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일반적인 의미, rd1=3부작)] [include(틀:The Weeknd Discography)] |||| [[파일:theweekndtrilogylogo.jpg|width=70%]] ||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TheWeeknd_Trilogy_Album.jpg|width=100%]]}}}|| || '''아티스트''' ||[[The Weeknd|[[파일:The Weeknd 로고 색상.svg|width=200]]]] || || '''발매''' ||[[2012년]] [[11월 13일]] || || '''장르''' ||[[얼터너티브 R&B]] || || '''길이''' ||159:35[* iTunes 보너스 뮤직비디오(+5:16) 포함 시 164:51.] || || '''트랙''' ||30 + 1 || || '''프로듀서''' ||'''[[The Weeknd]]''', '''Illangelo''', Clams Casino, Doc McKinney, Dream Machine, DropxLife, Jeremy Rose, Rainer || || '''레이블''' ||[[XO|[[파일:xologoreverse.png|width=22&bgcolor=#fff]]]] [[유니버설 뮤직 그룹#s-2.1.4|[[파일:리퍼블릭 레코드 로고.svg|width=35&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위적인 [[Alternative R&B|새로운 세대 R&B]]의 교과서''' 2012년 11월 13일 발매한 The Weeknd의 첫 번째 컴필레이션 앨범. 2011년 한 해 동안 평론가들의 어마어마한 호평을 받으며 혜성처럼 등장한 The Weeknd가 그의 [[믹스테입]] 3인방 ''House of Balloons'', ''Thursday'', ''Echoes of Silence''를 리마스터링하고 보너스 트랙을 추가하여 하나로 묶어 발매한 앨범이다. 믹스테입 시절에서 다듬지 못했거나, 새롭게 의도한 사운드로 더 위켄드와 프로듀서 일란젤로가 직접적인 프로듀싱을 통해 '''전 곡을 손 보았다'''[* 믹스테입 버전과 ''Trilogy'' 버전은 사운드 등에서 차이가 있다. 컴필레이션 총괄 프로듀서는 Illangelo가 담당했다.]. 또 3개의 믹스테입은 초창기 유튜브 및 사운드 클라우드로 공개되어서 '''무료'''였으나, ''Trilogy''로 발매하며 이 버전의 곡들은 유료가 되었다. 기존 믹스테입들은 피지컬 버전과 LP 버전으로 다시 한 번 발매되었다. == 상세 == [[Alternative R&B]]의 태동기에 존재했던 기존의 음악들은 R&B를 필두로 Electronic 등이 결합한 다운 템포의 사이키델릭·몽환적인 사운드를 지녔다. 평론가들은 위켄드의 믹스테입들 또한 이들과 같은 선상에 있으나, 다른 곡들보다 더 서늘하고 전위적이며 또 그가 추구하는 "Darkness"를 잘 이끌어냈음에 주목했다. 또한 위켄드만의 날카로운 팔세토 보이스는 [[Michael Jackson]]이 오버랩된다. 그리고 트랙들 모두 믹스테입이라는 틀 안에서 지나치게 튀지않고 유기적으로 이어지며, ''House of Balloons'' 이후의 믹스테입들에서 [[Drake]]와 Juicy J를 피처링 게스트로 참여시키며 스펙트럼을 넓히기도 했다. 21살의 어린 나이임에도 이러한 음악적 성과를 거두자 '''[[Michael Jackson]] 이후 최고의 재능을 가진 R&B 아티스트''''라는 칭호까지 얻게되었다. 각각의 믹스테입 커버들은 테마에 어울리는 여성 모델들의 사진들로 이뤄져있다. 그런데 정작 주인공인 위켄드는 전혀 등장하지 않는다. 이유는 위켄드가 심지어 인터뷰는 커녕 사진 촬영까지 다 거절할 정도로 굉장히 내성적인 성격의 소유자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Kiss Land|1집]] 발매 이후 많이 대외적인 활동을 하고 있지 이 당시에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 때문에 믹스테입 커버에 '''자신의 사진을 넣는 제안 조차도 거절'''했다고. 믹스테입 ''House of Balloons''와 ''Thursday''의 특정 트랙들의 유튜브 Audio 영상 속 이미지가 (3번째 믹스테입을 발매하기 전까지) 인터넷에서 떠도는 '''몇 없는 자신의 얼굴이 담긴 사진들'''이었다.[* 문제는 정작 '''그 누구도 그 사진들이 위켄드의 얼굴인 줄 몰랐다'''는 것이다. 인터넷에서 폭풍같은 화제를 몰고있던 그였고, '도대체 그는 어떻게 생겼는가?', '얼굴 없는 가수' 등의 각종 커뮤니티 글들이 쏟아졌었다.] 3번째 믹스테입까지 발매하고, 곧이어 ''Trilogy''도 공개하며 점차 얼굴을 알리게 되었다. 그러고보면 아마 이 ''Trilogy''의 커버는 큰 맘 먹고(?) 찍은 것으로 보인다. 피치포크에서 특히 극찬한 작품으로, 첫 번째 믹스테잎 HoB는 8.5점을 쥐어주며 자신들의 한 해 추천작이라 할 수 있는 Best New Music에 올려놓았으며, Trilogy 역시 8.5점을 쥐어주며 Best New Reissued 리스트에 올려놓았다. 이 작품은 The Weeknd의 초기의 스타일과 그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수작이다. 미국 내 첫 주 86,000장 판매를 달성했고 빌보드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4위''', 빌보드 Top R&B/Hip-Hop 앨범 차트 '''1위''', 고향 캐나다 앨범 차트에서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Trilogy''는 The Weeknd의 메인 스트림 데뷔 앨범이라고 할 수 있다. 싱글 'Wicked Games'는 미국 내에서만 '''3백만 유닛 이상'''이 판매되어, RIAA에서 '''3X Platinum'''을 수상했고, "High For This", "Twenty Eight"도 '''1백만 유닛 이상'''이 판매 되어 각각 '''1X Platinum'''을 수상했다. 위켄드의 공식 유튜브에서 ''Trilogy'' 전곡을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OLAK5uy_n605tdRYQ63n073eyZnElBgBVTMtHK6nI|플레이리스트]]로 직접 제공하고 있어 쉽게 감상할 수 있다. == 평가 및 성적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trilogy,artist=the-weeknd,critic=79,user=9.1)]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17280-the-trilogy/, 점수=8.5)] ||<-2>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jpg|width=100]]]] [[https://www.billboard.com/charts/billboard-200/2012-12-01| {{{#4878ff '''2012년 12월 첫째 주'''}}}]] || ||<-2> • • • || || '''{{{+1 3}}}[br]{{{-2 {{{#f7ac75 New}}}}}}''' || {{{+1 {{{#344072 The Twilight Sag: Breaking Dawn: Part 2}}}}}}[br][[Various Artists|{{{#8086a0 Various Artists}}}]] || || '''{{{+1 4}}}[br]{{{-2 {{{#f7ac75 New}}}}}}''' || '''{{{+1 {{{#414b7f Trilogy}}}}}}[br]{{{#8086a0,#344072 The Weeknd}}}''' || || '''{{{+1 5}}}[br]{{{-2 {{{#f7ac75 New}}}}}}''' || {{{+1 {{{#414b7f King Animal}}}}}}[br]{{{#8086a0 Soundgarden}}} || ||<-2> • • • || [Include(틀:앤서니 판타노 2010년대 200대 명반2, 순위=190)] [include(틀:WHIP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include(틀:BuzzFeed 선정 2010년대를 정의한 18대 명반)]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Trilogy)] == 트랙 리스트 == === House Of Balloons === ||<#eee> '''House Of Balloons의 수상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75)]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항목=2011년 올해의 앨범,순위=10)]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2010년대 101대 명반, 순위=45)]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84)]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0)] ---- || [[롤링 스톤|{{{#!wiki style="margin:-4px -10px" [[파일:rollingstonemagazinecirclelogo.png|width=100]]}}}]] || '''{{{#000,#fff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br]{{{#000,#fff {{{+5 488위}}}}}}''' ||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풍선들의집.jpg|width=110%]]}}}|| ||<-2><#eee> '''{{{#000 House Of Balloons[br](2011.03.21)}}}''' || || 영국 || 60,000+ (SILVER) || ||<-2><#eee> '''{{{#000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 1 || High For This || || 2 || '''What You Need'''[* 위켄드 본인이 꼽은 위켄드의 커리어를 대표하는 6개의 곡 중 하나.] || || 3 || '''House Of Balloons / Glass Table Girls'''[* [[고딕 록]]에 큰 영향을 줬던 영국의 록 밴드 '[[Siouxsie and the Banshees]]'의 1980년 [[포스트 펑크]] 싱글 '[[https://www.youtube.com/watch?v=amR6-neQBPE|Happy House]]'를 샘플링한 곡이다. 이미 데뷔 앨범에서부터 80년대 펑크와 [[신스팝]]을 재해석 및 음악적 시도를 하고 있었음을 잘 드러내는 대표적인 곡이라 할 수 있다.] || || 4 || The Morning || || 5 || '''Wicked Games'''[* 영화 [[사우스포]] (2015)의 OST로 사용되었고, 큰 인기를 끌었다.] || || 6 || The Party & The After Party || || 7 || Coming Down || || 8 || Loft Music || || 9 || The Knowing || ||<-2> '''{{{#white Trilogy 보너스 트랙}}}''' || ||<-2> Twenty Eight || ||
[[메타크리틱|[[파일:AnyDecentMusic.png|width=150]]]] || || '''[[http://www.anydecentmusic.com/review/2962/The-Weeknd-House-of-Balloons.aspx|{{{#fff 스코어 8.0/1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house-of-balloons,artist=the-weeknd,critic=87,user=9.0)] [include(틀:피치포크, 링크=https://pitchfork.com/reviews/albums/15264-house-of-balloons/, 점수=8.5)] The Weeknd의 첫 번째 [[믹스테입]]이자 위켄드의 믹스테입 3부작을 '''대표하는 명반.''' 유튜브와 사운드 클라우드에 이 믹스테입 속 3개의 트랙[* "What You Need", "Loft Music", "The Morning"]을 공개했고, 이 것이 입소문을 타면서 주목을 받고 있었다. 이후 믹스테입이 발매된 뒤, 수록곡 중 2곡[* What You Need와 The Party & The After Party]을 프로듀서 '40'와 함께 듣게 된 [[Drake]]가 자신의 [[SNS]]에 소개하며 버프를 줘 언론의 주목도 받게 되었다. 덕분에 위켄드는 프로듀서였던 Jeremy Rose가 걸었던 조건[* 먼저 공개한 3개의 노래들로 대중의 인정을 받으면 믹스테입 작업과 함께 곡들을 위켄드에게 주겠다는 조건.]을 이뤘고, 차기 믹스테입 작업에 박차를 가하기 시작했다. 다만, 차기 믹스테입들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Crew Love"[* 위켄드가 빌보드 핫 100 차트를 최초로 진입하게 해준 곡이다.], "The Ride", "Shot for Me"는 Drake의 부탁[* 드레이크가 위켄드를 OVO Sounds로 초대해 자신의 앨범에 공동 프로듀서로 작업해주길 바랬고, 위켄드는 이에 흔쾌히 수락하며 성사되었다.]으로 그의 2집 앨범 ''[[Take Care]]''에 수록되었다.[* 위켄드는 Take Care 작업을 위해 자신의 믹스테입 작업을 거의 절반 넘게 포기했다고 인터뷰한 바 있다.] 최종적으로, 위켄드가 참여한 ''Take Care''와 ''House of Balloons''는 [[얼터너티브 R&B]] 장르에서 가장 중요한 앨범들로 꼽히게 된다. 프로듀서 Jeremy Rose와는 음악적 노선의 차이로 이 믹스테입 이후 더 이상의 작업을 이어가지 않게 됐다. 그러나 이 믹스테입에 참여한 프로듀서 Doc McKinney와 Illangelo는 더 위켄드의 음악적 특징을 가장 잘 이끌어내는 이들로 더 위켄드의 디스코그래피의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프로듀서진이다.[* Doc McKinney의 경우 3집 ''[[Starboy]]''를 끝으로 위켄드와의 디스코그래피 협업이 이어지지 않고 있지만, Illangelo는 모든 믹스테입은 물론 컴필레이션 앨범''Trilogy'' 전체의 총괄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1집 ''[[Kiss Land]]''와 3집 ''Starboy''를 제외한 모든 앨범에 프로듀서로 참여하고 있다.] 이후 [[피치포크 미디어]]는 이 믹스테입을 [[피치포크/올해의 앨범/2011|2011년 최고의 앨범]]에서 '''10위'''로 선정한 바 있다. 8년 뒤인 2019년에는 [[https://pitchfork.com/features/lists-and-guides/the-200-best-songs-of-the-2010s/|2010년대 최고의 곡 200선]]에서 수록곡 'The Morning'을 115위로 선정했다. 또한 [[https://pitchfork.com/features/lists-and-guides/the-200-best-albums-of-the-2010s/|2010년대 최고의 앨범 200선]]에서 이 믹스테입을 75위로 선정했다. 이 외에도 빌보드에서는 2010년대를 대표(정의)하는 노래들을 선정했는데 이 중 수록곡 "House of Balloons/Glass Table Girls"를 [[https://www.billboard.com/articles/columns/pop/8544245/the-weeknd-house-of-balloons-songs-that-defined-the-decade|꼽았다]]. 롤링 스톤은 2021년 개정한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500대 명곡 리스트]]에 수록곡 'House Of Balloons'[* 하나의 트랙 묶음이었던 House Of Baloons / Glass Table Girls에서 Glass Table Girls 파트는 '''포함하지 않았다'''. 오로지 수지 앤더 밴시스의 곡 'Happy House'를 샘플링한 파트인 House Of Balloons만을 꼽았다.]를 선정했다. 이 외에도 다수의 매체에서 선정한 2011년 올해의 앨범 리스트에 오르며 큰 호평을 받았다. Complex의 리스트[*A 순위가 없는 리스트], [[Stereogum]]의 리스트 5위, [[The Guardian]]의 리스트 8위, The A.V. Club의 리스트 6위, SPIN의 리스트에 13위에 올랐으며 이 외에도 수 개의 더 많은 전문 매체에서 올해의 앨범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비검열 앨범 커버는 수위가 상당히 높다. [[https://i2.wp.com/theconcordian.com/wp-content/uploads/2021/03/weeknd-house-of-balloons.jpg?fit=600%2C600|'''후방주의''']] ====# 10주년 기념반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hobvinylfrontcover_800xREUPLOAD.png|width=100%]]}}}|| ||<-2><#eee> '''{{{#000 House Of Balloons (Original)[* 커버 이미지는 1,000장 한정 바이닐의 앞면 커버. 다니엘 아르샴 作][br](2021.03.21)}}}''' || [[얼터너티브 R&B]]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작품이자 R&B를 넘어서 전 장르의 크로스 오버를 촉발시킨 주요 작품 중 하나였던, 기념비적인 믹스테입 ''House Of Balloons''의 10주년 기념반이 10주년 당일인 현지시간 2021년 3월 21일 일요일에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무료로 [[https://pitchfork.com/news/the-weeknd-is-re-releasing-house-of-balloons-with-original-samples-for-10th-anniversary/|공개]]가 됐다. 기념반에는 ''House Of Balloons''가 발매 당시 저작권, 비용[* 당시엔 한동안 노숙자 신세를 연연했었던 위켄드였기에, 굉장히 많은 샘플이 사용되었던 이 믹스테입의 샘플링 비용을 지불할 능력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나마 믹스테입에 삭제없이 사용된 일부 샘플들은 프로듀서 Jeremy Rose가 사비로 내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믹스테입들이 공개 당시 전부 무료였던 이유도 비용과 저작권 문제가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무료로 공개한 선택이 지금의 위켄드를 만들었기에 결과론적으론 좋은 선택이었다.] 등의 다양한 문제로 제거되었던 오리지널 버전의 믹스와 샘플링이 손실없이 그대로 담겨있다고 한다. 특히 수록곡 "What You Need"의 샘플로 쓰였던 [[Aaliyah]]의 곡, "The Knowing"의 샘플로 쓰였던 [[콕토 트윈즈|Cocteau Twins]], "House Of Balloons / Glass Table Girls"의 샘플로 쓰였던 [[Siouxsie and the Banshees]]의 곡, 그리고 "Loft Music"과 "The Party & The After Party"에 쓰였던 [[Beach House]]의 2가지 샘플 등이 '''제거 없이 원본'''으로 공개됐다. 이번 기념반은 딱 1,000장의 한정반 바이닐이 The Weeknd의 공식 홈페이지에서 한정 판매됐으며, 해당 한정 바이닐엔 미국 현대 미술가이자 뉴욕을 근거지로 하는 아티스트 '다니엘 아르샴'이 새롭게 재구성한 새로운 커버 아트가 담겨있다. === Thursday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요일.jpg|width=110%]]}}}|| ||<-2> '''{{{#000 Thursday[br](2011.08.18)}}}''' || ||<-2><#f6f5f3> '''{{{#000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 1 || Lonely Star || || 2 || Life Of the Party || || 3 || Thursday || || 4 || The Zone (feat. [[Drake]]) || || 5 || The Birds Part 1 || || 6 || The Birds Part 2 || || 7 || Gone || || 8 || Rolling Stone || || 9 || Heaven Or Las Vegas || ||<-2><#5c5c5c> '''{{{#white Trilogy 보너스 트랙}}}''' || ||<-2> Valerie || ||<#fff> [[메타크리틱|[[파일:AnyDecentMusic.png|width=150]]]] || || '''[[http://www.anydecentmusic.com/review/3575/The-Weeknd-Thursday.aspx|{{{#fff 스코어 7.5/1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thursday,artist=the-weeknd,critic=80,user=8.4)] The Weeknd의 두 번째 [[믹스테입]]. 첫 믹스테입보다 더욱 [[포스트 펑크]], [[다크웨이브]]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이에 맞게 자신의 [[팔세토]] 목소리를 더욱 가늘고 음울하게 사용[* 때문에 전작보다 더욱 전성기 시절 '''마이클 잭슨'''의 목소리를 연상케하는 트랙들이 가득하다.]하며 강조했다. 초·중반 위켄드의 목소리와 트랙마다 이용된 독특한 사운드 이펙트와 [[Drake]]의 피처링이 눈에 띈다. 그러나 전작에 비해 귀에 쉽게 머물지 못하는 멜로디를 가진 트랙들로 인해 사운드 구성 자체는 엇비슷하여 청자들에게 지루함을 주기도 한다. 비록 중·후반부터 강렬한 사운드와 어쿠스틱 사운드 등이 등장하여 집중력을 높이나, 아쉽게도 얼마가지 못하고 앨범이 끝나버린다. 전작이 [[덥스텝]]을 연상케하는 강렬한 전자 사운드와 락 창법 등이 사용되었다면, ''Thursday''는 집중도 면에서 곡 구성 상 비교적 전작에 미치지 못하나, 이런 부가적 요소말고 팔세토 보이스에 더 집중해 앨범의 자연스러운 유기성과 완성도를 높였다. 컴필레이션 ''Trilogy''의 구성으로 봤을 때 ''House of Balloons''와 ''Echoes of Silence''의 징검다리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Thursday''는 ''House of Balloons''로 큰 이목을 끌던 이후 공개된 작품이었기에 그 주목도는 상당했다. 위켄드 자신의 블로그에 무료로 공개를 했을 때, '''공개 당일 블로그 서버가 과부하되어 한동안 접속 불가 상태를 유지'''하기도 했다고 한다. ====# 10주년 기념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목요일쨩.jpg|width=100%]]}}}|| ||||<#fff> '''{{{#000 Thursday 10 Year Anniversary[* 커버 이미지는 한정 바이닐의 앞면 커버. 일본의 일러스트레이터 [[https://en.wikipedia.org/wiki/Mr._(artist)|Mr.]] 作][br](2021.08.18)}}}''' || 2021년 8월 18일 발매된 The Weeknd의 2번째 믹스테입 ''Thursday''의 10주년 기념반. ''HoB'' 10주년 기념반은 샘플 클리어링 등의 차이가 있지만, 이번 기념반에는 별다른 음악적 변화는 없는 것으로 보이는데[* 첫 믹스테입의 대성공으로 [[Drake]]의 OVO와의 계약을 통한 투자를 받았기 때문에 2번째 믹스테입 부터는 샘플 클리어링 등에 큰 문제가 없었을 것이다. 비록 지금과 체급이 큰 차이가 나지만 10년 전 당시에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던 Drake의 피처링 참여 비용 역시도 문제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신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한정반의 [[앨범 아트]] 이미지를 공개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 풍으로 제작되었다. 이미 더 위켄드는 일본 및 아시아 문화에 상당한 관심을 표해왔었고, 이는 정규 1집 앨범 ''[[Kiss Land]]''가 아예 [[AV(영상물)|일본 포르노]] 테마 컨셉[* 아예 콘서트에서 포르노를 틀기도 하였다.]인 것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워낙 믹스테입 자체의 분위기와 대조되는 아트다보니 국내에서는 ''Kiss Land''면 몰라도 ''Thursday''가 이런 일본풍의 느낌과 무슨 상관이냐며 비판적인 의견도 있다. 반대로 이런 아이러니함이 좋다는 의견도 있는 등 호불호가 갈린다. 해외에서는 대부분 위켄드의 팬인 경우 호평하는 편이나 역시 호불호가 갈리고 있다. === Echoes Of Silence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리없는소음.jpg|width=110%]]}}}|| ||<-2> '''{{{#000 Echoes of Silence[br](2011.12.21)}}}''' || ||||<#fff> '''{{{#000 트랙 리스트}}}''' || || '''#''' || '''제목''' || || 1 || '''D.D.'''[* [[마이클 잭슨]]의 'Dirty Diana' 커버곡.] || || 2 || Montreal || || 3 || Outside || || 4 || XO / The Host || || 5 || '''Initiation''' || || 6 || Same Old Song (feat. [[Juicy J]]) || || 7 || The Fall || || 8 || Next || || 9 || Echoes of Silence || |||| '''{{{#white Trilogy 보너스 트랙}}}''' || |||| Till Dawn (Here Comes the Sun) || || [[메타크리틱|[[파일:AnyDecentMusic.png|width=150]]]] || || '''[[http://www.anydecentmusic.com/review/3993/The-Weeknd-Echoes-Of-Silence.aspx|{{{#fff 스코어 7.7/1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echoes-of-silence,artist=the-weeknd,critic=82,user=8.7)] The Weeknd의 세 번째 [[믹스테입]]. ''House of Balloons''와 ''Thursday''에서 보여준 전자·락 사운드, 강렬한 비트와 어우러진 팔세토 보이스가 모두 합쳐져있는 믹스테입이다. 첫 번째 트랙인 'D.D.'는 마이클 잭슨의 대표 히트곡 'Dirty Diana'를 커버한 곡이다. 이 첫 번째 트랙은 강렬한 전자 사운드로 재편곡해 앨범의 포문을 연다. 이후 트랙들은 서로 긴밀하고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유기성이 더욱 강조되어 후반까지 이어진다. 몇몇 트랙의 보이스는 첫 믹스테입처럼 노이즈처리 되었으나, 더욱 전면에 등장해 곡을 이끈다. 또 중반의 곡의 흐름에 완전히 왜곡된 위켄드의 보이스[* 5번 트랙 "Initiation"이 가장 왜곡을 심하게 한 트랙이다. 보이스가 지속적으로 기존의 것에서부터 피치업, 피치다운되며 곡을 이끈다.]와 [[Juicy J]]의 스피치를 등장시키며 집중도를 높힌다. 비록 이 믹스테입이 전작들의 실험적인 면이 많이 보이진 않았고, 이미 보여주었던 사운드적 특징들을 합친다는 것에 그쳐 평가가 ''House of Balloons''에 상대적으로 미치지 못하나, 이 마지막 믹스테입까지 위켄드가 얼마나 많은 고민을 하며 ''Trilogy'' 시리즈 전체를 구상했을 지 잘 알 수 있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 10주년 기념반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orayama hajimeechoesofsilencealbumcover.jpg|width=100%]]}}}|| |||| '''{{{#fff Echoes of Silence 10 Year Anniversary}}}[* 커버 이미지는 일본의 그래픽 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인 [[소라야마 하지메]]의 작품이다.][br]{{{#ffcd12 (2021.12.21)}}}''' || Trilogy의 마지막 10주년 기념반이다. 이미지 속 메탈릭 로봇은 [[소라야마 하지메]]의 수작업으로 만들어진 로봇 작품으로, 더 위켄드가 직접 소라야마에게 주문해 자신의 저택에 전시해두고 있기도 하다. 소라야마는 위켄드의 4집 앨범 ''[[After Hours]]''의 수록곡 "Snowchild"의 벌스 중 하나인 "Rockin' Sorayama like he pay me"로 언급됐으며, 위켄드가 여러 차례 그를 향한 리스펙을 한 바 있다. === 싱글 === ||
곡 제목 || 연도 || 기록 || 수상[* 구분 편의상 Platinum, Gold는 RIAA의 바이닐 아이콘으로 대체함.] || || '''Wicked Games''' ||<|4> 2012[* 믹스테입이 아닌, 싱글 공개 연도.] ||US Billboard Hot 100 53위[br]US Hot R&B/Hip-Hop Songs 13위[br]US Rhythmic 10위[br]UK R&B Chart 18위[br]UK Singles (Official Charts Company) 152위[br]Belgium (Ultratip Flanders) 83위[br]Belgium Urban (Ultratop Flanders) 46위[br]Canada (Canadian Hot 100) 43위[br]Ireland (IRMA) 69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3x Platinum'''[br][[파일:GoldRIAA.png|width=30]] Canada: Gold[br][[파일:GoldRIAA.png|width=30]] IFPI: Gold[* 노르웨이 IFPI와 덴마크 IFPI에서 모두 골드를 수상했다.][br]UK BPI: Silver || || '''High for This''' || - ||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 || || '''Twenty Eight''' ||US R&B/Hip-Hop Digital Song Sales 49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 || || '''The Zone''' ||US R&B/Hip-Hop Digital Song Sales 50위|| [[파일:vmffk11.jpg|width=30]] RIAA: '''Platinum''' || == 뮤직 비디오 == [youtube(vPp5Ty9EE6k)] 'The Knowing'. 2012년 2월 24일에 공개. [youtube(ORVz_qeKgvg)] 'Rolling Stone'. 2012년 10월 3일에 공개. [youtube(O1OTWCd40bc)] 'Wicked Games'. 2012년 10월 18일에 공개. [youtube(tfrWuiQ4QNc)] 'The Zone'. 2012년 11월 7일에 공개. [youtube(2_ScGcuXZqc)] 'Twenty Eight'. 2013년 2월 13일에 공개. [youtube(bHFc5ZfEdBQ)] 'Echoes of Silence'. 2021년 12월 22일에 공개. [[분류:The Weeknd]][[분류:2011년 음반]][[분류:2012년 음반]][[분류:2021년 음반]][[분류:빌보드 4위 앨범]][[분류:캐나다의 R&B 음반]][[분류:얼터너티브 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