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우루과이 라운드]]의 약자 == ''''U''''ruguay '''"R"'''ound == [[로체스터 대학교]]의 약자 == '''"U"'''niversity of '''"R"'''ochester == [[비뇨기과]]의 약자 == '''"U''''''R"'''ology == [[울트라 레어]]의 약자 == '''"U"'''ltra '''"R"'''are == 일본 도시재생기구 == [[https://www.ur-net.go.jp/]] 都市再生機構, '''"U"'''rban '''"R"'''enaissance Agency 1955년에 설립된 [[일본]]의 독립행정법인으로, 공공주택 임대 사업을 주로 하는 곳이다. [[한국]]의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유사하다.[* 사실 LH도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조선총독부]]가 운영했던 조선주택영단이 시초이다.] 일본 임대주택 정책의 역사는 1923년 [[일본 제국 내무성|내무성]] 사회국의 주도로 설립된 '도준카이'(同潤会)로부터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에는 [[간토 대지진]]으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에게 임대아파트를 공급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이후 일반적인 무주택자를 위한 임대주택 사업으로 범위가 확장되었다. 1941년 동윤회는 주택영단(住宅営団)으로 개편되었으며 이는 일본 최초의 [[영단(경영재단)|영단]] 법인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시에 만들어진 법인이었으므로 패전 직후 1946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명령으로 주택영단은 해체됐다. 1955년 7월 25일 건설성의 주도로 일본주택공단이 발족했다. 1960~70년대에는 [[다마 뉴타운]]을 비롯한 수많은 임대아파트 단지들이 지어져 고도성장기 주택난 해소에 기여했다. 이름은 지금까지 3번 바뀌었다. 일본주택공단(1955)→주택도시정비공단(1981)→도시기반정비공단(1999)→현 명칭(2004) 버블경제 시기까지는 신규 물량을 많이 지었지만 버블 붕괴와 인구 감소 및 고령화를 거치면서 더 이상 한 채도 짓지 않는 상황. 수요가 확 줄어서 공급도 줄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기존의 물량을 개보수하여 살만한 형태로 유지하는 일에 주력하고 있다. 이름이 '주택공단'에서 '도시재생기구'로 바뀐 것도 이 때문이다. 민간이 임대하는 주택에 비해서 외국인의 입주 장벽이 낮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UR 임대주택에 많이 사는 편이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일본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