 연고 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