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6b204> '''Tutti Frutti의 수상 이력''' || ||<#fff,#191919>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nclude(틀: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 ---- [include(틀:그래미 어워드 명예의 전당, 연도=1998)]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1위 ~ 30위))] ---- [include(틀: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43, 연도=2010, 순위2=35, 연도2=2021)][* 고전 로큰롤 음악은 2021년 리스트에서 순위가 크게 하락한 편인데 이 곡만큼은 순위가 올랐다. 그만큼 이 음악이 대중음악에서 미치는 상징성이 현대에 들어 더욱 고평가받고 있다고도 할 수 있겠다.] ---- [include(틀:타임지 선정 100대 명곡)]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 ||<-2><#e6b204>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e6b204, #e6b204);" '''{{{+1 Tutti Frutti}}}'''}}}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i0XSxspfvI, width=100%, height=200)]}}} || || '''싱글 발매일''' ||[[1955년]] [[10월]] || || '''싱글 B면''' ||I'm Just a Lonely Guy || || '''앨범 발매일''' ||[[1957년]] [[3월 4일]] || || '''녹음일''' ||[[1955년]] [[9월 14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b204;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80deg, #e6b204, #e6b204); font-size: .9em" [[Here's Little Richard|'''{{{#000 Here's {{{#ffffff Little }}} Richard}}}''']]}}} || || '''장르''' ||[[로큰롤]] || || '''작사/작곡''' ||[[리틀 리처드]], 도로시 라보스트리 || || '''프로듀서''' ||로버트 블랙웰 || || '''러닝 타임''' ||2:23 || || '''스튜디오''' ||J & M 스튜디오 || || '''레이블''' ||스페셜티 레코드 || [목차] [clearfix] == 개요 == ||<#000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Cj059o9OwqY, height=200)]}}} ||<#000>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SUK8chqHac, height=200)]}}} || || '''1956년 라이브''' || '''2013년 라이브[* 리틀 리처드의 마지막 라이브다.]''' || [[1955년]] 발매된 [[리틀 리처드]]의 싱글이자 1집 [[Here's Little Richard]]의 수록곡. == 상세 == 명실상부 '''리틀 리처드 최고의 명곡'''이자 '''[[록 음악]] 역사상 최고의 명곡 중 하나''', 그리고 '''대중 음악 역사상 가장 중요한 노래 중 하나'''이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Heartbreak Hotel]], [[척 베리]]의 [[Johnny B. Goode]]와 함께 고전 [[로큰롤]] 노래의 대명사와도 같은 곡으로,[* 발매 시기는 Tutti Frutti가 가장 빠르다.] 사실상 '''[[로큰롤]]의 시작을 알린 곡'''으로 평가받는다. 부기우기, [[가스펠]], [[블루스]]의 요소를 결합한 음악 스타일과 곡의 큰 볼륨, [[샤우팅]]과 같은 강렬한 창법, 특유의 비트 등은 이후 로큰롤을 넘어 [[록 음악]]의 [[필수요소]]가 되는데 큰 영향을 끼쳤다. 재미있는 점은 리틀 리처드는 이 곡을 녹음할때 샤우팅을 의도해서 넣을 생각은 없었던 점이다. 리틀 리처드는 이 곡을 녹음할 당시 녹음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자 고함을 내질렀고[* 리틀 리처드는 평소에 성격이 아주 불같기로 유명했다.] 이를 조금 순화한 것이 곡에 들어간 것이다. 그 외에 곡의 인트로와 중간중간에 등장하는 "A-wop-bop-a-loo-mop-a-lop-bam-boom!"하는 부분이 아주 유명한데,[* [[2012년]] [[롤링 스톤]]은 이 부분을 가장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준 가사로 평가하기도 했다.] 이는 리틀 리처드가 드럼 소리를 입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곡의 제목인 Tutti Frtti는 [[이탈리아어]]로 "모든 과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아이스크림의 한 종류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리틀 리처드는 처음엔 이 곡의 가사를 "Tutti Frutti, good booty/If it don't fit, don't force it/You can grease it, make it easy(투티 프루티, 좋은 엉덩이/잘 들어가지 않는다면 억지로 넣지마/기름을 칠한다면 쉬워질거야)"라고 썼는데, 성적인 의도가 너무 다분한 가사라 로버트 블랙웰이 가사를 바꾸게 해서 현재의 잘 알려진 가사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발매된 Tutti Frutti는 미국 17위, R&B 차트 2위, 영국 29위라는 성공을 거둬 리틀 리처드 최초의 히트곡이 되었으며, 무명 가수에 불과했던 리틀 리처드는 이 곡 이후로 가장 중요한 로큰롤 가수 중 한 명으로 거듭나게 된다. 이 곡은 엄청난 [[스테디셀러]]이기도 한데, 80년대 진행한 인터뷰에서 리틀 리처드는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마다 '''5천 달러'''[* 별로 많아보이지 않지만, 당시 물가로 5천 달러면 아주 적은 돈이라고 볼 수 없으며 80년대에 이미 30년이나 된 클래식임에도 불구하고 저작권료가 계속 들어온다는 점에서 이 노래의 큰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정도의 저작권료를 받는다고 하였다. == 가사 == ||<:> ---- '''{{{+4 Tutti Frutti}}}''' ---- Wop bop a loo bop a lop bom bom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A wop bop a loo bop a lop ba ba I got a gal, named Sue, she knows just what to do 수라는 이름의 여자가 있어, 그녀는 뭘 해야 될지 알지 I got a gal, named Sue, she knows just what to do 수라는 이름의 여자가 있어, 그녀는 뭘 해야 될지 알지 She rock to the East, she rock to the West 그녀는 동쪽으로 흔들고, 서쪽으로 흔들어 But she's the gal that I love best 그녀는 내가 가장 사랑하는 여자야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ooh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A wop bop a loo bop a lop bom bom I got a gal, named Daisy, she almost drives me crazy 데이지라는 여자가 있어, 그녀는 날 거의 미치게 하지 Got a gal, named Daisy, she almost drives me crazy 데이지라는 여자가 있어, 그녀는 날 거의 미치게 하지 She knows how to love me, yes indeed 그녀는 날 어떻게 사랑해야 할지 알아, 정말이야 Boy you don't know what she do to me 너는 그녀가 내게 어떻게 해주는 지 모를거야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ooh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Wop bop a loo bop, ow Oh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ooh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A wop bop a loo bop a lop bom bom I got a gal, named Daisy, she almost drives me crazy 데이지라는 여자가 있어, 그녀는 날 거의 미치게 하지 Got a gal, named Daisy, she almost drives me crazy 데이지라는 여자가 있어, 그녀는 날 거의 미치게 하지 She knows how to love me, yes indeed 그녀는 날 어떻게 사랑해야 할지 알아, 정말이야 Boy you don't know what she do to me 너는 그녀가 내게 어떻게 해주는 지 모를거야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ooh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Tutti frutti, oh rootie A wop bop a loo bop a lop bam boom ---- || [[분류:빌보드 싱글 차트 2~40위 노래(빌보드 핫 100 이전)]][[분류:1955년 노래]][[분류:1955년 싱글]][[분류:로큰롤]][[분류: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