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UEFA 유로 2016)] [[유로 2016]]의 예선 진행 상황 중, C조에 대해 정리하는 페이지. [목차] || '''순위''' ||<-2>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진출여부''' || || 1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 10 || 9 || 0 || 1 || 23 || 3 || +20 || 27 || '''진출 확정''' || || 2 ||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width=30]] || [[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슬로바키아]] || 10 || 7 || 1 || 2 || 17 || 8 || +9 || 22 || '''진출 확정''' || || 3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 10 || 6 || 1 || 3 || 14 || 4 || +10 || 19 || '''플레이오프''' || || 4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30]] || [[벨라루스 축구 국가대표팀|벨라루스]] || 10 || 3 || 2 || 5 || 8 || 14 || -6 || 11 || 탈락 확정 || || 5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width=30]] || [[룩셈부르크 축구 국가대표팀|룩셈부르크]] || 10 || 1 || 1 || 8 || 6 || 27 || -21 || 4 || 탈락 확정 || || 6 ||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30]] || [[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마케도니아]] || 10 || 1 || 1 || 8 || 6 || 18 || -12 || 4 || 탈락 확정 || == 개요 == 사실상 스페인 원톱이며 슬로바키아와 우크라이나 정도가 강팀으로 인정받는 조편성이다... 만 '''스페인이 슬로바키아에게 격추당하는 이변이 벌어졌다.''' 물론 2014 월드컵에선 부진한 스페인이고 2010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를 이기며 이탈리아의 1라운드 탈락을 이끈 슬로바키아는 절대 듣보잡이 아니긴 했지만.... 결국 예상대로 스페인은 그 경기 뺴고 모두 이기며 가볍게 조1위를 했고 슬로바키아가 조2위로 직행, 우크라이나가 조3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게 되었다. == 예선 1차전 (경기일 : 2014/09/08) == === 1차전 1경기 룩셈부르크 vs 벨라루스 === || 경기장 ||<-2>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 스타드 조시 바텔 || || 경기일 ||<-2> 2014년 9월 8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룩셈부르크 || 벨라루스 || || 득 점 || 1 || 1 || || 득점자 || [[라스 거슨]] (42') || [[스타니슬라우 드라훈]] (78') || 반드시 잡아야하는 약체들 끼리의 대결에서 무승부에 그치며 서로 힘들어졌다. === 1차전 2경기 스페인 vs 마케도니아 === || 경기장 ||<-2> 스페인 발렌시아 - 에스타디 시우타트 데 발렌시아 || || 경기일 ||<-2> 2014년 9월 8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스페인''' || 마케도니아 || || 득 점 || '''5''' || 1 || || 득점자 || [[세르히오 라모스]] (16')(PK) [br] [[파코 알카세르]] (17') [br] [[세르히오 부스케츠]] (45+3') [br] [[다비드 실바]] (50') [br] [[페드로 로드리게스]] (90+1') || [[아김 이브라이미]] (28')(PK) || 충격의 2014 월드컵 광탈 이후 프랑스와의 친선 경기에서도 패한 스페인은 유로 2016 예선 첫경기에서 마케도니아를 5대1로 대파하며 일단 좋은 출발을 보였다. === 1차전 3경기 우크라이나 vs 슬로바키아 === || 경기장 ||<-2> 우크라이나 키에프 - 올림피스키 경기장 || || 경기일 ||<-2> 2014년 9월 8일 21:45 (현지시각) / CET 20:45 (-1) || || 국 가 || 우크라이나 || '''슬로바키아''' || || 득 점 || 0 || '''1''' || || 득점자 || - || [[로베르트 막]] (17') || 조2위 자리를 위해 반드시 서로를 잡아야 했던 경기에서 슬로바키아가 원정에서 귀중한 승리를 올렸다. == 예선 2차전 (경기일 : 2014/10/09) == === 2차전 1경기 벨라루스 vs 우크라이나 === || 경기장 ||<-2> 벨라루스 바리사프 - 보리소프 아레나 || || 경기일 ||<-2> 2014년 10월 9일 21:45 (현지시각) / CET 20:45 (-1) || || 국 가 || 벨라루스 || '''우크라이나''' || || 득 점 || 0 || '''2''' || || 득점자 || - || 알약산드르 마르티노비치 (82' 자책골) [br] 세르히 시도르추크 (90'+3) || 구소련 더비에서 우크라이나가 벨라루스를 상대로 막판 2골로 첫 승리에 성공했다. === 2차전 2경기 마케도니아 vs 룩셈부르크 === || 경기장 ||<-2> 마케도니아 스코페 - 필립 2세 아레나 || || 경기일 ||<-2> 2014년 10월 9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마케도니아''' || 룩셈부르크 || || 득 점 || '''3''' || 2 || || 득점자 || 알렉산다르 트라이코브스키 (20') [br] 아디스 야호비치 (66')(PK) [br] 베사르트 압두라히미 (90'+2) || 스테파노 벤시 (39') [br] 다비드 투르펠 (44') || 마케도니아가 홈에서 룩셈부르크에게 역전골을 내주는등 고전하다가 간신히 재역전승했다. 불과 몇 년 전까지 승점자판기로 취급받던 룩셈부르크는 이제 그 정도 레벨은 아닌 듯. === 2차전 3경기 슬로바키아 vs 스페인 === || 경기장 ||<-2> 슬로바키아 질리나 - 슈타디온 포드 두브놈 || || 경기일 ||<-2> 2014년 10월 9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슬로바키아''' || 스페인 || || 득 점 || '''2''' || 1 || || 득점자 || 유라이 쿠츠카 (17') [br] 미로슬라프 스토크 (87') || [[파코 알카세르]] (82') || 슬로바키아가 스페인을 잡는 이변이 일어났다. 그래도 명색이 [[2010 FIFA 월드컵 남아공]] 우승국인데 아마 충격의 정도는 그 다음 대회에서 일어났던 네덜란드전과 맞먹을 듯 싶다. 사실 슬로바키아는 같은 남아공 대회에서 이탈리아를 3대 2로 잡고 극적으로 16강에 합류했던 전력이 있다. ~~이제 슬로바키아가 독일만 잡으면 2006 - 2010 - 2014 월드컵 우승팀들을 한번씩 다 잡는 셈이다. 슬로바키아 컬렉션.~~ 델 보스케는 [[다비드 데 헤아]]와 [[파코 알카세르]]를 두고 2014 월드컵에서 부진한 [[이케르 카시야스]]와 [[디에고 코스타]] 기용으로 욕을 많이 먹었다. 이날 스페인에서 득점한 선수도 교체투입된 파코였다. 카시야스는 선제골 골 프리킥 실점 장면에서 정면으로 오는 슈팅에 역동작에 실점했다. == 예선 3차전 (경기일 : 2014/10/12) == === 3차전 1경기 우크라이나 vs 마케도니아 === || 경기장 ||<-2> 우크라이나 리비우 - 아레나 리비우 || || 경기일 ||<-2> 2014년 10월 12일 19:00 (현지시각) / CET 18:00 (-1) || || 국 가 || '''우크라이나''' || 마케도니아 || || 득 점 || '''1''' || 0 || || 득점자 || 세르히 시도르추크 (45'+2) || - || 우크라이나가 홈에서 1대0 승리를 거두며 C조 구도는 예상대로 3강-3약 체제로 가게 되었다. === 3차전 2경기 벨라루스 vs 슬로바키아 === || 경기장 ||<-2> 벨라루스 바리사프 - 보리소프 아레나 || || 경기일 ||<-2> 2014년 10월 12일 21:45 (현지시각) / CET 20:45 (-1) || || 국 가 || 벨라루스 || '''슬로바키아''' || || 득 점 || 1 || '''3''' || || 득점자 || 트시마페이 칼라초프 (79') || [[마렉 함식]] (65') [br] [[마렉 함식]] (84') [br] 스타니슬라프 세스탁 (90'+1) || 캡틴 함식의 2골로 슬로바키아는 3연승으로 조1위를 질주했다. === 3차전 3경기 룩셈부르크 vs 스페인 === || 경기장 ||<-2>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 스타드 조시 바텔 || || 경기일 ||<-2> 2014년 10월 12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룩셈부르크 || '''스페인''' || || 득 점 || 0 || '''4''' || || 득점자 || - || [[다비드 실바]] (27') [br] [[파코 알카세르]] (42') [br] [[디에고 코스타]] (69') [br] [[후안 베르나트]] (88') || 슬로바키아에 충격패를 당한 스페인은 세스크 파브레가스, 라울 알비올, 후안프란, 이케르 카시야스 대신 다니엘 카르바할, 마르크 바르트라, 다비드 데 헤아, 파코 알카세르를 내보냈고 약체 룩셈부르크를 상대로 4대0 승리로 화풀이했다. 알카세르는 A매치 4경기 3골을 기록하며 맹활약했고 대표팀 부진으로 욕을 먹었던 코스타도 A매치 데뷔골에 성공했다. == 예선 4차전 (경기일 : 2014/11/15) == === 4차전 1경기 룩셈부르크 vs 우크라이나 === || 경기장 ||<-2>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 스타드 조시 바텔 || || 경기일 ||<-2> 2014년 11월 15일 18:00 (현지시각) / CET 18:00 (+0) || || 국 가 || 룩셈부르크 || '''우크라이나''' || || 득 점 || 0 || '''3''' || || 득점자 || - || 안드리 야르몰렌코 (33') [br] 안드리 야르몰렌코 (53') [br] 안드리 야르몰렌코 (56') || 야르몰렌코의 해트트릭으로 우크라이나는 3연승에 성공했다. === 4차전 2경기 마케도니아 vs 슬로바키아 === || 경기장 ||<-2> 마케도니아 스코페 - 필립 2세 아레나 || || 경기일 ||<-2> 2014년 11월 15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마케도니아 || '''슬로바키아''' || || 득 점 || 0 || '''2''' || || 득점자 || - || [[유라이 쿠츠카]] (25') [br] 아담 네메츠 (38') || 슬로바키아는 4연승으로 조1위를 유지했다. === 4차전 3경기 스페인 vs 벨라루스 === || 경기장 ||<-2> 스페인 우엘바 - 누에보 콜롬비노 || || 경기일 ||<-2> 2014년 11월 15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스페인''' || 벨라루스 || || 득 점 || '''3''' || 0 || || 득점자 || [[이스코]] (18') [br] [[세르히오 부스케츠]] (19') [br] [[페드로 로드리게스]] (55') || - || 이니에스타와 실바, 코스타, 카르바할, 파브레가스 등 주축 선수들이 부상으로 제외되었으나 스페인은 벨라루스를 상대로 이스코의 맹활약 덕분에 3대0 대승을 거두었다. == 예선 5차전 (경기일 : 2015/3/27) == === 5차전 1경기 마케도니아 vs 벨라루스 === || 경기장 ||<-2> 마케도니아 스코페 - 필립 2세 아레나 || || 경기일 ||<-2> 2015년 3월 27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마케도니아 || '''벨라루스''' || || 득 점 || 1 || '''2''' || || 득점자 || 알렉산다르 트라이코프스키 (9') || 티모페이 칼라체프 (44') [br] 세르게이 코르닐렌코 (82') || 조4위와 조5위 국가 맞대결에서 벨라루스가 적지에서 역전승을 거두며 순위를 바꾸었다. === 5차전 2경기 슬로바키아 vs 룩셈부르크 === || 경기장 ||<-2> 슬로바키아 질리나 - 슈타디온 포드 두브놈 || || 경기일 ||<-2> 2015년 3월 27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슬로바키아''' || 룩셈부르크 || || 득 점 || '''3''' || 0 || || 득점자 || 아담 네메츠 (10') [br] 블라디미르 바이스 (21') [br] 페테르 페카릭 (40') || - || 슬로바키아가 파죽의 5연승으로 조1위를 유지했다. === 5차전 3경기 스페인 vs 우크라이나 === || 경기장 ||<-2> 스페인 세비야 – 라몬 산체스-피스후안 || || 경기일 ||<-2> 2015년 3월 27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스페인''' || 우크라이나 || || 득 점 || '''1''' || 0 || || 득점자 || [[알바로 모라타]] (55') || - || 골득실로 조2위와 3위인 두 나라의 맞대결에서 스페인은 모라타의 결승골로 안방에서 우크라이나를 1대0으로 꺾고 조2위를 사수했다. == 예선 6차전 (경기일 : 2015/6/14) == === 6차전 1경기 우크라이나 vs 룩셈부르크 === || 경기장 ||<-2> 우크라이나 리비우 - 아레나 리비우 || || 경기일 ||<-2> 2015년 6월 14일 19:00 (현지시각) / CET 18:00 (-1) || || 국 가 || '''우크라이나''' || 룩셈부르크 || || 득 점 || '''3''' || 0 || || 득점자 || 아르템 크라베츠 (44') [br] 데니스 하르마시 (57') [br] 예브헨 코노플리안카 (86') || - || 우크라이나는 4승2패로 조3위를 유지했다. === 6차전 2경기 벨라루스 vs 스페인 === || 경기장 ||<-2> 벨라루스 바리사프 - 보리소프 아레나 || || 경기일 ||<-2> 2015년 6월 14일 21:45 (현지시각) / CET 20:45 (-1) || || 국 가 || 벨라루스 || '''스페인''' || || 득 점 || 0 || '''1''' || || 득점자 || - || [[다비드 실바]] (45') || 스페인은 벨라루스 원정에서 다소 고전했지만 실바의 결승골로 조2위를 유지했다. 벨라루스는 조3위 우크라이나와 승점 8점차로 멀어져 플레이오프 가능성조차 줄어들었다. === 6차전 3경기 슬로바키아 vs 마케도니아 === || 경기장 ||<-2> 슬로바키아 질리나 - 슈타디온 포드 두브놈 || || 경기일 ||<-2> 2015년 6월 14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슬로바키아''' || 마케도니아 || || 득 점 || '''2''' || 1 || || 득점자 || 코르넬 살라타 (8') [br] [[마렉 함식]] (38') || 아리얀 아데미 (69') || 슬로바키아는 6전 전승으로 첫 유로 본선 가능성을 높였다. == 예선 7차전 (경기일 : 2015/9/5) == === 7차전 1경기 룩셈부르크 vs 마케도니아 === || 경기장 ||<-2>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 스타드 조시 바텔 || || 경기일 ||<-2> 2015년 9월 5일 18:00 (현지시각) / CET 18:00 (+0) || || 국 가 || '''룩셈부르크''' || 마케도니아 || || 득 점 || '''1''' || 0 || || 득점자 || 세바스티안 티일 (90') || - || 룩셈부르크는 이 승리로 무려 20년만에 유로컵 조예선에서 꼴지를 벗어났다. 마케도니아와 똑같은 1승 1무 8패를 기록하고 골득실에서도 마케도니아에게 9골이나 밀렸지만 원정경기에서 2-3으로 지고 홈에서 1-0으로 이긴 덕에 유로 1996 대회에서 몰타를 제치고 유로컵 조예선에서 꼴지를 처음 탈출한데 이어 2번째다. 참고로 이렇게 동네북이긴 했지만 이 예선 경기에서 룩셈부르크는 유로 96을 준우승한 체코를 홈경기에서 1-0으로 이겼다. === 7차전 2경기 우크라이나 vs 벨라루스 === || 경기장 ||<-2> 우크라이나 리비우 - 아레나 리비우 || || 경기일 ||<-2> 2015년 9월 5일 19:00 (현지시각) / CET 18:00 (-1) || || 국 가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 득 점 || '''3''' || 1 || || 득점자 || 아르템 크라베츠 (7') [br] 안드리 야르몰렌코 (30') [br] 예브겐 코노플리얀카 (40') || 세르게이 코르닐렌 (62') || 이 경기 승리로 우크라이나는 최소 3위는 확보했고 조1위와 2위 그룹인 스페인과 슬로바키아를 승점 3점 간격으로 추격을 이어나갔다. 우크라이나 밑으로 나머지 국가들은 모두 탈락 확정. === 7차전 3경기 스페인 vs 슬로바키아 === || 경기장 ||<-2> 스페인 오비에도 – 카를로스 타르티에레 || || 경기일 ||<-2> 2015년 9월 5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 득 점 || '''2''' || 0 || || 득점자 || [[조르디 알바]] (5') [br] [[안드레스 이니에스타]] (30') || - || '''[[2010 FIFA 월드컵 남아공]] 우승국''' 스페인은 2차전에서 체면을 구겼던 상대인 슬로바키아를 상대로 여기서는 화끈하게 이겨제꼈고 그로 인해 그때 구겼던 체면을 말끔히 다림질했다. 상대전적 1승1패로 맞추고 골득실에서 3-2로 앞서 스페인이 조1위로 올라갔다. == 예선 8차전 (경기일 : 2015/9/8) == === 8차전 1경기 벨라루스 vs 룩셈부르크 === || 경기장 ||<-2> 벨라루스 바리사프 - 보리소프 아레나 || || 경기일 ||<-2> 2015년 9월 8일 21:45 (현지시각) / CET 20:45 (-1) || || 국 가 || '''벨라루스''' || 룩셈부르크 || || 득 점 || '''2''' || 0 || || 득점자 || 미하일 고르데이처크 (34') [br] 미하일 고르데이처크 (62')|| - || 휴~ 뭐, 이 중에 한 분은 체면치레 하시겠죠. 승점 4점으로 조4위와 5위를 기록중인 국가간의 맞대결에서 벨라루스가 승리하며 조4위를 지켰다. === 8차전 2경기 마케도니아 vs 스페인 === || 경기장 ||<-2> 마케도니아 스코페 - 필립 2세 아레나 || || 경기일 ||<-2> 2015년 9월 8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마케도니아 || '''스페인''' || || 득 점 || 0 || '''1''' || || 득점자 || - || 토메 파초브스키 (8' 자책골) || 슬로바키아 상대로 구겼던 체면을 기껏 2차전에서 다림질 했는데 여기서 또 구겼다. 최하위 마케도니아를 상대로 이기긴 이겼다지만 자력으로 이긴 게 아니기 때문이다. 예전에 모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대한민국도 이와 비슷한 망신을 당한 적이 있었다. 네팔을 상대로 2-0으로 이겼는데 자책골 1개와 페널티킥 1개였고 마찬가지로 필드골은 없었다. 어쨌거나 스페인은 조1위를 유지하고 3위 우크라이나에 승점 5점 차로 벌리며 남은 경기에서 승점 2점을 거두면 본선행이 확정된다. === 8차전 3경기 슬로바키아 vs 우크라이나 === || 경기장 ||<-2> 슬로바키아 질리나 - 슈타디온 포드 두브놈 || || 경기일 ||<-2> 2015년 9월 8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슬로바키아 || 우크라이나 || || 득 점 || 0 || 0 || || 득점자 || - || - || 슬로바키아는 우크라이나와의 중요한 맞대결에서 무승부를 거두며 상대전적에서의 우위를 확보, 승점 3점만 기록하면 자력으로 본선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 == 예선 9차전 (경기일 : 2015/10/9) == === 9차전 1경기 마케도니아 vs 우크라이나 === || 경기장 ||<-2> 마케도니아 스코페 - 필립 2세 아레나 || || 경기일 ||<-2> 2015년 10월 9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마케도니아 || '''우크라이나''' || || 득 점 || 0 || '''2''' || || 득점자 || - || 예브헨 셀레즈니요프 (59')(PK) [br] 아르템 크라베츠 (87') || 우크라이나는 6승1무2패로 일단 슬로바키아와 승점 동률이 되었다. 우크라이나는 최종전 결과에 따라 본선 직행 혹은 플레이오프가 결정나게 되었다. 확률은 높지 않아서 문제지. === 9차전 2경기 슬로바키아 vs 벨라루스 === || 경기장 ||<-2> 슬로바키아 질리나 - 슈타디온 포드 두브놈 || || 경기일 ||<-2> 2015년 10월 9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슬로바키아 || '''벨라루스''' || || 득 점 || 0 || '''1''' || || 득점자 || - || 스타니슬라프 드라훈 (34') || 이기면 본선행이 확정되는 상황에서 슬로바키아는 뜬금없이 안방에서 벨라루스에 패배하는 이변을 당했다. 6연승 이후 1무2패로 주춤하고 있는 모양새. 결국 우크라이나와 승점 동률이 되었다. 그나마 최종전 상대가 룩셈부르크 원정이기는 하다. === 9차전 3경기 스페인 vs 룩셈부르크 === || 경기장 ||<-2> 스페인 로그로뇨 – 라스 가우나스 || || 경기일 ||<-2> 2015년 10월 9일 20:45 (현지시각) / CET 20:45 (+0) || || 국 가 || '''스페인''' || 룩셈부르크 || || 득 점 || '''4''' || 0 || || 득점자 || [[산티 카솔라]] (42') [br] [[파코 알카세르]] (67') [br] [[파코 알카세르]] (80') [br] [[산티 카솔라]] (85') || - || 스페인은 약체 룩셈부르크를 마구 두들기며 낙승을 거두었다. 이로서 스페인은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 예선 10차전 (경기일 : 2015/10/12) == === 10차전 1경기 벨라루스 vs 마케도니아 === || 경기장 ||<-2> 벨라루스 바리사프 - 보리소프 아레나 || || 경기일 ||<-2> 2015년 10월 12일 21:45 (현지시각) / CET 20:45 (-1) || || 국 가 || 벨라루스 || 마케도니아 || || 득 점 || 0 || 0 || || 득점자 || - || - || 마케도니아는 2라운드 룩셈부르크전 승리 이후 7연패를 끊어내며 오랜만에 승점을 기록했으나 룩셈부르크에 승자승 원정골에서 밀려 조 최하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었다. === 10차전 2경기 룩셈부르크 vs 슬로바키아 === || 경기장 ||<-2>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 스타드 조시 바텔 || || 경기일 ||<-2> 2015년 10월 12일 18:00 (현지시각) / CET 18:00 (+0) || || 국 가 || 룩셈부르크 || '''슬로바키아''' || || 득 점 || 2 || '''4''' || || 득점자 || [[]] 마리오 무스치 (61') [br] 라스 제르송 (65')|| [[]] [[마렉 함식]] (24') [br] 아담 네메츠(29') [br] 로베르트 막 (30') [br] [[마렉 함식]](90+1') || 슬로바키아는 약체 룩셈부르크를 이겼지만 대승이라고 하기에는 아리송했다. 하긴 약체라고 해도 룩셈부르크는 체코를 20년전 유로컵 예선 홈경기에서 1-0으로 이겼었고 2010 월드컵 예선에서는 스위스를 원정에서 2-1로 이기기도 하고,2011년 친선경기에서 바로 슬로바키아를 2-1로 이긴 적도 있던 팀이었다. 어쨌든 슬로바키아는 이기고도 불안했다. 스페인이 패하면 3위로 떨어지기 때문. 다행히 스페인이 이겨서 2위 자리를 지키는 데에 성공했다. === 10차전 3경기 우크라이나 vs 스페인 === || 경기장 ||<-2> 우크라이나 키예프 – 올림픽 스타디움 || || 경기일 ||<-2> 2015년 10월 12일 19:00 (현지시각) / CET 18:00 (-1) || || 국 가 || 우크라이나 || '''스페인''' || || 득 점 || 0 || '''1''' || || 득점자 || - || 마리오 가스파르 (22') || 골은 일찌감치 나오긴 했지만, [[2006 FIFA 월드컵 독일]]당시에는 아예 4-0으로 [[관광#s-2.1]]보냈던 상대인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스페인이 꽤 고전했다.하지만 스페인은 초반에 터진 골을 잘 유지하며 승리를 거두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는 3위로 플레이오프행, 슬로바키아는 2위로 본선 직행이 확정되었다. [[분류:UEFA 유로 2016/예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