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루 리드)] || {{{#!wiki style="margin:-5px -10px;padding:7px 10px;" {{{#000 '''Transformer의 주요 수상'''}}}}}}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12,순위=194,연도2=2020,순위2=109)]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순위=72)] ---- [include(틀:멜로디 메이커 선정 100대 명반,순위=26)]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레코딩 1000)] ---- [include(틀:올타임 탑 1000 앨범, 순위=69, 연도=1998, 순위2=58, 연도2=2000)] ---- [include(틀:FNAC 선정 1000대 명반,순위=56)] ---- [include(틀:VPRO 선정 299대 명반)] ---- [include(틀:Ultimate Classic Rock 선정 120대 록 명반)]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6)] ---- [include(틀:언컷 선정 1970년대 500대 명반, 순위=29)]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올타임 명반, 순위=99)] ---- }}} || ||<-2><#d2b976> '''{{{#000000 {{{+1 Transform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ransformer.jpg|width=100%]]}}} || || '''발매일''' ||[[1972년]] [[9월 13일]]|| || '''녹음일''' ||[[1972년]] [[8월]] || || '''장르''' ||[[글램 록]] || || '''재생 시간''' ||36:40 || || '''곡 수''' ||11곡 || || '''프로듀서''' ||[[데이비드 보위]][br]믹 론슨 || || '''스튜디오''' ||트라이던드 스튜디오 || || '''레이블''' ||[[RCA 레코드|[[파일:RCA 레코드 로고.svg|width=65]]]] || [목차][clearfix] == 개요 == [[1972년]] [[11월 8일]] 발매된 [[루 리드]]의 2번째 솔로 앨범. == 특징 == [[벨벳 언더그라운드]]와 솔로 데뷔 앨범의 실패 이후[*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명성은 특유의 진취적인 음악 성향이 몇 십년이 지나서야 후대에 재평가된 것이고, 상업적으로는 [[빌보드 200]] 차트 턱걸이를 하거나 아예 차트인도 하지 못하는 등 철저히 외면받았다. 즉 상업적으로 단 한 번도 성공한 적이 없었고 루 리드가 1970년에 밴드를 떠난 이후 자연스럽게 해체됐다.] 방황하던 루 리드를 영향력있는 뮤지션으로서 다져놓은 출세작이다. 영국에선 플래티넘 인증을 받을 정도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어, 루 리드의 대표작이라 칭할 수 있다. "[[Walk on the Wild Side]]" "Satellite of Love" "[[Perfect Day]]" "Vicious"등 그의 가장 잘 알려진 곡들이 대부분 수록된 것도 이 앨범이다. [[데이비드 보위]]가 프로듀싱, 편곡, 코러스, 세션참가, 배킹 보컬까지 맡으며 진두지휘했고 거기다 보위의 기타리스트인 믹 론슨까지 참여했기 때문에 여러모로 보위의 향취가 깊게 배어었다. 그래서 이 앨범을 사실상 루 리드와 보위의 공동작으로 보기도 한다. 보위가 손 대기 전의 원 버전을 보면 수록곡들이 대부분 미니멀한 [[로큰롤]]이거나 단순한 [[포크 음악]]적인 느낌이었는데, 보위의 손길을 거치면서 분위기와 느낌이 [[글램 록]] 스타일로 확 바뀌어 버렸다. 앨범 커버는 믹 록이 촬영했다. == 트랙 리스트 == [include(틀:Transformer)] === Side A === ==== Vicious – 2:55 ==== [Youtube(BVcj_lo1F6o)] *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verover&logNo=130143668697|번역]] 앨범의 포문을 여는 곡. 신랄하고 경쾌한 기타 리프가 주가 되는 곡이다. [[앤디 워홀]]의 권유로 만들어진 곡. ==== Andy's Chest – 3:17 ==== [Youtube(F5Wxi15x7ss)] 유유자적한 사운드의 곡. [[벨벳 언더그라운드]] 시절 만들어진 곡으로 벨벳 버전은 1985년 컴필레이션 앨범인 [[VU(음반)|VU]]에서 들을 수 있다. 원곡과는 달리 빠르고 들뜬 느낌이다. ==== [[Perfect Day]] – 3:43 ==== [Youtube(V0--emrNth8)] ==== Hangin' 'Round – 3:39 ==== [Youtube(RE7H77oMSvI)] 오프닝 트랙 Vicious와 함께 앨범에서 가장 원초적인 로큰롤 장르에 속하는 곡이다. ==== [[Walk on the Wild Side]] – 4:12 ==== [Youtube(Qu6F-mMAQhk)] [[https://hyunjiwoon.tistory.com/480|번역]] === Side B === ==== Make Up – 2:58 ==== [Youtube(0aIsSWB2xRA)] ==== Satellite of Love – 3:40 ==== [Youtube(SL2uvTvaHEA)] 영화 [[벨벳 골드마인]]에 삽입되기도 했다. ==== Wagon Wheel – 3:19 ==== [Youtube(5kf0cEH8_Js)] ==== New York Telephone Conversation – 1:31 ==== [Youtube(O8tzz5dj4iA)] ==== I'm So Free – 3:07 ==== [Youtube(O1QxB3jG_X8)] ==== Goodnight Ladies – 4:19 ==== [Youtube(WRcs21vzFm0)] == 참여자 == * [[루 리드]] - 리드 보컬, 리듬 기타 * 믹 론슨 - 리드 기타, 피아노, 리코더 * [[데이비드 보위]] - 배킹 보컬, 키보드, 어쿠스틱 기타 {{{-1 ("Wagon Wheel", "Walk on the Wild Side")}}} * 허비 플라워스 - 베이스 기타, 더블 베이스 {{{-1 ("Goodnight Ladies", "Make Up")}}} * 존 할세이 - 드럼 추가 참여자 * 트레버 볼더 - 트럼펫 * 로니 로스 - 소프라노 색소폰 {{{-1 ("Goodnight Ladies")}}}, 바리톤 색소폰 {{{-1 ("Walk on the Wild Side")}}} * 썬더싸이즈 - 배킹 보컬 * 클라우스 부어만 - 베이스 기타 {{{-1 ( "Perfect Day", "Goodnight Ladies", "Satellite of Love", "Make Up")}}} * 배리 드수자 - 드럼 * 리치 다르마 - 드럼 [[분류:1972년 음반]][[분류:미국의 록 음반]][[분류:루 리드]][[분류:글램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