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00000> '''{{{#FFFFFF [[Dawn featuring Tony Orlando]]의 싱글}}}''' || || "You're a Lady"[br](1972) ||<|2> → ||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br](1973) ||<|2> → || "[[Say, Has Anybody Seen My Sweet Gypsy Rose]]"[br](1973) || ||<-2> '''{{{+1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PxG9XFqHSFw, width=100%, height=250)]}}} || || '''발매''' ||1973년 2월|| || '''녹음''' ||1973년|| || '''녹음실''' ||[[미국]] [[뉴욕주]] [[뉴욕시]], 센츄리 사운드 스튜디오 ^^(녹음)^^[br][[미국]] [[뉴욕주]] [[뉴욕시]], 미디어사운드 ^^(마스터)^^|| || '''장르''' ||[[팝 음악|팝]]|| || '''길이''' ||3:25|| || '''작사/작곡''' ||어윈 레빈, 로렌스 러셀 브라운|| || '''프로듀서''' ||행크 메드레스, 데이브 어펠, 토큰스|| || '''레이블''' ||벨|| || '''B-사이드''' ||I Can't Believe How Much I Love You|| || '''수록''' ||Tuneweaving||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ie_a_Yellow_Ribbon_Round_the_Ole_Oak_Tree.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던 피처링 토니 올란도]]의 싱글이며 이들의 3집 앨범 [[Tuneweaving]]의 두번째 싱글로 1973년 2월에 발매되었다. == 가사 == ||[Verse 1] I'm coming home, I've done my time 형기를 마치고 집에 가고 있어요 Now I've got to know what is and isn't mine 이제 무엇이 내 것이고 내 것이 아닌지 알아야 하죠 If you received my letter telling you I'd soon be free 당신이 만약 곧 출소할 거라 쓴 편지를 받았다면 Then you'll know just what to do 무엇을 해야 하는지 알고 있겠죠 If you still want me 만약 여전히 날 원한다면 If you still want me 만약 여전히 날 원한다면 [Chorus] Whoa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워, 오래된 떡갈나무 주변에 노란 리본을 달아주세요 It's been three long years 3년이란 시간이 흘렀죠 Do ya still want me (still want me) 당신은 날 여전히 원하나요 (여전히 날 원하나요) If I don't se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만약 오래된 떡갈나무 주변에 노란 리본이 보이지 않는다면 I'll stay on the bus, forget about us 버스를 그대로 타고, 우리에 대해 잊어버릴게요 Put the blame on me 내 탓이라 생각하면서요 If I don't se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만약 오래된 떡갈나무 주변에 노란 리본이 보이지 않는다면 말이죠 [Verse 2] Bus driver please look for me 버스 기사님 절 위해 대신 봐주세요 Cause I couldn't bear to see what I might see 어떤 걸 보게될 지 차마 볼 수가 없으니까요 I'm really still in prison 난 아직 감옥에 있는 셈이고 And my love she holds the key 내 사랑 그녀가 열쇠를 쥐고 있죠 A simple yellow ribbon's what I need to set me free 내가 자유로워지는데는 단지 노란 리본이면 돼요 I wrote and told her please 그녀에게 편지를 써서 부탁했죠 [Chorus] Whoa tie a yellow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워, 오래된 떡갈나무 주변에 노란 리본을 달아주세요 It's been three long years 3년이란 시간이 흘렀죠 Do ya still want me (still want me) 당신은 날 여전히 원하나요 (여전히 날 원하나요) If I don't se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만약 오래된 떡갈나무 주변에 노란 리본이 보이지 않는다면 I'll stay on the bus, forget about us 버스를 그대로 타고, 우리에 대해 잊어버릴게요 Put the blame on me 내 탓이라 생각하면서요 If I don't se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만약 오래된 떡갈나무 주변에 노란 리본이 보이지 않는다면 말이죠 [Instrumental Interlude] [Bridge] Now the whole damned bus is cheering 이제 모든 버스 승객들이 환호하고 있네요 And I can't believe I see 내가 본 게 믿기지 않아요 A hundred yellow ribbons 'round the ole oak tree 백 개의 노란 리본이 오래된 떡갈나무 주변에 있네요 I'm coming home, mmm, mmm 난 집으로 가요, 음, 음 [Outro]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Tie a ribbon 'round the ole oak tree)|| == 차트 성적 == [[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에서 2주 비연속 1위,[* 1973년 4월 첫째 주에 1주 1위, 1973년 4월 셋째 주에 1주 1위] [[빌보드 핫 100]]에서 1973년 4월 셋째 주부터 5월 둘째 주까지 4주 연속 1위를 기록했고 11주 연속 10위권에,[* 1973년 4월 첫째 주부터 1973년 6월 셋째 주까지] 14주 연속 20위권에,[* 1973년 3월 넷째 주부터 1973년 6월 넷째 주까지] 17주 연속 40위권에,[* 1973년 3월 셋째 주부터 1973년 7월 첫째 주까지] 23주 연속 100위권에 머물러 있었다.[* 1973년 2월 셋째 주부터 1973년 7월 셋째 주까지] [[197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1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1958년-2018년|1958년~2018년 빌보드 핫 100 올타임 차트]]에선 46위에 올랐다. === 여담 === * 시트콤 [[똑바로 살아라(드라마)|똑바로 살아라]]에서 [[노주현]]과 [[박영규]]가 이 노래로 싸운다. [[분류:빌보드 연말 차트 1위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빌보드 어덜트 컨템퍼러리 차트 1위 노래]][[분류:1973년 노래]][[분류:1973년 싱글]][[분류:팝]]