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H2A_CinematicRender_InAmberClad-PersonalUse1.jpg|width=450]]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In_Amber_Clad_sobre_la_Tierra_H2A.png|width=450]] || ||<-2><:>'''{{{#ffffff UNSC IN AMBER CLAD}}}''' || ||<:>'''{{{#ffffff 제조 }}}''' || [[리치(헤일로 시리즈)|리치 행성]], 시노비에트 해군 조선소 AS-9 || ||<:>'''{{{#ffffff 선체식별기호 }}}''' || FFG-142 || ||<:>'''{{{#ffffff 설계자 }}}''' || 해군 공로 기술자 데이비드 풀버 유진 테일러 박사 || ||<:>'''{{{#ffffff 전장 }}}''' || 478 m || ||<:>'''{{{#ffffff 전폭 }}}''' || 151.88 m || ||<:>'''{{{#ffffff 전고 }}}''' || 112.39 m || ||<:>'''{{{#ffffff 질량 }}}''' || 930,000 t || ||<:>'''{{{#ffffff 기동 엔진 }}}''' || OKB 카르만 56K 핵융합 기동 엔진 2기 || ||<:>'''[[슬립스페이스|{{{#ffffff 초광속 엔진 }}}]]''' || 스타웍스 FTL-290C[코덴 시리즈 4] || ||<:>'''{{{#ffffff 무장 }}}''' || [[MAC(헤일로 시리즈)|21X5V9 자기가속포]] 1문 M58 [[아처 미사일]] 발사대 16문 M340A4 스트릭 미사일 발사대 76문 M870 램파트 국지방어포 6문 M710 불워크 국지방어포 52문 || ||<:>'''{{{#ffffff 승무원 }}}''' || 250명 || ||<:>'''{{{#ffffff 병력 }}}''' || 해병 200명, [[ODST]] 64명 || ||<:>'''{{{#ffffff 탑재 장비 }}}''' || [[펠리칸(헤일로 시리즈)#s-3.1|D77-TC 펠리칸]] 6대 [[워트호그(헤일로 시리즈)|M12 워트호그 전지형 차량]] 12대 [[UNSC/기갑차량#s-2.1|M808 스콜피온 전차]] 6대 SOEIV 강하정 24대 || In Amber Clad.[* 인 앰버 클래드의 상징이 [[이집트]]의 [[피라미드]]임을 감안하면 이 상징은 함선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Amber는 호박색/황색을 의미). 헤일로 시리즈에서는 이런 단어형으로 명명된 함선 이름이 꽤 보인다.] [[헤일로 시리즈]]에 등장하는 [[우주전함]]. [[UNSC(헤일로 시리즈)|UNSC]] 해군 소속의 [[UNSC(헤일로 시리즈)/함선#s-4|호위함]]이며 04시설 알파 [[헤일로(헤일로 시리즈)|헤일로]] 사건 때 순직한 [[제이콥 키예스]] [[대령]]의 딸인 [[미란다 키예스]] [[중령]]의 함선이다. 2552년 10월 20일 제1차 지구 전투가 발발하기 직전, 훈장 수여식을 위해 궤도방어위성 '카이로'에 도킹해 있다가 [[코버넌트(헤일로 시리즈)|코버넌트]]의 대제사장 중 한 명인 [[비탄의 사제]]의 함대가 접근하자 [[테렌스 후드]] 제독의 명령에 따라 미란다와 [[에이버리 존슨(헤일로 시리즈)|에이버리 존슨]] 등 승무원들을 태우고 지구 방어 함대에 합류했다. 코버넌트 함대와 교전하던 중 카이로에 설치된 코버넌트의 폭탄을 코버넌트 [[CAS급 강습 항공모함]]에 도로 '''반납하고(!)''' 함체 위로 낙하한 [[마스터 치프]]를 데리고, 지구 표면으로 돌진한 비탄의 사제를 쫒아 [[케냐]]의 도시인 [[뉴 몸바사]]로 향했다. 뉴 몸바사 전투에서 후드 제독의 명령에 따라 마스터 치프를 실은 [[펠리칸(헤일로 시리즈)|펠리칸]]과 병력들을 출격시켜 지상 작전을 지원했다. 전투가 진행되면서 코버넌트의 막강한 지상병기 [[스캐럽(헤일로 시리즈)|스캐럽]]이 마스터 치프에 의해 파괴되자, 비탄의 사제의 강습항모는 도시 상공에서 [[슬립스페이스]] 점프를 시도했고 함장인 미란다 키예스의 판단에 의해 강습함모 옆에 바짝 접근해 같이 슬립 스페이스에 진입했다.[* 원래는 대기권 밖으로 나오면 후드 제독이 함대를 지휘해 처리할 예정이었으나 강습함모가 대기권 내에서 슬립스페이스에 진입하는 미친 짓을 시도하자 후드 제독은 미란다 키예스 함장에게 공격 허가를 내린다. 슬립스페이스 진입의 영향으로 도시에 EMP 파장이 퍼지면서 도시가 초토화되었고 이 초토화된 도시 뉴 몸바사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바로 [[헤일로 3: ODST]]이다.] 비탄의 사제의 강습함모와 함께 두번째 [[헤일로(헤일로 시리즈)|헤일로]]인 05시설(델타 헤일로)을 발견한 인 앰버 클래드는 델타 헤일로 표면에 [[ODST]]들과 마스터 치프, 기타 병력을 파견하여 시설을 조사함과 동시에 비탄의 사제를 제거하는데 성공한다. 그러면서 헤일로를 작동시키는 열쇠인 [[인덱스]]가 보관되어 있는 라이브러리로 접근한 인 앰버 클래드는 인덱스 회수를 위해 함장을 비롯한 지상 병력을 내려보내지만, 갑작스러운 [[플러드]]의 습격과 함께 라이브러리에 도착한 아비터와 코버넌트 때문에 계획에 차질을 빚는다. 설상가상으로 미란다 키예스와 에이버리 존슨이 인덱스를 회수하기 직전에 [[타타루스]]에게 납치를 당해버려 인 앰버 클래드는 통제력을 잃고 그대로 방치되기에 이른다. 즉, '''델타 헤일로에서 가장 플러드 침식이 심한 장소 상공에서 대부분의 방어 병력을 잃고 방치된 것.''' 플러드 집단 지성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그 결과 인 앰버 클래드는 10만년 전 헤일로 발사 이후 최악의 플러드 창궐의 핵심 전파 경로로 전락하고 만다. 불행히도 플러드에게 점령당한 인 앰버 클래드는 플러드의 수장인 [[그레이브마인드]]를 싣고 슬립스페이스를 통해 코버넌트의 모도시인 [[하이 채리티]]에 침투하여 도시 내부 탑에 충돌한 채 수많은 플러드를 쏟아내어 하이 채리티를 아비규환으로 만드는 수단이 되고 만다.[* 당시 하이 채리티는 사제가 엘리트를 배신하는 사건에 의해 내전이 벌어지고 있는, 이미 아비규환의 상황이었다. 이것만 아니었어도 인간의 호위함 한 대에 든 플러드로는 하이 채리티를 함락시키지 못했을 지도 모르지만 플러드는 이 절호의 기회를 적절하게 이용해 하이 채리티를 함락시키는 데에 성공했다.] 그 뒤 마스터 치프와 함께 하이 채리티로 이동한 [[코타나]]가 인 앰버 클래드의 원자로를 이용해 플러드를 비롯해 하이 채리티 모두를 날려 버리려고 했지만 그레이브마인드에게 붙잡히면서 실패했다. 그대로 탑에 박혀있는 인 앰버 클래드의 행방은 [[헤일로 2]] 이후 알 수가 없으나 하이 채리티가 플러드에게 점령당한 이후에도 여전히 처박혀서 플러드의 소굴이 된 것으로 추측되며, 나중에 마스터 치프가 코타나를 구출하고 하이 채리티의 원자로를 폭파시켰을 때 함께 산화한 것으로 보인다. 인 앰버 클래드를 플러드에게 빼앗긴 미란다 키예스는 다시 호위함 [[여명호]]의 함장이 된다. 헤일로 2 OST VOl.1 앨범 12번 트랙의 제목이기도 하다. 헤일로 2 애니버서리 버전의 제목은 Trapped in Amber. [[분류:헤일로 시리즈/함선/UNSC]][[분류:헤일로 2]][[분류:헤일로 3: OD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