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켄드릭 라마 디스코그래피)] ||<-5>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7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000,#000,#996633)"{{{#!wiki style="margin:-6px -10px" [[켄드릭 라마|[[파일:Kendrick Lamar Logo2.png|width=1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35%, #996633 45%, #996633 55%, transparent 55%); width: 90%" }}}''' [br] [[틀:켄드릭 라마 디스코그래피| {{{#996633 Kendrick Lamar Chronology}}}]]}}} || ||<#ddd> '''[[good kid, m.A.A.d city|{{{#000 {{{-2 2012년 10월 22일}}}[br]2집 {{{#000 ''good kid, m.A.A.d city''}}}}}}]]''' || → ||<#b4b2b3> '''[[To Pimp A Butterfly|{{{#000 {{{-2 2015년 3월 15일}}}[br]3집 {{{#000 ''To Pimp A Butterfly''}}}}}}]]''' || → ||<#434a21> '''[[untitled unmastered.|{{{#fff {{{-2 2016년 3월 4일.}}}}}}[br]{{{#fff 컴필. ''untitled unmastered.''}}}]]''' || ||<-5><#b4b2b3> '''{{{#000 수상 내역}}}''' || ||<-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연도별 메타크리틱 최고 평점 음반)]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올해의 앨범)] ---- ||<-5><#fff,#404040> {{{+1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50]]]][br][[빌보드 200|앨범 차트]] {{{#b2a529 '''역대 1위'''}}}}}} || || ''Empire: Original Soundtrack[br]From Season 1'' {{{-2 {{{#8086a0 VA}}}}}} || {{{+1 →}}} || ''' ''To Pimp A Butterfly''[br]{{{-2 [[Kendrick Lamar|{{{#8086a0 Kendrick Lamar}}}]]}}}'''[br]{{{-2 (2주)}}} || {{{+1 →}}} || ''The Album About Nothing'' {{{-2 {{{#8086a0 Wale}}}}}} || ---- [include(틀:피치포크/올해의 앨범)] ---- [include(틀:피치포크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롤링 스톤/올해의 앨범(2000~2019))] ---- [include(틀:NME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항목= 올타임 명반, 순위=17)]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연도별 1위 앨범(2000년~2019년))] ---- [include(틀:스테레오검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include(틀:앤서니 판타노/올해의 앨범)] ---- [include(틀:앤서니 판타노 2010년대 200대 명반)] ---- ||||<-5> [[파일:Grammy.svg|width=20]] '''{{{+1 그래미 베스트 랩 앨범}}}''' || || 2014 || || '''2015''' || || 2016 || || ''[[The Marshall Mathers LP2]]'' {{{-2 [[에미넴|{{{#8086a0 Eminem}}}]]}}} || {{{+1 →}}} || ''[[To Pimp A Butterfly]]'' '''{{{-2 [[Kendrick Lamar|{{{#8086a0 Kendrick Lamar}}}]]}}}''' || {{{+1 →}}} || ''[[Coloring Book]]'' {{{-2 [[챈스 더 래퍼|{{{#8086a0 Chance The Rapper}}}]]}}} || ---- [include(틀:멜론 선정 명반,음반명=To Pimp A Butterfly)] ---- [include(틀:브루클린비건 선정 2010년대 141대 명반, 순위=4)] ---- [include(틀:인디펜던트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빌보드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5)]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항목=2010년대 최고의 앨범,순위=3)] ---- [include(틀:빌보드 선정 위대한 앨범 커버들, 순위=13)] ---- [include(틀:스핀 매거진 선정 2010년대 101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Discogs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순위=7)] ---- [include(틀:슬랜트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 ---- [include(틀:Popkultur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3)] ---- [include(틀:WHIP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 [include(틀:Analog Plane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7)] ---- [include(틀:Good Morning America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7)] ---- [include(틀:머큐리 뉴스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1)] ---- [include(틀:tracklist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 ---- [include(틀:Northern Transmissions 선정 2010년대 50대 명반, 순위=1)] ---- [Include(틀:Tiny Mix Tapes 선정 2010년대 100대 명반, 순위=28)] ---- [include(틀:Albumism 선정 2010년대 110대 명반)] ---- [include(틀:AllMusic 선정 2010년대 200대 명반)] ---- [include(틀:Studio Brussel 선정 500대 명반, 연도=2016,순위=32,연도2=2017,순위2=9)] ---- [include(틀:WXPN 선정 2021대 명반,순위=137, 연도=2022)]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앨범 차트,순위=1)]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연도=2020,순위=19)] ----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장)] ---- [include(틀:Q 매거진 선정 156대 가장 영향력 있는 레코드)] ---- [include(틀:더 가디언 선정 훌륭한 아티스트 입문을 위한 음반)] ---- [include(틀:컨시퀀스 선정 50대 힙합 명반(1위~15위))]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200대 힙합 명반)] ---- [include(틀:Bonafide 선정 2010년대 10대 힙합 명반)] ---- [include(틀:Treble 선정 60대 21세기 힙합 명반, 순위=1)] ---- [include(틀:이즘 선정 2015 올해의 팝 앨범)] ---- [include(틀:BuzzFeed 선정 2010년대를 정의한 18대 명반)] ---- }}} || |||| '''{{{+1 ''To Pimp A Butterfly''}}}''' || ||||{{{#!wiki style="margin:-6px -10px" [[파일:KLTPAB.jpg|width=100%]]}}}|| || '''아티스트''' || [[켄드릭 라마|Kendrick Lamar]] || || '''발매''' || [[2015년]] [[3월 15일]] || || '''장르''' || [[힙합 음악|힙합]] · [[붐뱁]] · [[서부 힙합]] · 컨셔스 힙합 · [br] [[재즈 랩]] · [[G-funk]] · [[네오 소울]] · 펄리티컬 힙합 · [br] 프로그레시브 랩 · [[펑크(음악)|펑크]] || || '''길이''' || 78:51 || || '''트랙''' || 16 || || '''프로듀서''' || [[Dr. Dre]][* 총괄 프로듀서] · Boi-1da, Flippa · [[플라잉 로터스| Flying Lotus]] · [br] Knxwledge · KOZ · Larrance Dopson · [br] LoveDragon · [[퍼렐 윌리엄스| Pharrell Williams]] · Rahki · [br] Sounwave · Tae Beast · Taz Arnold ·[br] Terrace Martin · [[썬더캣| Thundercat]] · Tommy Black · [br] Whoarei || || '''레이블''' || [[TDE]] [br] [[인터스코프 레코드|Aftermath]] [br] [[Interscope]] || [목차] [clearfix] == 개요 == ||<-5>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7px 10px; background-image:linear-gradient(to right,#996633,#000,#000,#996633)" {{{#!wiki style="margin:-10px" || [[켄드릭 라마|[[파일:Kendrick Lamar Logo2.png|height=60]]]]||'''[[켄드릭 라마|{{{#996633 {{{+1 켄드릭 라마}}}}}}]]'''[br]{{{#996633 {{{-1 '''역대 스튜디오 음반'''}}}}}} ||}}} || ||<#ddd> '''[[good kid, m.A.A.d city|{{{#000 {{{-2 2012년 10월 22일}}}[br]2집 {{{#000 ''good kid, m.A.A.d city''}}}}}}]]''' || → ||<#b4b2b3> '''[[To Pimp A Butterfly|{{{#000 {{{-2 2015년 3월 15일}}}[br]3집 {{{#000 ''To Pimp A Butterfly''}}}}}}]]''' || → ||<#6f3741> '''[[DAMN.|{{{#f50a0b {{{-2 ''[math(\rm {2017})]''년 ''[math(\rm {4})]''월 ''[math(\rm {14})]''일}}}[br]''[math(\rm {4})]''집 {{{#f50a0b ''[math(\rm {DAMN.})]''}}}}}}]]''' || [[2015년]] [[3월 15일]]에 발매된 [[켄드릭 라마]]의 정규 3집. To Pimp A Butterfly라는 앨범의 제목은 [[하퍼 리]]의 ''[[앵무새 죽이기]](To Kill a Mockingbird)''에서 따 왔으며, [[미국 흑인]]을 막 날개를 펴서 날아오르려는 나비에 빗대었다. 2집 ''[[good kid, m.A.A.d city]]''를 통해 얻은 유명 래퍼로서의 삶과 그에 따른 개인적 고뇌, 전작에서부터 이어지는 [[콤프턴|컴튼]]에서의 경험,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여행하며 느낀 소회, 벗어나기 힘든 미국 흑인에 대한 폭력과 착취의 굴레에 대한 사회적 메시지와 종교적 자아성찰이 드러나는 가사를 다양한 장르의 블랙뮤직을 담은 사운드에 담아서 엮어낸 앨범이다. 또한 앨범의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투팍 샤커|투팍]]에 대한 헌정 앨범이기도 하다.[* 이 앨범의 원래 제목은 ''Tu Pimp A Caterpillar''였다고 한다. 여기서 앞 글자만 따서 축약하면 '''[[투팍 샤커|Tupac]]'''이 된다.] == 상세 == 전작 [[good kid, m.A.A.d city]]는 엄청난 완성도로 대중과 평론가들을 사로잡은 앨범이었다. 그렇기에 이를 뛰어넘는 차기작은 나오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야기는 정말 많았다. 그만큼 GKMC는 대단한 앨범이었으니 그런 전망을 점치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 하지만 켄드릭의 TPAB는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업계 관계자와 평론가들에게 [[카니예 웨스트]]의 [[My Beautiful Dark Twisted Fantasy]]와 함께 '''2010년 이후를 대표할만한 힙합 앨범''', '''역사상 최고의 힙합 앨범 중 하나에 이름을 올리기에 부족함이 없다'''는 찬사를 이끌어냈다. 여기에 대중적으로도 성과를 거두며 말그대로 대중과 평단을 모두 사로잡은 걸작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조지 클린턴, Bilal, Anna Wise, Ronald Isley, [[Snoop Dogg]], James Fauntleroy, Rapsody, [[Thundercat]] 등이 피처링으로 참여했다. 힙합 앨범으로는 이례적으로 [[닥터 드레]] 사단의 프로덕션 하에 [[플라잉 로터스]] 같은 힙합과 일렉트로니카를 넘나드는 뮤지션, [[퍼렐 윌리엄스]] 같은 팝 뮤지션같은 힙합을 들어본 사람이라면 이름은 들어봤을 뮤지션은 물론이고, [[카마시 워싱턴]], 로버트 글래스퍼같은 재즈 뮤지션까지 힙합에서는 보기 힘든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이 대거 참여한 앨범이기도 하다. 자극적인 트랩 비트가 씬을 지배하던 시기에 켄드릭은 오히려 이런 흐름과 반대로 걸어가 흑인 음악의 근간인 [[Funk]], [[재즈]]의 그루브로 회귀하였다. 상술한 다양한 뮤지션들의 참여는 이 앨범에 다채로운 재미를 주었다.[* 예시로 For Free? (Interlude)같이 라이브 공연같은 재즈 세션이 돋보이는 곡도 있으며 U같이 철저하게 가라앉는 분위기의 곡, 아이즐리 브라더스의 펑크 넘버인 That Lady에서 샘플을 따와서 흥겨운 분위기 아래 자신을 긍정하는 I같은 다양한 구성의 트랙이 단 한 앨범에 녹아있다. ] 실제로 이 앨범에 참여한 믹싱 엔지니어가 밝히길 다른 앨범보다 확실히 긴 시간동안 오케스트라와 밴드 세션, 상기된 네임드 뮤지션들까지 음악에 쓰일 소스를 확보하기 위해 미친듯이 연주를 했다고 한다. 16마디 - 훅이나 8마디 - 훅의 전형적인 구성으로 되어있는 것도 아니라 이들이 도저히 언제까지 연주할지 예측이 안될 정도였고, 음악적으로 엄청난 광경이었다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양질의 재료들을 가지고 사운드웨이브, 테런스 마틴 등의 베테랑 프로듀서들이 힘을 모아서 판을 깔았다. 이렇게 깔린 판에 켄드릭이 바라본 자신의 개인사, 사회, 인종, 종교 등의 무거운 주제에 대해서 날카로운 통찰력을 발휘하여 그의 시선을 녹여낸 가사를 랩으로 완벽하게 구현해내며 트랙간의 유기성까지 잡아내는데 성공하였다. 사운드를 보면 아프리카 민속 음악에서부터 재즈, 소울, 펑크, 힙합, 팝까지 수많은 흑인 음악 장르가 녹아있는 앨범이기에 '''힙합으로 표현된 미국 흑인 음악의 정수'''이라는 평까지 받았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음악),album=to-pimp-a-butterfly,artist=kendrick-lamar,critic=96,user=9.0)] [include(틀:RYM, type=album, code=kendrick-lamar/to-pimp-a-butterfly/, 점수=4.36)] *'''[[뉴욕 타임즈]]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1위''' *'''스핀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1위''' *'''슬랜트 매거진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1위''' *'''[[가디언지]]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1위''' *'''Entertainment Weekly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1위''' *'''컴플렉스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1위''' *'''Consequence of Sound 선정 2015년 올해의 앨범 1위''' *'''근 10년간의 메타크리틱 앨범 점수 중 최고점''' *'''[[피치포크/연대별 최고의 앨범|피치포크 미디어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 4위''' *'''[[스테레오검]]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앨범 1위''' *'''[[Rate Your Music]] 올 타임 최고의 앨범 1위''' == 트랙리스트 == ||||<-3> '''{{{#000 트랙리스트}}}''' || || '''#''' || '''제목''' || '''길이''' || || 1 || [[웨슬리 스나입스|Wesley's]] Theory[br]{{{-2 (feat. George Clinton, [[Thundercat]], [[Dr. Dre]])}}} || 4:47 || || 2 || For Free? (Interlude) || 2:10 || || 3 || King Kunta || 3:54 || || 4 || Institutionalized[br]{{{-2 (feat. [[Snoop Dogg]], Bilal & Anna Wise)}}} || 4:31 || || 5 || These Walls[br]{{{-2 (feat. Bilal, Anna Wise & [[Thundercat]])}}} || 5:00 || || 6 || u || 4:28 || || 7 || Alright || 3:39 || || 8 || For Sale? (Interlude) || 4:51 || || 9 || Momma || 4:43 || || 10 || Hood Politics || 4:52 || || 11 || How Much A Dollar Cost[br]{{{-2 (feat. Ronald Isley, James Fauntleroy)}}} || 4:21 || || 12 || Complexion (A Zulu Love)[br]{{{-2 (feat. Rapsody & [[Pete Rock]])}}} || 4:23 || || 13 || [[The Blacker The Berry]][br]{{{-2 (feat. Assassin)}}} || 5:28 || || 14 || You Ain't Gotta Lie (Momma Said) || 4:01 || || 15 || [[i(노래)|i]] || 5:36 || || 16 || Mortal Man || 12:07 || === Wesley's Theory === [include(틀:영상 정렬,url=l9fN-8NjrvI)] 유명 흑인 영화 배우 [[웨슬리 스나입스]]의 탈세 사건에서 모티브를 얻은 곡. 웨슬리 스나입스의 회계사였던 에디 칸이란 사람은 아메리칸 라이츠 리티게이터스라는 단체의 대표였는데 이 단체는 안 내도 될 세금을 강요하는 불합리한 과세행정에 반대하는 단체였으며, 이 사람이 회계사로 있는 동안 웨슬리 스나입스의 세금은 제대로 납부되지 않았고 그 때문에 결국 웨슬리 스나입스는 이에 대한 혐의가 인정되어 실형을 살게 되었다. 헌데 웨슬리 스나입스의 아내 박나경의 주장에 따르면 미국에서도 보통 고의적 소득세 탈루가 아닌 신고 누락에 대해 실형 선고가 되는 일은 별로 없다고 한다. 즉 백인이었으면 벌금이나 집유로 끝났을 일인데 흑인이기 때문에 더 가혹한 처벌을 받았다는 것이 부부의 주장. 켄드릭은 웨슬리 스나입스의 이 사건에 모티브를 얻어서 이 곡에서 미국의 백인 중심 자본주의가 흑인들의 노동력을 착취한 다음 그들을 나락으로 빠뜨린다는 것을 묘사하고 있으며, 이는 앨범의 제목인 To Pimp A Butterfly와 일맥상통한다. 이 곡에서 켄드릭은 갓 성공한 흑인 래퍼의 시점에서 [[돈]], [[여자]], [[총]], [[차]] 등을 원하고 미국 주류 사회를 상징하는 [[엉클 샘]]은 이를 부추기지만 마지막 구절에서는 그렇게 성공하고도 세금 한 번 안 내는 순간 켄드릭을 "웨슬리 [[저격|스나입스(Snipes)]]"[* 웨슬리 스나입스(Snipes)의 성과 저격(Snipe)을 사용한 [[펀치라인]].]해 버릴 거라고 위협한다. === For Free? (Interlude) === [include(틀:영상 정렬,url=qh4nXtTpTEE)] [include(틀:영상 정렬,url=_ZTYgq4EoRo)] 이후의 곡인 King Kunta의 앞에 위치한 인터루드 곡. 비록 인터루드 곡이기는 하지만 켄드릭의 어마무시한 속사포 랩이 나오기 때문에 존재감은 다른 곡에 비해서도 꿀리지 않는다. 켄드릭의 여자친구가 큰 사람이 되겠다는 켄드릭의 포부를 비웃고는 다른 남자에게 가겠다며 켄드릭을 떠난다는 인트로가 나오는데, 여기서 켄드릭은 흑인을, 켄드릭의 여자친구는 미국 백인 사회를 은유하고 있다. 이에 켄드릭은 곡 내내 'This dick ain't free'(내 X은 공짜가 아냐)라고 항변하면서 미국의 백인 사회에게 더 이상 자신들의 허슬이 공짜가 아님을 선포한다. 이전 트랙인 Wesley's Theory와 트럼펫 사운드를 통해 유기적으로 연결된다. === King Kunta === ||<#b4b2b3> ''' King Kunta 주요 수상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347)]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134)] ---- }}} || [include(틀:영상 정렬,url=g0NVaX8DRN4)] [include(틀:영상 정렬,url=hRK7PVJFbS8)] 제목의 'King Kunta'는 알렉스 헤일리의 소설 [[뿌리(소설)|뿌리]]의 주인공인 흑인 노예 쿤타 킨테를 뜻한다. 쿤타 킨테는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탈출하려다가 오른쪽 다리를 잘린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곡의 훅에서도 'Everybody wanna cut the legs off him'(모두가 그의 다리를 잘라내고 싶어해)라는 가사로 언급된다. 켄드릭은 사회의 밑바닥과 꼭대기를 대조하기 위해서, 그리고 'i'에서와 마찬가지로 힘을 복돋우기 위해서 자신을 'King Kunta'라 칭하고 있으며, 동시에 자신이 컴튼의 밑바닥에서 미국의 정상급 래퍼로 위치가 올라간 뒤 컴튼으로 금의환향 하였다는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켄드릭은 [[NME]]와의 인터뷰에서 '그것은 투쟁의 이야기이며 자신이 믿는 것을 위해 일어서는 이야기이다'라고 이 곡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끝나면 그저 흑인 빈곤층 젊은이가 랩으로 왕이 되었다는 뻔한 이야기가 되었겠지만 이 곡의 마지막 부분에서 앨범 내내 반복되는 'I remember you was conflicted, misusing your influence'(당신이 갈등했던 것을 기억해, 당신의 영향력을 오용하면서 말이야.)라는 내래이션이 처음으로 나오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게 된다. === Institutionalized === [include(틀:영상 정렬,url=7L1POXocFIQ)] 앞선 트랙 'King Kunta'는 켄드릭이 자신을 왕으로 칭할 수 있을 정도로 성공하였음을 묘사하지만, 이 곡은 전작 [[good kid, m.A.A.d city]]에서도 상세히 다룬 켄드릭의 어두운 과거가 여전히 켄드릭의 정신 속에 숨어 있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켄드릭은 이 곡에서 [[BET]] 어워드에 데려간 자기 친구들이 백인 부자들을 보고 분노하며 도둑질 충동을 느꼈다는 이야기를 풀며, '과연 우리가 백인의 착취 때문에 이 모양이 된 것일까'하는 질문을 던지며, Institutionalized(제도화)라는 단어로 흑인들이 기성 권력층에 의해 형성된 구조 속에 갇히고 세뇌되며, 개인이 자유의지를 잃어버리고 자기자신을 통제하는 것이라며 상류층과 하류층 모두를 비판하고 있다. === These Walls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112)] [include(틀:영상 정렬,url=AHNK4k3Cr24)] [include(틀:영상 정렬,url=drV0QatqbRU)] 'I remember you was conflicted, misusing your influence, Sometimes, I did the same.'(당신이 갈등하던 것을 기억하지, 당신의 힘을 오용하고 있었어. 하지만 가끔은 나도 똑같은 짓을 했어)라는 켄드릭의 내래이션이 나오며 곡이 시작된다. 'These Walls'라는 제목은 1997년 미국 케이블 HBO에서 방영된 영화 'if these walls could talk'에서 따온 것으로, 벽은 여성의 [[질(신체)|질]]의 벽, 감옥의 벽, 그리고 궁극적으로 켄드릭의 마음과 양심 속의 벽을 동시에 은유하고 있다. 이 노래는 켄드릭의 친구 중 한 명[* 이 친구가 [[good kid, m.A.A.d city]]에 나온 Dave를 뜻하는 것이란 이야기가 있다. 곡의 세번째 벌스에서 'Sing About Me'가 언급되는 것이 그 근거.]을 살해한 남자가 감옥에 간 틈을 타 그의 아이를 가진 여성과 섹스를 하는 켄드릭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켄드릭은 이것을 살해당한 친구에 대한 복수 행위라며 정당화하지만, 그러한 목적을 위해 자신의 명성과 힘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내심 양심의 가책과 혼란을 느끼기도 한다. 그리고 친구들이 자신을 흑인 사회를 이용해 돈을 번 배신자라고 여기는 것도 알게 된다. === u === [include(틀:영상 정렬,url=XGC4QpDIpJc)] 이 앨범에서 가장 어두운 분위기를 띄고 있는 곡으로, 우는 연기를 하면서 랩을 하는 켄드릭의 능력이 돋보이는 트랙이다. 비슷한 느낌의 제목을 가진 밑의 'i'와는 정반대의 분위기를 띄고 있는 곡이다. 훅의 가사도 'Not lovin' you'와 'I love myself'로 완전히 대조된다. 곡은 켄드릭의 비명소리와 함께 시작된다. 앞의 'These Walls'에서의 깨달음으로 절망한 켄드릭은 10대 초반의 나이로 임신한 자신의 여동생까지 언급하며 자신은 10만 명 앞에서 설교를 했지만 정작 여동생에게는 무관심한 쓸모없는 놈에 실패자라며 자기자신을 비난하며, 한 호텔방에서 술을 퍼마시며 울음을 터트리고, 진작에 너를 총으로 쏴버려야 했다면서 자살까지 생각하는 등 자기혐오가 극에 달하는 모습을 보인다. 참고로 이 노래는 뮤직비디오에서는 'God Is Gangsta'라는 제목으로 되어있다. === Alright === ||<#b4b2b3> '''Alright 주요 수상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순위=69)]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201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1)]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102)] ---- [include(틀: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순위=45, 연도=2021)] ---- }}} || [include(틀:영상 정렬,url=67vr-3kpX3Q)] [include(틀:영상 정렬,url=Z-48u_uWMHY)] 이 앨범에서 밑의 [[i(노래)|i]]와 함께 가장 대중적이고 인기있는 곡이다. 켄드릭 라마 최고의 명곡 중 하나이며, 동시에 힙합 역사상 가장 위대한 명곡들 중 하나로 꼽힌다. 인종차별을 노래하는 대표적 노래이기도 하다. 2015 BET AWARDS 올해의 곡 수상작이며, 피치포크 선정 2010년대 최고의 싱글 1위로 선정되었다. 제58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올해의 노래, 최고의 뮤직 비디오, 최우수 랩 퍼포먼스, 최우수 랩 송 부문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며, 그중 최우수 랩 퍼포먼스, 최우수 랩 송 부문을 동시수상하였다. 'Nigga, we gon' be alright!'하는 인상적인 훅 부분은 프로듀서로 참여한 [[퍼렐 윌리엄스]]의 목소리이며, 이 훅은 미국에서 벌어진 '[[Black Lives Matter]]' 운동에서 구호로 사용되기도 했다. 앞선 트랙 'u'에서의 무거운 분위기가 이 곡에서 갑자기 밝은 분위기로 반전되는데, 이는 이 곡의 인트로와 [[good kid, m.A.A.d city]]에도 나왔듯이 켄드릭이 기독교에 귀의하였기 때문이다. 켄드릭은 이 곡에서 하느님이 우리를 지켜주시니 우리는 괜찮을 것이라는 희망적인 가사를 노래하지만 동시에 두번째 벌스에서 "[[루시퍼|루시(Lucy)]]"라고 불리는 악마가 화자로 등장해 켄드릭을 유혹하기도 한다. 여기서 루시는 첫 곡 Wesley's Theory에서 엉클 샘이 했던 구절을 그대로 다시 읆는데, 이는 곧 악마의 정체가 사람들 서로가 서로를 착취하게 만드는 미국 사회 그 자체임을 은유한다. === For Sale? (Interlude) === [include(틀:영상 정렬,url=RdCepOB4BV8)] 위의 'Alright'에서 화자로 등장했던 악마 루시가 돈과 쾌락을 마음껏 누리게 해주겠다며 켄드릭을 유혹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악마가 그러한 생활을 하고 싶으면 계약서에 싸인만 하면 된다고 켄드릭에게 계약서를 건내는 것을 마지막으로 곡이 끝난다. === Momma === [include(틀:영상 정렬,url=q1AOP6NtGuc)] 악마의 유혹을 느낀 켄드릭은 다시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가게 되며, 내면의 갈등에 맞서 인내한 후 경험한 개인적인 성장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기서 집은 두 가지의 뜻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말그대로 켄드릭 자신의 개인적인 고향인 컴튼, 그리고 모든 흑인들의 고향이라 할 수 있는 '''[[아프리카]]'''이다.[* 이는 켄드릭 라마가 [[good kid, m.A.A.d city]] 발표 이후 떠난 [[남아공]] 여행의 경험을 모티브로 한다.] 켄드릭은 고향에서 한 소년을 만나게 된다. 켄드릭과 꼭 닮은 소년은 그에게 그곳에서 조상들의 모습을 바라보며 그 뿌리와 유산을 잊지말라 조언하고, 이는 켄드릭이 다시금 각성하고 깨달음을 얻는 계기가 된다. 여담이지만 이 곡은 여러모로 투팍의 명곡 'Dear Mama'을 연상하게 하는데, 우선 어머니를 언급하는 제목부터가 비슷하며, Dear Mama가 수록된 앨범 [[Me Against the World]]가 발매된 후 딱 20년 만에[* 더 정확히는 Me Against the World는 1995년 3월 14일, To Pimp A Butterfly는 2015년 3월 15일로 20년 하고도 딱 하루 차이가 더 난다.] To Pimp A Butterfly가 발매되었으며, 두 노래 모두 수록된 앨범의 아홉번째 트랙이다. === Hood Politics === [include(틀:영상 정렬,url=iIsHg3BHpB0)] 이 곡에서 켄드릭은 자신의 삶을 회상한 후, 자신의 삶 속에는 언제나 싸움이 있었던 것을 깨닫는다. 켄드릭은 고향 컴튼에서는 갱단의 일원이 되어 매일 같이 패싸움을 벌였고, 래퍼로 데뷔한 이후에는 다른 래퍼들과 비평가들과 싸움을 벌였었다. 켄드릭은 이 곡에서 다른 래퍼들은 모두 'Boo boo'라고 외치며 [[JAY-Z]]와 함께 벌스 하나로 업계를 정복한 사실을 자랑스레 언급하고 자신이 얼마나 대단한지를 상기하지만, 이후 마지막의 내래이션에서 이에 확신하지 못하고 또다른 전쟁에 뛰어들었다고 말한다. === How Much A Dollar Cost === [include(틀:영상 정렬,url=y8kEiL81_R4)] 자신의 삶에 대한 회상을 계속하던 켄드릭은 과거에 있었던 한 일을 떠올린다. 한 주유소에서 켄드릭을 만난 노숙자는 대뜸 켄드릭에게 1 달러만 달라고 요구했고, 켄드릭은 이를 거절하였다. 켄드릭은 노숙자가 1달러로 마약을 할 것이고 그러한 돈은 줄수 없다고 말하며 무시하려했다. 그러자 노숙자는 [[출애굽기]] 14장[* 이 14장에서 그 유명한 모세가 홍해를 가르는 장면이 나온다.]을 언급하며 정체를 밝히는데, 노숙자의 정체는 바로 '''[[야훼|하나님]]'''이었고 켄드릭은 그냥 적은 돈이지만 자신의 소유인 1달러를 필요로 하는 노숙자에게 주기 싫었을 뿐이었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 상황은 하나님이 켄드릭을 시험한 것이었고, 하나님은 달러의 값어치는 단순한 화폐와 금전이 아닌, 겸손한 마음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고 선을 행하여 가게되는 천국에서의 너의 자리의 값과 같다며,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겸손하고 선한 사람이라는 일침을 가한다. 이에 켄드릭은 하나님에게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를 달라며 간청한다. 이 곡은 중요한 것은 돈이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우며, 훅에 나오는 가사 'Water, sun and love, the one you love. All you need, the air you breathe(물, 태양, 사랑,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 당신이 필요한 건, 숨 쉴 수 있는 공기)'도 이러한 사실을 말하고 있다. 참고로 이 곡은 다른 사람도 아닌, 당시 미국 대통령이었던 '''[[버락 오바마]]'''가 [[https://mtv.com/news/2684822/kendrick-lamar-how-much-a-dollar-cost-president-barack-obama-favorite-song-of-2015|"2015년 가장 좋았던 곡"으로 뽑은 곡이기도 하다.]] === Complexion (A Zulu Love) === [include(틀:영상 정렬,url=Wt4dUK4uce0)] 켄드릭은 'How Much A Dollar Cost'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 곡에서 노예들을 통제하려면 노예 사이의 차이를 강조하여 일부러 서로 분쟁을 일으키라고 주장했던 것으로 유명한 노예주 윌리 린치를 언급하며 피부색이 밝건 어둡건 간에 모든 사람을 사랑해야 한다는 'Zulu Love'를 흑인들에게 설파한다. 켄드릭에 이어서 [[랩소디]]는 [[노예 12년]]을 시작으로 영화 등 대중 매체를 인용해 메세지를 전달한다. [[조지 루카스]]의 [[스타워즈]]와 [[다스 베이더]]를 언급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알다시피 [[아나킨 스카이워커]]는 자신 속의 어두운 측면으로 인해 끝내 다스 베이더로 타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 곡은 자신의 어두운 측면까지 포용하고,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컴튼 뿐만이 아닌 사회 전체에 만연한 분쟁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Jay-Z와 [[비욘세]], [[버스타 라임즈]]를 언급하며 이들이 이전까지 부정적으로만 여겨지던 흑인 문화의 산물들을 긍정적인 이미지로 바꾼 것을 언급하고, 마지막으로 어쩌면 다음 [[제임스 본드]]는 흑인이 될지도 모른다며 인종을 초월해 점차 하나가 되어가는 문화를 설명한다. === [[The Blacker The Berry]] === ||<#b4b2b3> '''The Blacker The Berry 주요 수상 이력''' || ||<#fff,#19191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RIAA 골드)] ---- [include(틀:Rate Your Music,항목=전체 싱글 차트,순위=55)] ---- }}} || [include(틀:영상 정렬,url=VdPtVZDspIY)] 많은 사람들이 꼽는 본작 최고의 명곡이자, 그래미 어워드 퍼포먼스에서 켄드릭 라마가 흑인 노예 퍼포먼스를 펼치며 부른 노래이다. 곡의 제목과 프리 코러스에 나오는 'The Blacker the Berry'는 일명 '할렘 르네상스'를 이끈 것으로 유명한 흑인 소설가 월러스 서먼의 동명의 책 'The Blacker the Berry'(검은 베리는 검을수록)에서 따온 것이다. 미국의 역사를 관통하는 인종 문제, 특히 흑인을 지칭하는 단어들이 가진 의미가 퇴색되는 현상과 흑인 문화에 대한 경멸적인 시선을 향한 분노를 가감없이 표출하는 곡이다. 그래서인지 켄드릭도 다른 곡에 비해 이 곡에서 매우 거칠게 랩을 하였다. 이 앨범에 수록된 수많은 곡들과 맥락을 같이하지만, 그 중에서도 'i'의 가사와 같은 맥락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i'는 의미를 설명하고, 이 노래는 분노를 표출한다. 켄드릭은 이 곡에서 흑인들에 대한 백인들의 인종차별을 이야기하면서 혐오에는 혐오로 맞서자며 분노를 표한다. 그렇게 켄드릭의 분노가 커지면서 앞 트랙에서의 분쟁을 걱정하는 태도는 온데간데 없어져버린 것인가 하는 생각이 들때, 켄드릭은 곡의 세번째 벌스에서 [[트레이본 마틴 살인사건|트레이본 마틴]]을 언급하며, 이러한 혐오에 혐오로 맞서는 갱스터스러운 태도가 오히려 더욱 흑인들을 죽이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는 흑인에 대한 존중을 외치기 이전에 흑인들끼리 서로 존중해야할 것을 깨닫는다. 곡의 벌스 첫 구절마다 자신을 위선자라 비난한 것도 바로 이 때문. === You Ain't Gotta Lie (Momma Said) === [include(틀:영상 정렬,url=78bSAKX_4vs)] 위의 The Blacker The Berry에서 흑인 사회에 만연한 배타적, 자기비하적 문화가 오히려 흑인들을 더욱 죽이고 있다는 것을 깨달은 켄드릭은 이 곡에서 마치 분노한 흑인들을 달래는 듯한 랩을 하고 있다. 켄드릭은 이 곡에서 'You ain't gotta lie to kick it'(우리랑 어울리려고 거짓말 할 필요 없어)라며 존경이나 개인적인 이익을 위해 거짓말을 하지 말라고 경고하고 있으며, 두 개의 인터루드 'For Free?'와 'For Sale?'에서 더 나아가 그는 부와 권력을 위한 랩을 하지 않을 것을 다시금 상기시킨다. === [[i(노래)|i]] === [include(틀:RIAA 플래티넘,pt=1)] [include(틀:영상 정렬,url=tt2-GsPA9kk)] [include(틀:영상 정렬,url=8aShfolR6w8)] 앨범의 수록곡 중에서도 핵심이 되는 곡이자 이 앨범에서 가장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곡으로, 훅부터 'I love myself'(난 내 자신을 사랑해)라는 가사가 나온다. 이 곡은 앨범의 프로모 싱글 중 하나인데, 싱글 버전과 앨범에 실린 버전은 다르며, 이 앨범 버전에서는 마치 켄드릭이 라이브 공연을 하는 듯이 진행된다. 또 이 곡이 앨범의 리드싱글로 그래미에서 솔로 랩 상을 탔으나 켄드릭은 엄청난 호평을 받은 전작 [[good kid, m.A.A.d city]]가 두 번이나 그래미에 노미네이트 되었으나 무관에 그친 것을 비꼬는 의미로 시상식에 참석하지 않았다. 이 곡에서 켄드릭은 관중들 앞에서 라이브 공연을 하며 자신을 사랑하자는 메시지를 전파하지만 관중들이 논쟁을 벌이며 소란을 일으키자, 켄드릭은 즉석에서 곡의 반주를 끈 후 아카펠라로 프리스타일 랩을 선보인다. 켄드릭은 프리스타일 랩을 하면서 흑인들이 서로 사용하는 N-word라는 단어는 백인들이 사용하던 경멸적인 단어였으며, 이제는 흑인들이 서로를 이르는 단어가 되었지만 여전히 자기비하적 의미도 섞여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켄드릭은 N-word가 그동안 잘못 쓰이고 있었음을 시사하고, 아프리카에 다녀온 후 비로소 느꼈던 '[[느구서 너거스트|Negus]]'라는 단어를 다시 정의한다. 그것은 '''왕'''을 지칭하는 단어였다고. 이어서 켄드릭이 자기자신이야말로 진정한 Negus라고 선포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노래가 끝이 난다. === Mortal Man === [include(틀:영상 정렬,url=axwpgn3GRMs)] 12분 길이의 곡으로, 4분 정도가 랩이고 나머지는 전부 스킷이며,[* 스킷 중에도 계속 재즈 풍의 반주가 흘러나온다.] 사실상 이 스킷에 이 앨범의 모든 정의와 담은 메시지가 담겨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켄드릭은 이 곡에서 [[넬슨 만델라]], [[마틴 루터 킹]], [[재키 로빈슨]], [[제시 잭슨]], [[마이클 잭슨]] 등의 여러 흑인 유명인사들을 언급하며, 만일 자신에게 문제가 터져도[* 곡에서 [[마이클 잭슨/아동성추행 논란|마이클 잭슨의 아동 성추행 누명 사건]]을 언급한 것을 보면 이 문제가 터진다는 것은 켄드릭 자신이 사고를 친다거나 하지 않았는데도 누명을 쓰는 것을 뜻하는 듯 하다.] 끝까지 팬으로 남아줄 거냐고 묻는다. 이전까지 흑인들의 존경을 받던 유명인들과, 그들이 온갖 사건사고에 휘말리며 흑인 커뮤니티를 실망시킨 사례를 나열하며, 켄드릭 역시 자신도 혹여 그렇게 추문에 휘말려 그가 대변하는 사람들을 실망시킬까 두려워한다. 곡이 끝나고 나오는 스킷에서 이 앨범의 거의 모든 곡에서 계속 언급되었던 내래이션이 마침내 끝까지 나오게 된다. >I remember [[투팍 샤커|you]] was conflicted. Misusing your influence. Sometimes I did the same. Abusing my power and full of resentment. Resentment that turn into a deep depression. Find myself screamin in the hotel room. I don't want Self destruct. The evil of Lucy was all around me. So i runnin for the answers. But that didn't stop survivor's guilt. Going back and forth trying to convince myself the stripes I earned. Or maybe how A-1 my foundation was. But while my loved ones was fighting the continuous war back in the city, I was entering a new one. The word was respect. Just because you wore a different gang colour than mine's. Forgetting all the pain and hurt we caused each other in these streets. If I respect you, we unify and stop the enemy from killing us. But I don’t know, I'm no immortal man, maybe I'm just another nigga. >---- >[[투팍 샤커|당신]]도 갈등했던 것이 기억나. 당신의 영향력을 오용하면서 말이야. 가끔씩 나도 똑같은 짓을 했어. 내 권력을 남용하면서 증오에 가득 차 있었지. 극심한 우울증으로 변하는 증오 말이야. 호텔 방에서 소리 지르는 스스로를 발견했지. 나는 자멸하기는 싫었어. 악마의 유혹이 나를 잔뜩 둘러싸고 있었지. 그래서 나는 답을 쫓아서 달렸어. 그래도 생존 자책감은 어쩔 수 없더라. 왔다 갔다 하면서 나 자신에게 나는 뭔가 이루고 있다고 이해시키려 했지. 또는 내 출신이 얼마나 믿을만한가를. 하지만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이 우리 도시에서 전쟁중일 때 나는 새로운 전쟁을 시작했어. 아파르트헤이트와 차별에 기반을 둔 전쟁 말이야. 내 도시로 다시 돌아가서 친구들에게 내가 무얼 배웠는지 알려주고 싶었어. 내 도시로 다시 돌아가서 친구들에게 내가 무얼 배웠는지 알려주고 싶었어. 내가 배운 단어는 존중이야. 네가 나와 다른 갱의 색깔을 입었다고 해서 같은 흑인으로서 너를 존중할 수 없다는 건 아니야. 길거리에서 우리가 서로 가한 고통과 아픔은 잊을게. 내가 널 존중하면 우린 하나가 돼서 진짜 적이 우리를 죽이는 걸 멈출 수 있어. 하지만 나도 잘 모르겠어, 나는 그저 인간이니까, 어쩌면 그저 또 한 명의 깜둥이인가 봐.[*번역출처 [[https://hiphople.com/lyrics/3726575|#]]][* 실제로 투팍은 흑인들의 삶과 거리 문화, 사회적 차별 등을 노래한 90년대의 대표적인 컨셔스 랩(Conscious Rap) 아티스트였지만, 동시에 [[Thug Life]]라 표현되는 과격한 가사와 온갖 폭력 사건에 연루되는 등 다양한 구설수에 휘말리며 큰 논란을 일으킨 아티스트이기도 했다.] 위의 내래이션이 끝난 후 켄드릭이 한 사람에게 질문을 건네는데, 그 사람은 다름아닌 켄드릭의 우상인 '''[[투팍 샤커]]'''. 한동안 투팍에게 자신이 궁금해하던 점들을 물어보며 대화를 나누던[* 물론 켄드릭이 진짜로 투팍과 대화를 나눈 것은 아니고, 1994년 투팍이 생전에 남겼던 라디오 인터뷰를 활용해 마치 서로 대화하는 것처럼 연출했다.] 켄드릭은 이윽고 투팍에게 이 앨범에 대한 주제를 읊어준다. >The caterpillar is a prisoner to the streets that conceived it. Its only job is to eat or consume everything around it, in order to protect itself from this mad city. While consuming its environment the caterpillar begins to notice ways to survive. One thing it noticed is how much the world shuns him, but praises the butterfly. The butterfly represents the talent, the thoughtfulness, and the beauty within the caterpillar. But having a harsh outlook on life the caterpillar sees the butterfly as weak and figures out a way to pimp it to his own benefits. Already surrounded by this mad city the caterpillar goes to work on the cocoon which institutionalizes him. He can no longer see past his own thoughts. He’s trapped. When trapped inside these walls certain ideas start to take roots, such as going home, and bringing back new concepts to this mad city. The result? Wings begin to emerge, breaking the cycle of feeling stagnant. Finally free, the butterfly sheds light on situations that the caterpillar never considered, ending the internal struggle. Although the butterfly and caterpillar are completely different, they are one and the same. >---- >애벌레는 그를 낳은 거리의 포로다. 그가 할 일은 그 주변의 모든 것을 먹거나 흡수하여 자신을 이 미친 도시로부터 지켜나가는 것이다. 애벌레는 그의 환경을 흡수하며 점차 생존하는 법을 깨닫는데 그의 눈에 띄는 것은 세상이 그를 멸시하지만, 나비를 찬양한다는 것이다. 나비는 애벌레 안의 재능과 사려 깊음과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하지만 삶을 비관적으로 바라보는 애벌레는 나비가 약한 걸 보고 자신의 이득을 위해 [[To Pimp A Butterfly|나비를 착취하는 방법]]을 생각해낸다. 이미 미친 도시에 둘러싸인 애벌레는 고치를 만들고 고치는 그를 제도화한다. 그는 이제 그의 생각을 벗어날 수 없게 된다. 그는 갇혔다. 벽 안에 갇힌 그에겐 어떤 생각들이 뿌리내리기 시작한다. 집에 돌아가는 생각, 이 미친 도시에 새로운 개념을 가져오는 생각. 결과는? 날개가 점점 모습을 드러내고, 계속되던 침체의 순환을 끊는다. 드디어 자유를 얻은 나비는 애벌레가 상상하지 못했던 가능성에 빛을 비추고 내면의 고민은 끝난다. '''나비와 애벌레는 전혀 다른 존재이지만 그들은 하나이자 같은 존재다.'''[*번역출처 [[https://hiphople.com/lyrics/3726575|#]]] 투팍에게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의견을 물어보지만 투팍은 대답을 하지 않고 사라지고[* 이는 '애벌레'였던 켄드릭이 투팍의 유산을 이어받아 새로운 '나비'가 되어 서로를 착취하는 순환을 끊을 것을 암시한다.], 이에 켄드릭이 투팍의 이름을 연거푸 부르는 것을 마지막으로 마침내 앨범이 끝난다. ===# 크레딧 #=== ||<-6><#b4b2b3> '''{{{#000 트랙리스트}}}''' || || '''#''' || '''제목''' || '''보컬 참여''' || '''프로듀서''' || '''샘플링''' || '''길이''' || || 1 || Wesley's Theory || {{{-3 George Clinton[br][[Thundercat]][br][[Dr. Dre]]}}} || {{{-3 [[Flying Lotus]][br]Flippa[br]Sounwave[br][[Thundercat]]}}} || {{{-3 Boris Gardiner - Every Nigger Is a Star}}} || 4:47 || || 2 || For Free? (Interlude) || || {{{-3 Terrace Martin}}} || || 2:10 || || 3 || King Kunta || {{{-3 Whitney Alford}}} || {{{-3 Sounwave[br]Terrace Martin}}} || {{{-3 Mausberg - Get Nekkid[br]Ahmad - We Want the Funk}}} || 3:54 || || 4 || Institutionalized || {{{-3 [[Snoop Dogg]][br]Bilal[br]Anna Wise}}} || {{{-3 Rahki[br]Tommy Black}}} ||<|2> || 4:31 || || 5 || These Walls || {{{-3 Bilal[br]Anna Wise[br][[Thundercat]]}}} || {{{-3 Terrace Martin[br]Larrance Dopson[br]Sounwave}}} || 5:00 || || 6 || u || {{{-3 [[SZA]][br]Whoarei[br]Jessica Vielmas[br]Bilal}}} || {{{-3 Taz Arnold[br]Whoarei[br]Sounwave}}} || {{{-3 Whoarei - Loving You Ain't Complicated}}} || 4:28 || || 7 || Alright || {{{-3 [[Thundercat]][br]Candace Wakefield[br][[Pharrell Williams]]}}} || {{{-3 [[Pharrell Williams]][br]Sounwave}}} || {{{-3 Spectrasonics Virtual Instruments - 1-ABMI7 AA}}} || 3:39 || || 8 || For Sale? (Interlude) || {{{-3 [[SZA]][br]Preston Harris[br]Taz Arnold[br]Bilal}}} || {{{-3 Taz Arnold[br]Sounwave[br]Terrace Martin}}} || || 4:51 || || 9 || Momma ||<|2> || {{{-3 Knxwledge[br]Taz Arnold}}} || {{{-3 Lalah Hathaway - On Your Own}}} || 4:43 || || 10 || Hood Politics || {{{-3 Tae Beast,[br]Sounwave[br][[Thundercat]]}}} || {{{-3 [[수프얀 스티븐스|Sufjan Stevens]] - All for Myself}}} || 4:52 || || 11 || How Much A Dollar Cost || {{{-3 Ronald Isley[br]James Fauntleroy}}} || {{{-3 LoveDragon}}} || {{{-3 Average White Band - Overture}}} || 4:21 || || 12 || Complexion (A Zulu Love) || {{{-3 Rapsody}}} || {{{-3 [[Thundercat]][br]Sounwave[br]Terrace Martin[br]The Antydote}}} ||<|2> || 4:23 || || 13 || The Blacker The Berry || {{{-3 Assassin[br]Wyann Vaughn[br]Lalah Hathaway}}} || {{{-3 Ken Lewis[br]ZALE[br]Boi-1da[br]KOZ[br]Terrace Martin}}} || 5:28 || || 14 || You Ain't Gotta Lie (Momma Said) || || {{{-3 LoveDragon}}} || {{{-3 Detroit Emeralds - You're Getting A Little Too Smart}}} || 4:01 || || 15 || i || {{{-3 Ronald Isley}}} || {{{-3 Rahki}}} || {{{-3 [[아이즐리 브라더스|The Isley Brothers]] - That Lady, Pt. 1}}} || 5:36 || || 16 || Mortal Man || {{{-3 [[2Pac]]}}} || {{{-3 Sounwave}}} || {{{-3 Houston Person - I No Get Eye For Back}}} || 12:07 || == 명가사 == >'''So I'ma dedicate this one verse to Oprah[br]이번 꺼는 [[오프라 윈프리|오프라]]에게 바칠게[br]On how the infamous, sensitive N-word control us[br]이 악명 높은, 민감한 [[Nigger|N-word]]가 우릴 조종하는지에 관한 내용이야'''[* 오프라 윈프리는 흑인들의 아픈 과거가 담겨있는 N-word가 흑인들 사이에서 함부로 쓰이는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바 있었다.][* N-word가 미국 흑인들 사이에서 슬랭으로 쓰이기 시작한 건 1980년대이며, 널리 퍼진 건 1990년대인데, 오프라 윈프리는 N-word가 거의 쓰이지 않던 1980년대 초중반부터 방송 활동을 한 사람으로서, 이런 세태에 우려를 표할 수 밖에 없었다.] >'''So many artist gave her an explanation to hold us[br]수많은 아티스트들이 그녀에게 이 단어에 대한 설명을 전달했지'''[* 위의 주석에 이어서, 켄드릭은 오프라의 그런 의견을 '''N-word에 담긴 아픈 의미를 씻어내고 새로운 의미로의 환기가 중요하다.'''라고 반박한 바 있었다. 다른 아티스트들도 마찬가지. 다만 2018년 공연에서 [[https://hiphople.com/news/12043542|이런 일이 벌어진 걸 보면]] 백인의 N-word 사용은 앞서 말한 것과는 차원이 다르게 논란이 거센지라 아직 요원한 듯 하다.] >'''Well this is my explanation straight from Ethiopia[br]이건 [[느구서 너거스트|에티오피아에서 바로 가져온 나만의 설명법]]이야[br]N-E-G-U-S definition: royalty; King royalty - wait listen[br]N-E-G-U-S, 뜻: 고귀함; 왕 다운 고귀한 혈통 - 잠깐 들어봐[br]N-E-G-U-S description: Black emperor, King, ruler, now let me finish[br]N-E-G-U-S, 설명: 흑인 황제, 왕, 지배자, 자 끝까지 말할게[br]The history books overlooked the word and hide it[br]역사책은 이 단어를 무시하고 숨기려했지[br]America tried to make it to a house divided[br]미국은 우리들을 갈라놓으려고 해[br]The homies don't recognize we be using it wrong[br]우리 사람들도 이 단어를 잘못 쓰고 있다는 걸 깨닫지 못해[br]So I'ma break it down and put my game in the song[br]그러니까 제대로 이 노래에 내 생각을 담으려해[br]N-E-G-U-S, say it with me[br]N-E-G-U-S, 나와 함께 말해봐[br]Or say no more. Black stars can come and get me[br]아니면 말하지마, 흑인 스타들 어서 날 데리러와[br]Take it from Oprah Winfrey, tell her she right on time[br]오프라 윈프리의 말을 잘 들어, 그녀가 옳았다고 전해줘'''[* 위의 주석에 이어서 말하자면, 켄드릭의 그런 사고가 에티오피아에 다녀온 이후로 변했음을 이 가사에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오프라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것이 아니라, '''N-word가 잘못 쓰이고 있다는 부분'''에 동의하는 것으로, 그간 자신과 비슷한 견지를 가지고 오프라의 의견을 반박해왔던 흑인 스타들의 N-word 사용 역시 전적으로 잘못되었었음을 의미한다.] >'''Kendrick Lamar, by far, realest Negus alive[br]Kendrick Lamar, 현재까지, 살아있는 가장 진짜다운 Negus'''[* 위의 주석에 이어서 말하자면, 이 라인은 위의 라인들과 이어지는 i의 마지막 라인이자, '''이 앨범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라인이다.'''] >---- >"[[i(노래)|i]]" 中[* 싱글 버전에는 생략되어있다.][* 가사 해석은 [[https://hiphople.com/index.php?document_srl=3732436&mid=lyrics&comment_srl=3735247|힙합엘이에 게재된 것을]] 적절하게 손질했다.] >'''You hate me don't you?[br]내가 싫잖아, 그렇지?[br]You hate my people, your plan is to terminate my culture.[br]넌 내 사람들을 싫어하고, 네 계획은 나의 문화를 없애버리는 거잖아.[br]You're fuckin' evil I want you to recognize that I'm a proud monkey[br]이 씨X놈의 악마야, 내가 자부심을 가진 원숭이라는 것을 알아둬라.[br]You vandalize my perception but can't take style from me[br]내 인식을 훼손할지라도 내 고유의 스타일은 뺏어갈 수 없을거다.[br]And this is more than confession[br]이건 고백 그 이상의 것이야.[br]I mean, I might press the button just so you know my discretion[br]그러니까, 나의 현명함을 보여주기 위해 버튼을 하나 누를수도 있다는 뜻이야.[br]I'm guardin' my feelins, I know that you feel it[br]나는 내가 느끼는 바를 숨기고, 네가 이걸 느낄 수 있다는 것도 알아.[br]You sabotage my community, makin' a killin'[br]넌 나의 공동체를 부수고, 살육을 일삼지[br]You made me a killer, emancipation of a real nigga[br]넌 나를 살인마로 만들었어. 진짜 흑인의 해방을 보여주마''' >---- >"The Blacker the Berry" 中 >'''So why did I weep when Trayvon Martin was in the street?''' >'''왜 나는 [[트레이본 마틴 살인사건|트레이본 마틴]]이 거리에 있을 때 울었던거지?''' >'''When gang banging make me kill a nigga blacker than me?''' >'''갱스터 짓이 나보다 더 검은 흑인들을 죽이게 만드는데?''' >'''Hypocrite!''' >'''위선자!''' >---- >"The Blacker the Berry" 中 >'''The ghost of Mandela, hope my flows they propel it[br][[넬슨 만델라|만델라]]의 유령, 내 플로우가 그를 재현하길[br]Let these words be your earth and moon you consume every message[br]내 단어가 네 지구와 달이 되어 너에게 모두 흡수되길''' >---- >"Mortal Man" 中 [[분류:2015년 음반]][[분류:미국 힙합 음반]][[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오피셜 차트 1위 앨범]][[분류:켄드릭 라마/음반]][[분류:서부 힙합]][[분류:컨셔스 힙합]][[분류:재즈 랩]][[분류:G-funk]][[분류:네오 소울]][[분류:프로그레시브 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