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25px 0px" [[Tokyo Machine|[[파일:tokyomachine.png|width=35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okyomachine.jpg|width=100%]]}}} || || '''{{{#black 이름}}}''' ||'''도쿄 머신(Tokyo Machine)'''|| || '''{{{#black 국적}}}''' ||'''불명'''[* 4seidon Water Music Festival에서 네덜란드인으로 소개되었으나 공식적으로 밝혀진 것은 없다.[[https://www.instagram.com/p/Bw_rF7yhztC/?utm_source=ig_web_button_share_sheet|#]]]|| || '''{{{#black 직업}}}''' ||'''[[프로듀서]], [[DJ]]'''|| || '''{{{#black 장르}}}''' ||'''[[일렉트로 하우스]], 베이스 하우스, [[컴플렉스트로]], [[칩튠]], [[트랩(음악)|트랩]]'''|| || '''{{{#black 레이블}}}''' ||'''[[Monstercat Media|[[파일:monstercat_logo2.png|height=30&width=130]] ]]'''|| || '''{{{#black 관련 링크}}}''' ||'''[[https://www.tokyomachine.net/|[[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soundcloud.com/tokyo-machine|[[파일:사운드클라우드 아이콘.svg|width=24]]]] [[https://www.instagram.com/tokyomachin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melon.com/artist/detail.htm?artistId=2873252|[[파일:멜론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okyomachine, 크기=24)] [[https://www.facebook.com/tokyomachin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m.twitch.tv/tokyomachine|[[파일:트위치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c/TokyoMachin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discord.com/invite/tokicrew|[[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4]]]]'''|| [목차] == 개요 == '''東京マシーン / TOKI''' [[몬스터캣]] 소속의 EDM 프로듀서, 작곡가 및 DJ이다. 주 장르는 [[칩튠]] 스타일이 섞인 [[일렉트로 하우스]], 베이스 하우스, [[브레이크비트]] 등이다. 초기엔 가벼운 분위기의 카와이계 일렉트로가 주력이었지만 점점 장르의 폭이 넓어지고 또 하드해지고 있다. 음악 외적으로는 귀여운 앨범 아트가 호평받는데, 곡과 잘 어울리는 아기자기한 그림체 덕분에 인기가 많다. 여기에 나오는 동물 캐릭터들은 Tokimon[* TOKI + [[포켓몬|Pokemon]]의 합성어.] 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https://monstercat.fandom.com/wiki/Tokyo_Machine#Other|여기]] 참조.[* 인터뷰에 따르면 Tokimon은 모두 12마리며 앞으로 더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참고로 일부 곡에서 '로보쨩' 하는 음성이 들리는데 바이저를 쓴 토끼 캐릭터 이름이 Robo-chan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영향이 강한 음악과 매력적인 캐릭터 등, 서브컬쳐에서 인기 있는 요소를 갖추고 있어, 몬캣 소속 아티스트 중 팬아트가 많은 편이다. == 싱글 목록 == === 2016년 === * [[https://youtu.be/rpkDl6UN4a8|PARTY]] * [[https://youtu.be/FABmGWoScDk|OKAY]] * [[https://youtu.be/qvBlHBHUTMs|FIGHT]] * [[PIXEL(Tokyo Machine)|PIXEL]] === 2017년 === * [[https://youtu.be/N17omU8oykU|HYPE]][* [[Just Shapes & Beats]]에 수록곡으로 등장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HYPE|문서]] 참고.] * [[https://youtu.be/ycgtC0EDOfk|BLAST]] * [[https://youtu.be/shyCLiVJXWM|CRAZY]] * [[https://youtu.be/v1uSlrukwHY|BUBBLES]] * [[https://youtu.be/NFB6Y2Qt8ag|ROCK IT]][* [[로켓 리그]]와 몬스터캣의 콜라보 앨범인 Rocket League x Monstercat Vol. 1의 수록곡이다.] * [[https://youtu.be/qZcR_afc1Mw|SPOOKY]] === 2018년 === * [[https://youtu.be/fzp4Elhf0gQ|COOKIES]] * [[https://youtu.be/8-gpAw17vhc|FLY]][* 이 곡 역시 [[로켓 리그]]와 몬스터캣의 4번째 콜라보 앨범인 ROCKET LEAGUE x MONSTERCAT VOL. 4에 수록되어 있다.][* 제대로 된 가사가 있는 최초의 보컬곡. 작곡가 본인이 직접 불렀다.] * [[https://youtu.be/E7gnDHrgVNI|EPIC]][* [[비트 세이버]]에 몬스터캣 DLC 중 하나로 수록되어 있으며, 로켓 리그에도 수록되었고, [[리틀빅플래닛]] 시리즈의 스핀오프 게임인 Sackboy: A Big Adventure에도 사운드트랙 중 하나로 수록되었다([[https://www.reddit.com/r/Monstercat/comments/jth9ym/tokyo_machines_epic_and_sw_hps_saturday_morning/|#]]).] * [[https://youtu.be/DmiGLSG8wYE|JINGLE BELLS]][* 2018년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나온 곡.] === 2019년 === * [[https://youtu.be/RhR_Z5wVvJM|PLAY]] * [[https://youtu.be/Xz0RUutaXN0|SAIKOU]] * [[https://youtu.be/NgPWqeirmrM|MOSHI]][* [[Monstercat]] 8주년 앨범의 수록곡이자 [[Pegboard Nerds]]와의 콜라보곡, 그리고 도쿄 머신 최초의 콜라보.] * [[https://youtu.be/LEXpMSVV5VA|TURBO]] * [[https://youtu.be/3osTvc0mdo8|BAD BOY]][* YAKO와의 콜라보곡.] === 2020년 === * [[https://youtu.be/7-FrMh5LS0Q|FLAMES]][* [[Proximity]]에 릴리즈 되었으며, 처음으로 [[Monstercat]]에 릴리즈되지 않은 곡이다.] * [[https://youtu.be/HvEG75sszX0|BEWM]][* Slushii와의 콜라보곡.] * [[https://youtu.be/NQy4tG-lYXI|JOURNEY]] * [[https://youtu.be/HV7mLcsUp5U|GET UP]][* Guy Arthur와의 합작곡으로, [[NoCopyrightSounds]]에 릴리즈된 곡이다.] * [[https://youtu.be/rl1GYhV3azw|ROCK IT (VIP)]] === 2021년 === * [[https://youtu.be/YB2GstH6YUQ|Last Summer (feat. Lights)]][* Weird Genius와의 합작곡이며, 처음으로 곡 제목이 전부 대문자가 아니고, 도쿄 머신 최초의 몬스터캣 Instinct 릴리즈 곡이다.][* [[멜론(음원 서비스)|멜론]]에서는 [[19금]]] * [[https://youtu.be/2eJVFCsOwpE|Virtual Gaming (Tokyo Machine Remix)]][* 원곡은 Naeleck과 [[히게드라이버]]의 합작.] * [[Silver Lining]][* [[SEKAI NO OWARI|End of the World]]와의 콜라보곡.] * Slash[* NoCopyrightSounds 10주년을 맞아 NCS에 곡을 릴리즈했다] === 기타 곡 === * [[https://youtu.be/mXauuSo4b44|Animal Crossing: New Horizons (TOKYO MACHINE Remix)]] * [[https://youtu.be/YEE3Fxl-L0I|vs. DJ Subatomic Supernova (Tokyo Machine Remix)]][* 원곡은 [[NO STRAIGHT ROADS]]의 수록곡이다.] == 여담 == * 이름과 본인의 캐릭터만 보아도 눈치챌 수 있지만, [[도쿄 구울]]을 매우 좋아하는 듯 하다. 예전 트위터 이름도 [[https://twitter.com/tokyomachine|EDM KANEKI]]였고 (현재는 그냥 본인 명의) 일부 라이브 영상에서는 아예 카네키가 그려진 티셔츠를 입고 있는 걸 보면... * 2018년 SPECTRUM을 통해 처음 내한했고, 2019년 7월 4seidon Festival을 통해 두 번째로 내한했다. * SNS에 항상 [ ^ vvvv ^ ] 이모티콘을 붙이는데 글마다 표정이 다르다. 커피 관련 사진은 눈이 커피 이모지로 되어 있다든가. * 철저한 익명 컨셉인지 목소리를 숨기는 편이다. [[https://www.instagram.com/p/BVlhps5AYmD/?igshid=1dxwphoav01mb|초기]] [[https://www.instagram.com/p/BbxTycvA0_4/?igshid=1ffya62rygd4o|영상들]]의 인트로 음성에는 이펙트가 걸려 있었고, [[https://youtu.be/glBa6DNbfFk|인터뷰]]에서는 말하는 대신 화이트보드를 썼으며, 트위치 스트리밍에서도 변조한 채 진행한다. 다만 FLY의 보컬이 본인이라고 밝힌 것으로 보아 이 컨셉은 그냥 재미용인 듯. * 상술한 컨셉과 더불어 과거에 대해 알려진 것이 없어, 기존 몬캣 아티스트의 가명이라는 추측이 있다. 유력 후보로 [[Xilent]]가 거론되고 있는데, 몇몇 해외 음악 서비스에서 PATRY의 작곡가가 Xilent의 본명인 Eryk Kowalczyk라 표기되어 있었던 것과 Tokyo Machine의 데뷔 시기와 Xilent의 공백기가 일치하는 점, 일부 곡 스타일이 비슷한 점을 증거로 들고 있다. * 음악 스타일이 소위 말하는 카와이 계열이고 일본어 실력도 수준급이라 데뷔 초기에 일본인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정확한 국적은 불명. == 둘러보기 == [include(틀:몬스터캣 아티스트)] [[분류:일렉트로닉 뮤지션]][[분류:D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